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 시대의 지성 이어령과 ‘인터스텔라’ 김지수의 ‘라스트 인터뷰’
김지수 지음, 이어령 / 열림원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_김지수

 

http://www.yes24.com/Product/Goods/104692009

 

88올림픽 개막식에 굴렁쇠를 끌고 다니던 소년을 연출하고 초대 문화부장관을 지냈으며, 노견(路肩)_길 어깨를 갓길로 바꾸신 그분이 이어령이다. 88세로 돌아가시 전에 김지수 작가가 그분의 인터뷰를 정리해 놓은 책이다.

책장을 아껴가며, 곱씹으며 골똘히 생각하며 읽었다. 마음이 애잔함을 느끼며~

 

P25. 영혼을 인정하지 않는 것은 유리컵 안의 빈 공간을 인정하지 않는 거라고, (중략) 마음을 비워야 영혼이 들어간 수 있다네.

 

P27. 우리는 빛이 되지 못한 물질의 찌꺼기, 그 몸을 가지고 사는 거라네. 그건 우리가 반물질을 만나면 어떻게 될까? 빛이 되는 거야.

 

P29. 글을 쓴다는 것은 앞에 쓴 글에 대한 공허와 실패를 딛고 매번 다시 시작하는 것이라고, 그가 환하게 웃었다.

 

P56. 개미는 있는 것을 먹고, 거미는 얻어걸린 것 먹지만, 꿀벌은 화분으로 꽃가루를 옮기고 스스로의 힘으로 꿀을 만들어. 개미와 거미는 있는 걸 gathering 하지만, 벌은 화분을 transfer 하는 거야. 그게 창조야.

 

P94. 질문을 하는 한, 모든 사람은 배우고 성장한다는 것이다.

 

P108. 다르게 산다는 건 외로운 거네. 그 외로움이 모든 사회생활에 불리하지만, 그런 자발적 유폐 속에 시나 나오고 창조가 나오고 정의가 나오는 거지.

 

P191. 그저 끝없이 쓰는 것이 행복인 동시에 갈증이고 쾌락이고 고통이야. 어찌 보면 고통이 목적이 돼버린 셈이지.

 

P302. 남은 내 생각만큼 나를 생각하지 않아. 그런데도 남이 어떻게 볼까?’ 그 기준으로 자기 가치를 연기하고 사니 허망한 거지. 허허.

 

 

 

#이어령의마지막수업

#김지수

#열림원

#죽음에대하여

#삶에대하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텔&리조트 총지배인이 말하는 호텔리어로 산다는 것
운담 유영준 지음 / 부크크(bookk)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텔리어로 산다는 것_유영준

 

https://www.bookk.co.kr/book/view/139619

 

호텔리어로 산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살면서 많은 호텔을 이용해 보았다. 그러나 결코 만만한 직업은 아닌가 보다. 사실 따지고 보면 어느 직장생활이 편하고 안락하던가? 책을 통해 호텔리어의 삶을 조금이라도 간접 경험을 해보고 그들만의 성공과 성장, 열정을 느껴본다.

 

P7. 인생에 정답은 없다. 그러나, 우리의 인생과 삶은 그 정답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다.

 

P41. 이제 우리의 작은 행동과 의식들이 하나하나 모여 회사의 이미지와 우리 직업의 이미지를 결정한다.

 

P107. 우리는 스스로를 사랑하고 자신에게 관대해져야 한다. 자신을 사랑하고 관대한 사람이 다른 사람도 용서할 수 있다.

 

P125. 현재의 안락함과 매너리즘을 경계하자.

 

P163. 내 삶과 일상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메모 습관에 도전을 권유한다. 지금 당장 메모하고 습관화시키자.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P181. 진정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이 아닌 나 자신이고, 내 호흡으로 한 걸음 한 걸음 뚜벅뚜벅 걸어가는 것뿐이다. 이것이 내 삶이고 인생이다. 힘내자.

 

P263. 무안한 인내심으로 슈퍼 갑질도 이겨내고 고객의 폭언도 무리한 요구, 부당한 처사도 모두 이겨내는 우리가 슈퍼영웅이다.

 

P311. 오늘 하루를 최선을 다하고 열정을 다하면 그것들이 하나하나 모여 충실한 성과로 다가올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호텔리어로산다는것

#유영준

#총지배인

#호텔리어

#리조트

#성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호텔&리조트 총지배인이 말하는 호텔리어로 산다는 것
운담 유영준 지음 / 부크크(bookk)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호텔리어의 삶, 흥미진지하게 잘 느껴보는 계기가 되었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애씨, 문제는 남자가 아니야
김윤경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애씨, 문제는 남자가 아니야_김윤경

 

http://www.yes24.com/Product/Goods/3624413

 

인생에서 처음 겪는 혼란은 20~30대가 아닐까 생각한다. 나의 경우에는 20대에 정점을 찍었다. 아내의 말에 따르면 내가 갖기에는 조금 아쉽지만, 남에게 양보하기엔 정말 싫은 존재로 아내를 얻었다. 이제 두 딸이 성장하여 20대 중반이다. 얼마나 많은 고민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읽어보길 권해야겠다.

 

P18. 하이힐 마니아는 자신을 아름답게 가꿀 줄 아는 매력적인 여자다. (중략) 배설물 천지가 된 런던이나 파리 같은 도시에서 분뇨를 피해 걸어 다니기 위해 생겨난 것이 하이힐이다. 또한, 하이힐은 키가 작은 루이 14세의 열등감 극복용으로 이용됐다고도 한다. -하이힐의 기원과 유래

 

P32. 결혼_늦게 하자니 때를 놓칠까 봐 겁이 나고, 지금 하자니 뭔가 밑지는 듯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진퇴양난의 딜레마.

 

P53. 적어도 나로 사는 동안, 나는 행복할 것이다.

 

P67. 달콤한 밀어가 은닉하고 있는 실체는 농락에 가깝다는 것을. 그 모든 밀어가 불륜이기에 덧없다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 사람은 교통사고다. 그러니 유부남과 교통사고에는 그 어떤 보상도 없다. 혹독한 후유증만 남을 뿐이다.

 

P82. 잘생긴 놈, 돈 많은 놈, 성격 좋은 놈. 여자들은 이 셋을 놓고 골머리를 앓는다. 누굴 고르느냐는 순전히 개인 취향이다.

 

P174. 버티라는 충고는 처절하게 들리는 생존의 필살기이기도 하지만, 성공의 열쇠이기도 하다. 단거리 선수가 아니라 마라토너가 되라는 이야기다.

 

P198. 결혼은 미친 짓이다. 그러나 싱글은 더 미친 짓이다. 대한민국이라서 그렇다.

 

P224. 사랑이라면 가보는 거다. 몇 킬로미터로 질주하느냐는 대상마다 다르겠지만, 일단 엑셀을 밟는 거다. 그리고 달리는 거다. 사고가 날 수고, 죽을 수도 있지만 달리는 거다. 그것이 사랑이기에.

 

P258. 연애의 방점을 남자에게 찍는 것부터 경계해야 한다. 일단 스스로 행복한 여자가 돼야 한다. 남자와 상관없이 행복할 수 있는 여자 말이다. 적어도 그 상처를 극복할 수 있는 자기애를 되찾는 것. 그게 우선이다.

 

 

 

#영애씨문제는남자가아니야

#김윤경

#웅진지식하우스

#여자마음사용설명서

#사랑

#결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촉觸,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는 동물적 감각
이병주 지음 / 가디언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 미세한 변화를 감지하는 동물적감각_이병주

 

http://www.yes24.com/Product/Goods/6721090

 

전통적인 조직에서 살아 움직이는 자생 조직에 대한 해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선진기업의 예를 통해 방향을 제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괴소비시대 온전히 바꿀수는 없어도 시험적이라도 시도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틀에 박힌 생각에서 벗어나야 지속가능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나도 시도해 보아야겠다.

 

P94. 군중이라는 말을 들으면 수십만 명을 떠올리게 되지만, 군중은 세 명이면 충분하다. 세 사람의 힘이면 무슨 일이건 할 수 있다.

 

P42. 필요소비시대파괴소비시대로 전환 이성과 필요감성과 욕망, 목표와 성과재미, 획일성과 효율성다양성, 안정성예측불가능성

 

P100. 보상을 통해 지속해서 자발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가 없다. (중략)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보다는 주관적이고 느슨한 평가를 통해 관리해야 한다. 한마디로 결과보다는 과정을 더 중요시하는 경영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P163. 최고의 과학자가 자전거포 주인에게 진 이유 : 랭글리는 계획과 이론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방식을 택했고, 라이트 형제는 행동하면서 이론을 구체화해나갔다. (중략) 라이트 형제는 실험을 중시했고 랭글리는 이론을 중시했다.

 

P166. 불확실하고 예측이 불가능한 환경일수록 세상은 계획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게다가 사람들의 심리가 개입되면 계획은 처음부터 어긋나기 쉽다.

 

P220. 피라미드구조의 기업조직에서는 회사의 수준이 경영진의 수준을 넘어설 수 없다. 마찬가지로 팀의 수준도 팀장의 역량을 능가할 수 없다.

 

P243. 직원들에게 권한을 이양하고, 자유시간을 주며, 집단지성을 활용할 방법을 모색한다. 비공식적인 활동을 억지로장려하기도 하고, 다양성을 외치고 실험과 실패를 부르짖는다.

 

##동물적감각 #이병주 #가디언 #파괴소비시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