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오늘도 약을 먹었습니다 - 유산균부터 바이러스 치료제까지 지금 필요한 약슐랭 가이드
박한슬 지음 / 북트리거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은 체형에 대한 비판뿐만 아니라 나태함이나 탐욕에 대한 질책까지도 견뎌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타인의 외양을 두고 입에 올리는 것은 썩 적절치 못한 일이죠. 그런데 체형을 근거로 성격이나 삶의 태도, 가치관까지 부정적인 방향으로 지레짐작을 당하는 일이 잦다는 것은 더욱 심각한 문제입니다. 일종의 사회적 낙인(social stigma)이 발생하는 것이죠. 과체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존재하니 식욕억제제 사용 경험도 제대로 공유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비만과 식욕억제제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식욕에 대한 이해가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식욕은 왜 생길까요? 또 식욕억제제는 어떻게 작용할까요? - <오늘도 약을 먹었습니다> 중에서

먹는 이야기가 끝났으니 이제 싸는 이야기입니다. 치아가 부실해도, 소화가 안 되어도 먹는 것 자체는 내 의지대로 할 수 있지만, 배출은 아닙니다.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최소 이틀에 한 번 정도는 대변을 보는데, 그러지 못하는 사람들도 있거든요. - <오늘도 약을 먹었습니다> 중에서

변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누구나 알고 있는 교과서적인 방식을 따라야 합니다. 섬유소가 많은 식단으로 식습관을 개선하고, 규칙적인 식사와 배변 습관을 들여야 하죠. 이런 방식이 어렵다면 완하제를 사용해도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그럴 때도 가급적이면 팽창성 완하제나 삼투성 완하제를 사용하는 편이 좋습니다 - <오늘도 약을 먹었습니다> 중에서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수록 성장호르몬의 분비는 줄어듭니다. 성장호르몬이 줄어들면 조골세포의 활성화도 떨어지니, 뼈를 새로 만들어 내는 기능이 약해지죠. 더 큰 문제는 나이를 먹을수록 성호르몬의 분비량도 지속적으로 감소한다는 겁니다. - <오늘도 약을 먹었습니다>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