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의 탄생, 교육의 미래 - 대학 혁신의 날개를 휘젓다
스티븐 M. 코슬린.벤 넬슨 지음, 김필성.강현석 옮김 / 공감플러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대학교육은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 만약 이 질문에 답하지 않고서 고등교육이 직면한 다른 문제들을 해결하려 한다면 빈약한 교육과정과 잘못된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의 하향평준화로 귀결될 것이다. - P36

오히려, 우리는 매우 광범위한 교양교육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변화하는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지적 도구들을제공한다. 이로 인해 우리는 학생들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 직업에서 성공할수 있기를 원한다. - P39

실천적 지식에 대한 우리의 강조는 우리의 설립자들에게까지 거슬러 올라가는미국의 전통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으며, 존 듀이와 19세기 후반의 기능주의운동의 다른 구성원들에 의해 강화되었다(예: 듀이, 1913/1969; 후크, 1939). - P49

학계는 때때로 "브랜드"라는 단어에 불편해하지만, 대학은 성공하기 위해 특별한 질과 특성을 가지기 위한 명성을 개발해야 한다. 대학의 이름과 정체성을 보여주는 마크들이 이러한 질과 특성들에 관련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대학은 브랜드를 개발해야 한다. - P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