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박동섭 지음 / 컴북스캠퍼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 선생님의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이 한 명이라도 더 많은 분에게 닿기를 진심으로 바라며, 이 책과 마찬가지로 ‘성숙’을 키워드로 하는 ‘레비나스 철학의 역사적 사명’과 레비나스의 제자인 저 우치다 다쓰루 철학의 ‘포지션’을 한국 독자들에게 소개하려 합니다.

-알라딘 eBook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박동섭 지음) 중에서 - P5

저는 레비나스의 텍스트를 읽으면서 ‘레비나스 텍스트를 읽을 수 있는 주체’로 자기 형성하는 프로세스를 손수 모색해 온 연구자입니다.

-알라딘 eBook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박동섭 지음) 중에서 - P5

물론 저와 같은 태도를 취하는 것은 ‘학술적’으로 ‘틀린 일’입니다. ‘학술적’이란 ‘가능한 한 객관적이고자 노력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저는 처음부터 레비나스에 대해 객관적이고자 노력할 생각이 없었습니다. 여하튼 ‘이 사람이 쓴 것을 이해할 수 있는 어른이 되고 싶다’는 것이 처음 레비나스 연구를 시작한 동기였기 때문입니다.

-알라딘 eBook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박동섭 지음) 중에서 - P6

저는 레비나스에 대해 ‘제자’의 포지션을 취하기로 선택했습니다. 이는 달리 말해 저와 레비나스를 ‘아기’와 ‘어머니’의 관계로 설정한다는 의미입니다. 어머니에게서 멀리 떨어져 객관적으로 어머니의 이것저것을 고찰하기보다 먼저 모유를 먹으며 스스로의 성장을 우선시했습니다.

-알라딘 eBook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박동섭 지음) 중에서 - P6

일신교라는 종교가 인류의 지성적·감성적·영성적 ‘진화’를 위해서 발명되었고 그것이 그 유적(類的) 사명을 충분히 다했다는 것에 저는 전혀 이론(異論)이 없습니다.

-알라딘 eBook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박동섭 지음) 중에서 - P7

저는 인간이 ‘신’이라는 개념을 발명함으로써 보다 인간적인 존재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신이 존재하는지 아닌지와 같은 논의에는 별로 의미가 없습니다.

-알라딘 eBook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박동섭 지음) 중에서 - P7

레비나스는 후설의 현상학을 처음 만났을 때 그것의 본질적 가르침이 자신의 ‘전철학적 경험’에서 도출한 생각과 깊은 곳에서 일치한다고 느꼈습니다. 이것은 제가 레비나스론에서 제시한 가설입니다.

-알라딘 eBook <성숙, 레비나스와의 시간> (박동섭 지음) 중에서 - P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