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주의 작용을 통해서 진리를 발견한다. 우리가 주의를 기울인다는 것은 어떤 사건의 동기를 말하는 것이지, 원인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알라딘 eBook <신체와 자유> (심귀연 지음) 중에서 - P6
"세상에 만능은 없어요."
-알라딘 eBook <타자와 욕망 :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전체성과 무한』 읽기와 쓰기>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7
『전체성과 무한』은 읽기 어려운 책이다. 후설뿐 아니라 하이데거를 염두에 둔 대목이 많아서 특히 하이데거에 대한 얼마간의 선이해가 있어야 읽기 편하다
-알라딘 eBook <타자와 욕망 :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전체성과 무한』 읽기와 쓰기>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10
레비나스는 자유주의에서처럼 개인의 자유를 근본적인 전제로 여기지 않는다. 오히려 그런 자유에서 출발하는 폭력과 횡포를 문제 삼는다.
-알라딘 eBook <타자와 욕망 :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전체성과 무한』 읽기와 쓰기>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10
레비나스에 따르면,3 정의는 자유보다 우선하며 그 정의는 타자에 응답하고 책임을 지며 타자를 환대하는 데서 성립한다
-알라딘 eBook <타자와 욕망 :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전체성과 무한』 읽기와 쓰기>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12
석사 과정에서 헤겔의 『정신현상학』을 읽었을 때도 처음에는 무슨 소리인지 도통 감을 잡지 못했다. 반년 가까이 지나서야 어렴풋이 이해하기 시작했던 것 같다
-알라딘 eBook <타자와 욕망 :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전체성과 무한』 읽기와 쓰기>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13
하지만 철학책이 어려워지기 ‘쉬운’ 까닭은 있다. 기존의 상식적이고 일상적인 견지에서는 잘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풀어나가려다 보니 그렇게 되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타자와 욕망 :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전체성과 무한』 읽기와 쓰기>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13
우리가 특정한 철학적 사유에 이끌리는 것은 그 사유가 우리가 봉착해 있는 문제들에 답을 줄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이다. 그런 기대가 난해함을 극복하는 데 드는 수고마저 무릅쓰게 하는 것이다.
-알라딘 eBook <타자와 욕망 :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전체성과 무한』 읽기와 쓰기> (문성원 지음) 중에서 - P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