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 나는 애도한다, 고로 존재한다
강남순 지음 / 행성B(행성비)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데리다와의 데이트》를 통해서 데리다와 조우하는 이들도 ‘데리다의 유령’ 또는 ‘강남순의 유령’을 느끼면서 자신만의 자서전적 읽기와 사유하기 그리고 자취를 남기는 경험을 만들어가면 좋겠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27

어떤 것의 시작과 끝, 안과 밖, 또는 완성과 미완성이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시작’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시작’은 무엇을, 어떻게 ‘시작’한다는 것인가. 이러한 질문을 통해서 우리가 자명하다고 생각하는 ‘안’과 ‘밖’ 개념들의 경계에 돌연히 균열이 생기기 시작한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27

《데리다와의 데이트》에서 다루는 주제들 외에 특별히 포함하고 싶었던 중요한 주제들이 있다. 용서와 코즈모폴리터니즘이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28

데리다의 코즈모폴리터니즘과 용서에 관한 강연이 이 시리즈의 하나로 출판된 것은 의미가 깊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30

이 책을 쓰는 기간에 ‘코로나19(COVID 19)’라는 이름의 전염병이 세계에 확산되어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현상들을 우리는 경험하고 살아내야 했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31

누군가와 관계를 맺는 순간, ‘애도’는 시작된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31

내가 메타포로서 ‘데이트’라는 개념을 생각하게 된 것은, 내가 가르치는 대학원에서 데리다 세미나를 하면서부터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36

그런데 이러한 경험이 오직 데리다를 공부할 때뿐인가. 아니다. 복잡한 개념들과 사상 줄기들을 배우고자 할 때, 대부분의 사람이 우선 가지게 되는 감정은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가’라는 암담함이다. 이것이 내가 ‘데이트’라는 메타포를 사용하게 된 배경이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첫째, 상대방에 대한 ‘호감’이 있어야 한다. 호감이 없는데 특정한 사람, 사상가 또는 담론 등을 알고 싶은 욕구가 생길 수는 없다. 둘째, 호감이 생겼다면 그 호감을 ‘호기심’으로 전이시켜야 한다. 셋째,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양한 시도를 해야 한다. 즉 상대방을 알고자 하는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노력과 행동, 지속적인 열정과 끈기가 필요한 것이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37

나와 특정한 사상가와의 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내가 상대에게 호감과 흥미가 생기지 않으면, 아무리 타인이 그에 대해 좋게 이야기해도 데이트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호감을 가지게 되거나, 그 호감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애초에 불가능한 것이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38

내가 데리다와의 데이트에서 만나고 경험한 데리다에 대한 가장 적절한 표현을 찾으라면, 나는 주저 없이 ‘삶의 철학자’라고 할 것이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50

데이트 상대에게 호기심이 생기지 않는 것은 질문을 지니고 있지 않는다는 것이다. 질문 없이 그저 그 사람이 말하는 것만 수동적으로 듣는다면, 사실상 그 데이트 관계는 더 이상 진전하기 어렵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54

데이트하는 상대방을 진정 사랑한다면, 그 사람에 대하여 모든 것은 알고 ‘통달했다(master)’고 할 수 없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55

만약 이제 그 사람에 대하여 모든 것을 ‘알았다’라고 생각하는 그 순간, 사랑은 더 이상 사랑이라는 이름을 지닐 수 없다. 한 사람은 결코 ‘통달’될 수 있는 존재가 아니기 때문이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55

난해하기로 이름난 데리다에게 호기심과 호감이 느껴진다면, 그를 ‘통달’하려는 것이 아니라 데리다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념들이 보여주는 세계에 조금씩, 한 발자국씩 다가가야 한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55

한 사상가와의 만남, 그리고 그 사상가가 담고 있는 복합적인 사유 세계를 이해한다는 것은 그가 소중하게 그리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개념들과 만나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55

이 만남은 지속적인 호기심과 호기심이 만들어내는 질문에 답을 찾고자 지치지 않고 끈기 있게 모색하는 치열함 속에서 가능하다.

-알라딘 eBook <데리다와의 데이트> (강남순 지음) 중에서 - P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