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산란을 바느질하다 시와표현 시인선 40
지시연 지음 / 달샘 시와표현 / 2017년 3월
평점 :
품절


통통한 거미가 열심히 거미줄을 치는 모습을 연상했다. 그리고 고향산천에 하얀 찔레꽃이 만발하여 불어오는 미풍에 그 향기가 실려 미간으로 전해 느낌이다. 실제 시담 지시연 시인을 만났을 때 받은 느낌과도 일치한다. 내가 받은 느낌은 참으로 열성적이고 부지런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또한, 시집 곳곳에 은유와 비유가 잔잔한 차향의 잔향으로 남아 온기를 갖고 생동함을 느껴본다.

 

P37. 외가리 한 마리 고상한 목선으로 그리는 의문부호 떨어지는 것-

 

P50. 어젯밤에 내리던 허깨비 같던 겨울비. 보초병처럼 세워두고 나는 흥건한 잠에 빠졌다 비의 불면-

 

P56. 등골을 타고 흐르는 기운에 따라 아침 빛깔이 다른 것처럼, 저 끝에서 마지막 입게 될 바람의 옷 한 벌 펄럭이고 있다 끝에서 끝을 이해한다는 것-

 

P62. 잘 닦긴 그릇들도 반들거렸다 선물 같은 하루가 산그늘 위에서 반쯤 누웠다 밀푀유-

 

P80. 겨우 눈을 뜬 별빛이 눈가에 박힌다 다시 가을-

 

P81. 너는 세월을 묻혀 내며 포르름 이끼 옷을 입고 검버섯이 늘어 갈수록 싱싱한 말들을 쏟아낸다 돌에게 말을 걸다2-

 

P88. 수놓던 바느질 통 슬그머니 당겨왔다 그 안에 핏줄 같은 실들이 잠들어 있다가 비틀거린다 찔레꽃-

 

P125. 동백나무 아래서 나누는 말의 온도가 동백꽃을 피우듯 따뜻한 나라에서 당신이 읽어 줄 사랑 시 한 편 꽃잎 속에 살짝 적어놓고 왔다 눈 오는 날-

 

 

 

#빛의산란을바느질하다

#지시연

#시담

#시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빙벽열전 - 집념의 마력, 빙벽에 미친 행복한 도전자들
손재식 지음 / 마운틴저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빙벽열전_손재식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3763527

 

빙벽등반을 방송이나 사진으로 보다가 우연히 빙벽 관련 서적을 보게 되었다. 참으로 경이롭다. 놀랍다. 그리고 역사와 전통을 갖고 있는 한국빙벽계의 기록을 보고 가슴이 뛰었다. 흥미진지하고 빙벽등반의 다체로운 이야기에 마음이 뭉클해 진다.

 

P130. 폭포가 얼어 빙벽이 되면 산악인들은 추위를 무릅쓰고 그곳을 찾는다. 어려움을 이겨내며 고난을 극복하는 것이 등반의 미덕이니 경사가 급하고 험해도 도전의 발길을 멈추지 않는다. 개척 정신으로 무장된 산악인들에게 미명의 봉우리와 미등의 벽들은 소리 없이 자리를 내주고 있다.

 

P147. 국사대폭을 끝낸 그들의 모습은 초췌했으나 마음은 어떠한 사람보다도 더 충만했다. 그때의 감정을 누가 알까. 시간은 가뭇없이 흘러가고 없으나 그 순간만은 여전히 오늘에 존재하고 있다.

 

P192. 왜 산에 오르는가 질문을 던져본다. (중략) 그런데 오르는 것 자체가 목적이면 자유로워진다.

 

P266. 1969년 창간된 월간 1994년 한국등반 사반세기를 결산하면서 10대 빙벽등반을 꼽아보았다. 여기에 대미를 장식한 사건은 37분 만에 토왕성폭을 단독으로 오른 강희윤의 기록이었다. -199422316:07

 

 

 

#한국빙벽열전

#손재식

#마운틴저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빙벽열전 - 집념의 마력, 빙벽에 미친 행복한 도전자들
손재식 지음 / 마운틴저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내내 찌릿찌릿, 흥미롭고 너무 놀랍다. 그리고 마음이 따뜻해짐을 느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암장순례 - 중부권
조선일보사 편집부.김용기 엮음 / 조선일보사 / 2004년 10월
평점 :
품절




 

암장이라는 순수한 단어 자체를 착각했다. 우연한 계기에 한국암장에 책을 접하게 되었다. 간혹 매체에서만 보았던 것들을 책으로 만나니 몹시 놀랍고 새삼 대단함을 느낀다. 암장 관련 책을 통해 새로운 세계를 접하는 기회가 되었다.

 

[머리글] 국내 암벽 등반사를 보면 1930년대 초부터 시작하여 70여 년의 짧지 않은 역사가 있지만, 전국의 암장을 소개하는 변변한 암장 소개서 하나 없는 실정이다.

 

P38. [북한산] 노적봉은 많은 사람이 즐겨 오르고 있는 만큼 오래된 루트들은 볼트나 하겐이 노후되어 안전이 염려된다. 무분별한 개척보다는 이미 루트화된 곳의 확보물을 교체하여 안전하게 등반할 수 있도록 보존해야 할 것이다.

 

P49. [북한산] 84년 독일의 클라이머인 제프 귀스벤트너가 내한하여 인공등반으로 오르던 백운대 호랑이굴 루트를 자유 등반하여 국내 등반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를 계기로 전국적으로 자유등반의 열풍이 확산되었고 북한산, 도봉산 일대의 기존 루트에서 자유등반이 시도되었다.

 

P63. [북한산] 루트 이름을 보면 특색이 있다. ‘시인 신동엽껍데기는 가라’, ‘종로5’, ’금강‘,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등을 발표한 신동엽 시인을 기리기 위해 지은 루트 이름이다. 김기섭 씨는 2년에 걸쳐 개척을 마무리하며 동학농민혁명의 김개남 장군, 손화중 장군, 녹두장군(전봉준)을 기려 루트 이름으로 정하게 됐다.

 

P127. [모락산_어느 얼간이의 바보 같은 사랑 이야기] 길이 6m에 퀵드로 4개가 필요한 루트이다. 암장에 들어서면 처음으로 보이는 오버행진 곳이 바로 이 루트이다. 등급이 너무 낮게 평가된 듯싶다. 전체적으로 오버행으로 미세하고 암각이 날카로운 홀드로 구성되어 있다. 미세한 홀드의 연속이므로 손가락 힘과 유연한 동작, 발 쓰기 등이 요구된다.

 

P164. [도드람산_돼지굴 암장(암릉길에 자리한 초, 초 중급자들이 즐길 수 있는 곳)] 옛날 경기도의 어느 산에서 한 스님이 허리에 밧줄을 묶고 바위 벼랑에 매달려 석이버섯을 따고 있었다. 그때 암릉 위에서 찢어지는 듯한 멧돼지 울음소리가 들렸다. 필경 사단이났다고 생각한 스님이 위로 올라가 보니 멧돼지는 보이지 않고 날카로운 암각에 걸려 있는 밧줄이 끊어지기 직전에 있었다고 한다. 이후 이 산을 멧돼지가 울었다 하여 멧돼지 저(), 울 명()자를 써서 도드람산이라 불렀다고 한다. 도드람산(349m)은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에 있는 작은 산이다.

 


 

 

#한국암장순례중부권

#김용기

#조선일보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를 생각하면 내가 행복해
여상도 지음 / 좋은땅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생각하면 내가 행복해_여상도

 

http://www.yes24.com/Product/Goods/116924872

 

마음 성찰의 에세이. 책의 두께가 얇아 한 손에 착 감기는 도서다. 고요한 마음으로 쓴 자기성찰 에세이. 만만해 보였으나 그 내용은 결코 만만치 않다. 조금은 무거운 주제이지만 많은 생각에 잠기는 에세이. 나를 되돌아보게 한다.

 

P22. 악한 사람은 현재가 지옥이고, 선한 사람은 현재가 천국이다.

 

P35. 현재 나의 모습은 내가 선택한 모습이고 내가 손수 받아들인 모든 것들이 쌓인 결과이다. 사람들은 그 결과를 숙명이라고 부르고, 우리는 오늘도 이 숙명에 따라가고 있다.

 

P65. 사람들은 자기의 생각을 나누고 서로를 인정해 주는 다른 사람을 만나고 싶어 한다. 모든 사람은 공감에 몹시 목말라 한다. 우리가 하루 중에 만나는 사람의 숫자는 이런 갈증에 비례한다.

 

P75. 기다리는 것이 행복함이 되기 위해서는 그것이 정제된 기다림이어야 한다.

 

P84. 가까운 길을 가지전에는 엄마에게 물어보고, 멀리 있는 길을 떠나기 전에는 아빠에게 물어봐야 한다.

 

P87. 권력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존재감을 타인에 대한 지배력으로부터 찾는다. 그러나 그 지배력은 위험스럽고 영속하지 못하며, 그 지배력을 잃어버렸을 때 오는 상실감은 사람에게 큰 박탈감을 준다.

 

P116. 글 쓰는 작가는 작품의 소재를 얻기 위해 새로운 공간으로 여행을 떠난다.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사람들은, 하나같이 특별한 공간 안에 머물고, 자신을 감싸는 공간으로부터 창작의 영감을 얻는다.

 

P157. 사람들은 미래가 있는 곳을 궁금하게 여기지만, 지금 내 피부를 스쳐 지나는 짧은 순간들이 바로 미래의 낱알이라는 사실을 알아채지 못한다.

 

 

 

#나를생각하면내가행복해

#여상도

#좋은땅

#자기성찰

#에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