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이런 푸코의 학자로서의 정체성은 무엇일까? 푸코는 하나의 정체성을 받아들이는 것은 물론이고 정체성 자체를 거부하겠지만, 통상 ‘철학자’로 간주된다. 그리고 이 책은 푸코 사상의 철학적 측면을 탐구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알라딘 eBook <푸코와 철학자들> (김은주 외 지음) 중에서 - P5
강연이나 인터뷰에서 푸코는 자신이 철학자가 아니라고, 자신의 작업이 철학적인 것이 아니라고 굳이 강조하곤 한다. "저는 작가도 아니고, 철학자도 아니고, 대단한 지식인도 아닙니다. 저는 교육자입니다."
-알라딘 eBook <푸코와 철학자들> (김은주 외 지음) 중에서 - P5
푸코는 파리고등사범학교 준비반에 있을 때 장 이폴리트의 『정신현상학』 강의로부터 큰 감화를 받고, 파리고등사범학교 철학과에 입학해 이폴리트의 지도하에 1949년 석사논문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의 역사적 초월성 구성」을 집필한다.
-알라딘 eBook <푸코와 철학자들> (김은주 외 지음) 중에서 - P5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일견 비철학적으로 보이는 대상에 대한 푸코의 작업 방식과 산물을 철학적 견지에서 고찰해 보는 방법일 것이다
-알라딘 eBook <푸코와 철학자들> (김은주 외 지음) 중에서 - P8
실제로 푸코 자신이 사후적으로 되돌아볼 때 자신의 후기 작업 전체가 하나의 주제, 곧주체와 진리의 문제로 포괄된다고 밝힌 만큼 이는 더욱 해 봄 직한 일이다.
-알라딘 eBook <푸코와 철학자들> (김은주 외 지음) 중에서 - P8
우리는 이들을 아래 세 부류로 나누었다. 2017년 한국프랑스철학회 가을 학술대회에서 5개 주제(데카르트, 칸트, 니체, 캉길렘, 알튀세르)가 발표되었고, 이후 4개(고대철학, 니체, 하이데거, 들뢰즈)를 추가했다.
-알라딘 eBook <푸코와 철학자들> (김은주 외 지음) 중에서 - P9
푸코는 자신의 작업을 왜 철학의 장 안에 위치시키기를 꺼렸는가? 철학 바깥을 자처하면서 거리를 두려고 했던 철학들은 무엇이었으며, 그럼에도 푸코가 추구했던 철학적 기획은 무엇이었는가?
-알라딘 eBook <푸코와 철학자들> (김은주 외 지음) 중에서 - P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