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데카르트는 신체를 영혼이 없는 사물에 불과하며, 신체의 기능은 기계적 작동과 같다고 간주한다. 이때 신체는 우리가 세계에 관여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일 뿐이다. 그러므로 신체는 철학적 사유에서 더 이상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38
데카르트에게 있어서 본다는 것은 사유한다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39
주지주의적 입장에서 의식은 신체 없이도 존재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사유하는 정신’으로 존재한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40
메를로-퐁티는 자극과 반응의 관계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가 동의하지 않는 것은 ‘일대일’의 기계적 반응의 관계이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42
메를로-퐁티가 ‘고유한 신체’라고 표현하는 이유는 과학화된 신체와 구별하기 위해서다. 고유한 신체는 현상학적 신체이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46
메를로-퐁티는 환각지를 우리의 정신이 오직 뇌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신체 모두에 속해 있다는 것을 보여 주는 현상으로 설명한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47
데카르트의 ‘봄’은 자아의 이성적 활동이며 반성적 행위로 간주된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51
지각을 회복하는 길은 우리가 신체의 본래적인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51
이미 언급되었듯이 우리에게 신체가 없다면, 행위는 있을 수 없다. 또한 우리의 의식과 관념 또한 없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77
메를로-퐁티는 반성적 사유가 반성 이전의 지평 위에서 펼쳐져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반성을 "보편적 이성에로의 단순한 복귀로 간주해서는 안 되고 그것을 미리 비반성적인 것에서 실현해서도 안 되며, 다만 그것을 비반성적인 것에 스스로 참가하는 창조적 작용으로 간주해야 한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77
메를로-퐁티는 반성적 사유가 반성 이전의 지평 위에서 펼쳐져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우리는 반성을 "보편적 이성에로의 단순한 복귀로 간주해서는 안 되고 그것을 미리 비반성적인 것에서 실현해서도 안 되며, 다만 그것을 비반성적인 것에 스스로 참가하는 창조적 작용으로 간주해야 한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88
주체는 더 이상 사유하는 코기토가 아니다. 주체는 신체적 주체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주체성은 주관으로서의 나와 객관으로서의 세계가 분리되지 않은 상태의 코기토로 설명되어야 한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129
인간은 ‘현재 거기에’ 존재하는 현존재이다. 현존재는 지금 거기에서 자신의 존재에 대해 물음을 던지는 존재자이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