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생에 한번은 차라투스트라 - 니체와 함께 내 삶의 리듬을 찾는 ‘차라투스트라’ 인문학 강의
이진우 지음 / 휴머니스트 / 2020년 11월
평점 :

니체와 함께 내 삶의 리듬을 찾는 ‘차라투스트라’ 인문학 강의
니체의 철학을 알리는데 앞장서온 이진우 교수님이 저술하고 휴머니스트에서 출판한 <인생에 한번은 차라투스트라>는 니체의 철학에 관심을 가진 분이라면 누구나 흥미롭게 읽을 수 있는 교양서이다.
니체의 사상을 오롯이 모아둔 그의 대표작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어보다 이해가 잘 되었던 분이라면 이 책은 특히 도움이 될 것이다.
소크라테스의 ‘변론’과 더불어 가장 널리 읽히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많은 사람들에게 궁금증을 유발하는 책이기도 하다.
‘신은 죽었다’, ‘초인사상(위버맨쉬)’, ‘권력에의 의지’, ‘영원회귀’, ‘아모르 파티’, ‘낙타, 사자, 아이’, ‘독수리와 뱀’ 과 같이 유명한 개념과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이진우 교수님은 포스텍 철학 과정과 방송 중에 니체의 철학을 소개하는 방송분을 이 책에 오롯이 녹여냈다.
목차는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기본으로 하고, 방송에서 설명한 내용을 다시 한번 독자에게 설명하듯 소개하고 있어 직접 강의를 보면서 요약한 노트를 한 권 건네받은 느낌이다.
개인적으로 나도 교수님의 방송을 보면서 필기도 하고 그랬는데 이 책을 보면서 부족한 부분이 너무 많았음을 알게 되었다.
가장 기쁜 사실은 이 책을 읽고 다시 한번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읽어보니 기존에 막혔던 부분이 많이 소화할 수 있었고, 망치로 내려치는 듯한 니체의 울림을 어느 정도 공감할 수 있었다. 니체 말에 따르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은 새로운 복음서라 칭했는데, 그가 자신감을 드러낸 점에 부분적으로 공감할 수 있었다.
한 가지 불편했던 점은 니체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을 집필할 당시가 ‘루 살로메’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고 실패한 시점이라 그런지 여성에 대한 복수에 찬 시선을 던지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차라투스트라에 관한 해석을 읽는 독자에 따라 수많은 해석이 가능하다. 자신이 읽고 느끼는 대로 그의 철학을 받아들이면 된다.
차라투스트라는 누구인가?
당시 동양사상이 널리 퍼지고 있었고, 니체는 차라투스트라에 관해 루 살로메로부터 알게 된다. 조로아스터의 영어 이름이 차라투스트라이고, 그는 기원전 7세기에서 6세기에 조로아스터교를 창시한 페르시아인으로 알려져 있다. 니체는 그의 이름을 빌려 기존의 도덕적인 관념에서 선과 악으로 분리되었던 것을 넘어서서 새로운 도덕을 만들길 원했다.
“신은 죽었다”
차라투스트라는 성자와의 대화를 통해 그가 과거의 기독교 가치관이 지배했던 시대는 이미 종말을 고하고 모든 사람이 자신만의 가치를 따르고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고 생각한다. 즉, 이 말은 세속화된 기독교의 상황을 대변하는 것이다.
“초인사상 (위버멘쉬)”
“인간은 짐승과 초인 사이에 놓인 밧줄이다. 심연 위에 걸쳐진 밧줄이다. 저쪽으로 건너가는 것도 위험하고, 도중에 있는 것도 위험하며, 뒤돌아보는 것도 위험하고, 벌벌 떨거나 멈추어 서 있는 것도 위험하다. 인간은 위대함은 그가 다리이지 목적이 아니라는 데 있다. 인간을 사랑할 수 있는 것은 그가 건너가는 존재이며 내려가는 존재라는 데 있다.”
초인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의지를 가지고 우리 모두가 도달할 수 있는 상태를 초인이라 한다.
“권력에의 의지”
이 비밀도 삶 자체가 내게 말해주었다. “보라, 나는 언제나 자기 자신을 극복해야 하는 그 무엇이다. 물론 그대들은 이것을 생식에의 의지 또는 목적에의 충동, 좀 더 높은 것, 좀 더 멀리 있는 것, 좀 더 다양한 것에 대한 충동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하나이며 하나의 비밀이다.”
이 비밀이 바로 권력에의 의지이다. 초인이 되고 자기를 극복하려 한다면 권력에의 의지는 필요하다. 초인이 되려면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식하고 그것을 뛰어넘어야 한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권력에의 의지이다.
“영원회귀 사상”
니체는 영원회귀를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지 델포이의 신탁을 받았더니, 성문에 ‘순간’이라 되어있었다. 그는 순간이라는 의미를 깨우친다.
삶은 영원히 반복되는데, 영원히 반복되는 삶을 극복할 수 있는 것은 순간을 긍정하는 것이다. 이 순간은 모든 것의 시작점이자 종착점이다.
니체의 영원회귀 사상의 핵심은 결국 이 삶의 순간이 영원히 반복되기를 바랄 정도로 충실하게 살라는 뜻이다. 과거와 미래를 결정하는 것은 지금 바로 이 순간이다.
“아모르 파티” 네 운명을 사랑하라.
“각 개인은 미래와 과거로부터의 운명이며, 앞으로 도래할 것과 앞으로 될 모든 것에 대한 또 하나의 법칙, 또 하나의 필연성인 것이다.”
이 두가지를 토대로 우리가 삶을 바라본다면 운명을 통해서 자신의 삶을 자유롭게 발전시키는 능력을 발견한다. 니체는 너의 목적을 스스로 설정하라고 전하고, 그것이 너의 운명, 즉 아모르 파티라 한다.
“낙타, 사자, 아이”
“나는 그대들에게 정신의 세 가지 변신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어떻게 정신이 낙타가 되고, 낙타는 사자가 되며, 사자는 마침내 아이가 되는가를”
첫 번째 낙타는 황야에서 가장 무거운 짐을 지고 뚜벅뚜벅 걸어가는 동물이다. 낙타에게 적용되는 도덕 법칙는 “you should” 무엇을 해야하고 해서는 안된다는 도덕 명령이다.
낙타의 단계를 극복하면 사자의 단계이다. 사자에게 내면화된 도덕 법칙은 “I will”이다. 사자는 자유 정신을 의미한다. 사자의 단계의 중심은 내가 되고, 나의 하고자 하는 의지이다. 사자의 정신은 자유를 원한다.
낙타와 사자가 자기의 의지를 갖고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능력을 지닐 때 비로서 도달하는 단계가 아이의 단계이다. 아이에게 내면화된 도덕 법칙은 “I am”이다. 그냥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긍정할 수 있는 존재이다.
“독수리와 뱀”
차라투스트라의 동물 중 독수리는 정신을, 뱀은 물질의 상징한다. 니체는 우리가 자신을 극복하려면 정신과 물질을 조화롭게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진리는 하나가 아니라 우리가 내면을 들여다보면 자신에게 맞는 진리를 찾을 수 있다. 그것은 누구의 말을 따를 필요도 없고 자신의 가치를 찾아 자신앞을 가로막는 문제를 해결하며 스스로의 삶을 긍정적인 의지로 자신의 운명을 사랑하며 앞으로 나아가는 존재가 초인이 되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니체의 철학이 좀 더 가까이 다가옴을 느끼게 되었다.
- 이 글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인생에한번은차라투스트라 #이진우 #니체 #차라투스트라 #인문학 #휴머니스트 #책과콩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