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동산 트렌드 2026 - 하버드 박사 김경민 교수의 부동산 투자 리포트
김경민 외 지음 / 와이즈맵 / 2025년 9월
평점 :
주택담보대출 상한을 6억원으로 묶는 6·27 대출 규제와 9·7 공급 대책 발표에도 집값이 오르고 있다보니 정부에서 곧 세번째 부동산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한다. 부동산 정책이 발표될 때마다 오히려 집값이 올랐다보니 새로운 대책에 대한 기대감보다는 앞으로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될지 걱정이 앞선다.
"부동산트렌드 2026"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부동산 시장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으며 내외부 상황으로 인해 앞으로 어떻게 될지에 대해 전망하고 있다. 15년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과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주요 지역에서의 매매가격지수, 거래량과 가격지수 등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었는데, 특히 서울에 인접한 김포, 남양주 등 8개 지역의 '신도시' 아파트 매매 시장 동향에 눈길이 갔다. 내 집 마련을 한다면 고려해 볼만한 지역인지, 이왕 이면 집값 상승이 예상되는 지역인지 등을 판단하는데 참고지표가 되는 부분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서울내 빌라 시장의 주요 동향에 대한 분석도 흥미로웠다. 서울 내 주택유형 중 비아파트 거주 가구수가 아파트 거주 가구수보다 많다는 점과 신축빌라 중심으로 전세사기 문제로 인해 빌라시장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이를 바탕으로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를 5가지로 소개하고 있어 빌라시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4장에서 소개한 2026년 부동산 투자 빅이슈 6가지 중에서 글로벌 정치, 경제 상황에 따라 금리의 변화,인플레이션, 화폐가치의 하락으로 실물자산 상승 등을 통해 부동산이 앞으로도 상승하겠구나 라는 예상을 할 수 있으며, 저자는 단순 상승이 아니라 서울 주택 시장의 양극화가 더 가속화되어 슈퍼스타 단지가 출현할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언론을 통해 들어봤을 법한 아파트 단지가 더 고가화된다고 하니 놀라울 따름이다.
5장에서 소개한 서울시 16개 대장 단지 상세리포트와 부록으로 실린 15개 대장 단지 평형별 가격 트렌드, 9억 이하 노원구 저가 단지 와 관련한 '저평가 아파트를 찾아내는 대장 단지 가격 리포트(2020~2025)'는 서울에 내집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는 이들에게 좋은 참고가 될 만한 내용인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