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연약한 존재인 프로도가 절대반지를 파괴하는 임무를 맡고 이를 완수하는 이야기는 특별한 영웅담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 모두의 이야기이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71
"그래, 너 정말 괜찮은 사람이야"라는 말을 듣는다 하더라도 그것은 근본적인 도움이 되지 못한다. 그렇게 말해 줄 수 있는 사람은 세상에 오직 한 사람, 바로 자기 자신뿐이다. 융은 그 목소리가 바로 우리 안의 신화라고 이야기한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73
우리는 모두 영웅이 될 수 있다.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잘하는 것을 찾은 후 평생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간다면 우리 모두 영웅이 될 수 있다. 넘어지고 또 넘어지고, 쓰러지고 또 쓰러져도 자신이 원하는 것이기에 멈추지 않는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73
「하울의 움직이는 성」에서 90세 노파로 보이는 소피는 사실 마법에 걸린 18세 소녀다. 그런데 소피가 겉모습과 상관없이 진정한 자신이 되어 당당히 이야기할 때마다 그녀의 모습이 점차 변해 간다. 젊어지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76
「매트릭스」에서 "the One"이란 다른 어느 누구와도 다른 유일한 존재, 바로 그 사람의 개별성을 뜻한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76
왜 많은 관객들이 「미녀는 괴로워」를 호평했을까? 성형에 대한 찬사라는 비판이 있지만 사실 영화가 재미있었던 이유는 그녀가 전문가였기 때문이 아닐까? 그녀의 ‘노래’가 정답이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97
교육은 세상의 모든 지식을 남김없이 아우르는 사전식 암기방식에서 벗어나 각각의 학생들이 자신을 들여다볼 수 있는 도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98
그러나 ‘나’를 믿어야 한다.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믿어야 한다. 내가 괴롭다면 그것이 진실이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99
누군가에게 내가 괴로울 만한 상황인지 물어보거나 내가 괴로워도 되는지 고민하지 말자. 가장 중요한 것은 괴롭다는 느낌, 그 자체이다. 그렇게 느낀다면 그것이 진실이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99
내게 영화비평은 심각한 일이다. 괴로움, 아픔, 슬픔, 치유의 이야기를 하다 보니 글이 늘 심각해진다. 치유적인 장면이나 치유적인 구조는 마음이 없는 상태에서 기계적으로 쓰는 글로는 전달되지 않는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106
영화를 본 후 마음에 남는 것과 계속 불편한 것에 집중하여 그것을 치밀하게 분석해 내는 것이 정신분석적 영화비평이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106
그것은 할 수밖에 없는 이야기, 반드시 언급되어야 하는 것을 글로 옮겨 놓는 과정이다. 그리고 그 안에는 인간의 고통과 치유에 대한 진정한 고민들이 배어 있어야 한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106
나는 영화비평을 할 때 가능한 용어를 사용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상상계나 상징계는 인간의 모습을 설명하는 정신분석의 도구이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106
영화를 분석할 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내 개별성을 중심으로 내게 절실한 이야기를 치열하게 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분석과정 자체를 정신분석이라고 부를 수 있다.
-알라딘 eBook <영화로 읽는 정신분석> (김서영 지음) 중에서 - P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