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해체와 윤리 - 변화와 책임의 사회철학 철학의 정원 8
문성원 지음 / 그린비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은 상호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죽음을 준다는 것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것을 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알라딘 eBook <해체와 윤리>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55

죽음은 분명 우리가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이렇듯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을 준다는 점이 ‘죽음의 증여’가 ‘신비’의 영역과 관여하게 되는 이유이다.

-알라딘 eBook <해체와 윤리>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55

"나는 한 번에 한 사람만을 껴안을 수 있다"는 테레사 수녀의 말처럼, 그때그때마다 충실하게 응답하는 것이 최선이다.

-알라딘 eBook <해체와 윤리>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77

‘타자’가 자기중심적인 질서를 넘어서는 새로움과 관련이 있다면, ‘윤리’는 그 새로움의 해악을 막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할 법하다.

-알라딘 eBook <해체와 윤리>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77

‘타자’가 자기중심적인 질서를 넘어서는 새로움과 관련이 있다면, ‘윤리’는 그 새로움의 해악을 막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할 법하다.

-알라딘 eBook <해체와 윤리>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92

그렇지만 윤리가 강조되는 맥락이 해악에 대한 경계와 깊은 관련이 있다는 것은 분명하다.

-알라딘 eBook <해체와 윤리>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92

이 점은 하이데거와 레비나스의 관계를 보면 잘 드러난다. 레비나스 스스로가 술회하듯 그는 젊은 시절부터 하이데거에게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23) 그의 저작 곳곳에서 보이는 하이데거에 대한 강렬한 비판과 대결의식은 하이데거의 영향력을 반증해 준다

-알라딘 eBook <해체와 윤리>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93

레비나스는 근대의 실증적이고 도구중심적 사유에 대한 비판을 후설(Edmund Husserl)과 하이데거에게서 이어받고 있으며, 특히 근대를 넘어서고자 하는 갈망을 하이데거와 공유하고 있다.

-알라딘 eBook <해체와 윤리>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93

여기에 더 적확한 표현은 윤리일 것이다. 레비나스가 말하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복종이나 믿음이라기보다는 응답이고 책임이기 때문이다.

-알라딘 eBook <해체와 윤리>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9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