빅 파이브 성격 모델MBTI 모델은 지지층이 약한 데 비해 빅 파이브 모델(Big-Five Model)은 엄청난 연구자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 즉 빅 파이브 모델은 다섯 가지 기본 차원을 활용하여 다양한인간의 성격을 대부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다. 19 또한 다섯 가지 특성에 대한테스트 점수는 실제로 다양한 생활환경에서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보일지를 매우 정확하게20 그리고 안정적으로 예측해준다. - P121
직장에서의 평정성 빅 파이브 특성 변수 중 평정성은 사람들의 삶에 대한 만족과 직무만족의 증대, 직무소진(burnout) 및 이직의도 감소 등과 가장 강한 연관성을 보인다. 33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는 사람은 직장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또는 변화를 요구하는 상황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34 반면에 신경증을 보이는 사람은 이러한 요구에 대처하지 못하고 직무소진 상태를 겪을 수 있다.35 이들은 직장과 가정 간의 갈등으로 업무성과에도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0 이처럼 부정적이고 긴장이 고조된 상황에서 신경증을 보이는 종업원은 반생산적 업무행동에 더 몰입하고 조직시민행동을 등한시하며 일에 대한동기유발도 저하된다.37 - P123
핵심 자아평가
핵심 자아평가(core self-evaluation, CSE)는 개인이 자신의 능력과 역량,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핵심적으로 보여주는 특성 변수이다. 긍정적으로 핵심 자아평가를 하는 사람은 자신을 좋아하고 정서적이고 유능하며 자신의 환경을 통제할 수 있다고 본다. 부정적으로핵심 자아평가를 하는 사람은 자신을 싫어하고 자기의 역량을 믿지 않으며 환경에 무기력한 모습을 보인다. 이미 3장에서 핵심 자아평가 점수가 높은 긍정적인 사람은 자신의직무에 더욱 도전적이고 복잡한 업무를 받아들이므로 핵심 자아평가와 직무만족이 연관된다는 사실을 다루었다. - P128
상황 강도 이론(situation strength theory)에서는 성격이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이 상황의강도에 달려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상황 강도, 즉 규범이나 지침, 기준 등의 수준이 적절한 행동을 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 P132
가치(value)란 ‘어떤 특정한 행동 양식이나 존재 목적이 다른 행동 양식이나 존재 목적보다 개인적으로 또는 사회적으로 더 바람직하다는 기초적 신념‘을 말한다. 가치에는무엇이 옳고 그르며 무엇이 바람직한가 하는 판단적 요인이 내포되어 있다. 가치에는 내용(content)과 강도(intensity)라는 속성이 있다. 가치의 내용은 행동 양식이나 존재 목적이왜 중요한지를 알려주고, 가치의 강도는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강도의 측면에서 가치에 순위를 매김으로써 가치 체계(value system)가 정립된다. 우리의 가치 체계는 자유, 억압, 자존심, 정직, 복종, 평등 등과 같은 가치에 부여하는 상대적중요성에 따라 가치의 계층으로 형성된다. - P135
30년 전만 해도 조직에서는 성격에만 관심을 가졌다. 조직의 주된 관심사가 개인의 성격이 특정 직무에 적합한지를 알아보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심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그 영역을 넓혀 개인의 성격과 가치가 조직에 적합한지도 살펴보게 되었다. 왜 이처럼 개인과 조직의 궁합을 보려는 것일까? 이제는 경영자가 개인의 특정 직무수행 능력에대한 관심보다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 유연성과 조직몰입도 유지에 더 관심을 두기때문이다. 그렇지만 역시 개인과 직무 간의 적합성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 P1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