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ive 드라이브 - 창조적인 사람들을 움직이는 자발적 동기부여의 힘
다니엘 핑크 지음, 김주환 옮김 / 청림출판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발견적 유형의 일은 이와 정반대이다. 그 일을 해결할 수 있는연산적 방법이 없기 때문에 그 일을 맡은 사람은 여러 가능성을 실험해보고 새로운 해결책을 만들어내야 한다. - P43

결국 자신이스스로에게 일을 시켜야 하는 것이다. - P47

반면 기계적이지 않으면서 좀 더 창의적인 업무는 자기주도력을 요구한다. 익명의 한 사업가는 신입사원 채용 면담장에서 장래의 직원에게 "자네가 나에게서 동기를 부여받기 바란다면 자네를 고용하고 싶지 않네"라고 말한다고 한다 - P47

"외적 보상보다 행위 자체의 즐거움을 위해 회화와 조각을 추구한 예술가들이 결국에는 사회에서 탁월성을 인정받는 예술을 창조했다. 외적 보상에 가장 영향을 받지 않는 이들이 마침내 외적 보상을 받게 된다."9 - P66

진정한 동기의요인(자율성, 숙련, 목적)을 무시한다면 우리 각자가 성취할 수 있는것의 한계를 긋게 될 것이다. - P70

I유형의 행동은 외부의 욕망보다 내재적 욕망에 의해 가속된다.
또한 어떤 행동으로 인한 보상보다는 행동 자체의 내재적 만족과관련된 것이다. X유형의 행동에서는 제2의 드라이브가 중심적이지만 [유형의 행동에서는 제3의 드라이브가 중심적이다(여기서 ‘
는 내재적이라는 뜻의 ‘intrinsic‘의 첫 글자이며, ‘X‘는 외재적이라는 뜻의 ‘extrinsic‘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역주). - P110

궁극적으로 [유형의 행동은 자율성, 숙련, 목적이라는 세 가지영양소에 의존한다. [유형의 행동은 자기주도적이며, 중요한 것을잘하려고 전념하며, 탁월함으로의 추구를 더 큰 목적으로 연결시킨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