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부터 프랑스는 반유대주의 정책을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고 유대인들의 공적인 일상을 점점 강하게 통제한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01
데리다 스스로 쓴 그 조사가 나를 데리다로 이끈 글이 되었다. 그가 쓴 조사의 마지막 문장은 "나는 여러분을 사랑합니다, 그리고 내가 어디에 있든지 여러분에게 미소 지을 것입니다"이다. 나는 ‘사랑’과 ‘미소’라는 개념을 담은 이 마지막 문장이 시사하는 바가 매우 심오하다고 본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12
교수 임용과정은 제도적 권력, 그리고 개인의 욕구 등 다양한 권력이 개입되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기득권을 이미 가진 교수들은 많은 경우 자신보다 실력이 좋거나 유명한 사람을 채용하려고 하지 않는다. 이러한 예가 1981년 리쾨르 교수의 후임으로 리쾨르가 강력하게 추천한 데리다가, 결국 그 교수직이 주어지지 않은 소위 ‘낭테르 어페어’에서 여실히 드러났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28
첫째, ‘외국인 혐오’에서 ‘외국인’이라는 것은 단지 인종적·종족적·국가적 의미만을 지니지 않는다. 외국인 혐오는 ‘낯선 것’에 대한 혐오, ‘익숙하지 않은 것’에 대한 혐오와 배제’와 이어진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44
우리의 사유방식 속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이분법적 대치성이 가져온 폭력성을 넘어 ‘낯선 것’에 눈을 돌리고 인정하게 한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44
데리다가 어릴 때부터 경험한 외국인 혐오·유대인 혐오는 혐오방식의 토대인 사유방식의 폭력성과 한계를 넘어서고자 하는 사건, 즉 해체적 사유방식, 읽기방식, 보기방식을 가능하게 한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44
나는 태어났다. … 나는(아직 안) 태어난다. … 인간이 단지 한 번만 태어났다고 도대체 누가 그러는가?37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45
그렇다면 이 책을 쓰는 ‘나에게’ 데리다는 누구인가. 내가 그에게 하나의 표지를 붙이라고 한다면, ‘따스한 시선을 지닌 연민의 사람’이라고 하고 싶다. 그는 "연민은 함께 살아감의 가장 근원적인 방식"이라고 한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52
"더블 바인드(double bind)"라는 표현이다. 더블 바인드는 데리다 사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더블 바인드는 우리가 늘 고려해야 하는 두 가지 측면을 동시적으로 보여준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58
데리다는 누군가에 대해 알고 싶다면 그 사람의 전기 한 권을 읽는 것보다, 그 사람이 쓴 글을 몇 줄이라도 반복하여 읽으며 씨름하는 것이 낫다고 본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56
데리다의 저서를 읽는다면 가능하면 한글 번역본과 더불어 불어나 영어본을 병행해 읽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56
만약 데리다의 저서를 읽기 어렵다면 데리다를 조명한 책이나 글이 아닌 데리다가 직접 쓴 글을 읽는 것이 필요하다고 나는 본다. 데리다의 읽기방식에 따르면, 무엇인가를 ‘완전히 통달’하는 것, 즉 모든 문장을 또는 책 전체를 100%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럴 필요도 없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56
자신에게 의미가 되는 부분과 만나고, 그것을 자신의 사유 세계와 연결시키는 것이 필요할 뿐이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56
궁극적으로 우리 각자는 자기만의 고유한 읽기방식을 만들어가고, 내게 의미로운 읽기가 무엇인지 계속 실험하면서 자기만의 읽기방식을 만들어가야 한다. 이것이 우리 각자에게 주어진 지속적인 과제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