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초 - 순식간에 원하는 결과를 끌어내는 결정적 행동의 비밀
리처드 와이즈먼 지음, 이충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지갑을 잃어본 경험이 있는사람이라면 그 번거로움이란 이루 말할 수 없음을 잘 알거다. 지갑에 들어있는 돈은 잃어버린다 치더라도 주민등록증이며, 각종 카드와 받아 놓은 명함들, 게다가 한 장 밖에 없는 소중한 사람이 담긴 사진까지 담겨있다면 거의 미친다. 그런데 이렇게 잃어버린 지갑을 다시 찾을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 열쇠는 바로 지갑에 담겨 있는 사진 한 장에 있다.

<괴짜 심리학>에서 기존의 통념을 뒤집는 기상천외한 심리 실험으로 '괴짜 심리학자'라는 애칭을 가지게 된 리처드 와이즈먼이 이번에는 "순식간에 원하는 결과를 끌어내는 결정적 행동의 비밀"을 파헤쳤다. 누군가의 마음을 움직이는데, 누군가의 판단을 이끌어내는 데 걸리는 시간은 1분도 채 안되는 59초! 이 짧은 시간 안에 누군가에게 원하는 결과를 끌어내기 위해서는 상대방의 심리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방법에 대해 각종 심리실험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이번 책 <59초>에서 보여준다. 

앞서 이야기한 '잃어버린 지갑'에 대한 실험 역시 59초의 상징성을 보여준다. 길을 걷다 지갑을 줍고 이것을 돌려줄 것인가 말것인가를 결정하는 데는 1분이 채 안걸린다. 지갑을 주웠다면 우선은 안을 열어 그 사람에 대한 정보를 찾게 될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지갑이 그렇듯이 열자 마자 보이는 곳에 한 장의 사진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여타 지갑과 같은 각종 카드와 지갑 보다는 어떠한 개인의 자신을 도드라지게 보여줄 사진에 눈이 가게된다. 리처드 와이즈먼은 바로 이 점에 착안했다.

그는 웃는 아기, 귀여운 강아지, 행복한 가족, 만족스러운 표정을 짓고 있는 노부부, 그리고 아무것도 넣지 않은 지갑을 준비한다.  이렇게 네 장의 사진과 사진이 없는 지갑을 잃어버려 일주일 안에 몇 퍼센트의 지갑이 돌아오는가를 살핀다. 각각 40개씩 잃어버렸는데 아무것도 넣지 않은 지갑은 6개만 돌아왔고, 노부부 사진, 강아지 사진, 가족 사진은 각각 11개, 19개, 21개가 돌아왔다. 그렇다면 가장 성적이 좋았던 사진은? 바로 아기 사진이다. 35개가 돌아왔다. (이에 대한 이유로 리처드 와이즈먼은 아기 사진에 대한 반응은 인간 진화의 산물이라고 후에 자세한 이론적인 설명을 덧붙인다.) 

 

   
 

             1분 안에 우리의 삶을 더 낫게 만들어주는 방법 

1. 감사하는 태도를 길러라
2. 지갑에 아기 사진을 넣고 가지고 다녀라
3. 부엌에 거울을 걸어놓아라
4. 사무실에 식물을 놓아두어라
5. 호감을 얻고자 하는 사람의 위팔을 가볍게 만져라
6. 관계에 대한 글을 써라
7. 상대가 거짓말할 것 같으면, 이메일로 용건을 말하라고 써라
8. 아이를 칭찬할 때에는 능력보다는 노력을 칭찬해라
9. 목표를 달성한 모습이 아니라, 노력하는 모습을 상상하라
10. 자신의 유산을 생각하라

 
   

 

기존에 우리가 아무런 의식 없이 믿고 있었던 상식과 통념을 깨는 이야기도 수두룩하다. 자기계발에서 활용되는 '자기 최면(자신의 미래를 상상해보고 그려보는 일)'은 효과가 없음이 밝혀진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외팅겐은 졸업반 학생들에게 '대학 졸업 후 꿈꾸는 일자리를 얻는 것에 대해 얼마나 자주 상상에 빠지는가'를 물었다. 그리고 2년 동안 학생들을 추적한 결과 성공한 상상에 자주 빠진다고 대답했던 학생들일수록 구직활동을 덜했고, 취직도 덜 되었으며, 보수도 훨씬 적게 받았음이 밝혀졌다. 

 또 다른 하나는 브레인스토밍에 관한 것이다. 1940년대 초 광고 회사의 중역이던 알렉스 오즈번(Alex Osborn)이 한 “보통 사람은 혼자 일할 때보다 집단으로 일할 때 두 배나 많은 아이디어를 내놓을 수 있다”는 주장은 지금까지 창조적인 업무를 하는 필드에서 경전처럼 믿고 있는 말이다. 하지만 영국 켄트대학에서 실시한 실험에 따르면 혼자 일하는 것보다 집단으로 일을 하는 것이 아이디어의 양과 질 모두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1880년 후반 프랑스 농업고학자 막스 링겔만이 한 실험과도 연동이 되는 것인데 당시 밧줄을 끌어 짐을 올리는 사람들의 무게를 분석해본 결과 혼자 일할 때는 각 개인이 85kg을 끌어올렸지만 집단으로 일할 때는 한 사람당 65kg밖에 끌어올리지 못했다. 혼자서 일할 때는 순전히 개인의 능력과 노력에 그 결과가 달려있지만 집단이 되었을 때는 '사회적 나태'현상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생각해보면 정말 그렇다. 다른 사람의 일에 대한 브레인 스토밍을 해줄 경우는 정말 너무나 아무생각 없이 말을 던지는 나 자신을 종종 발견할 때가 있었다.

일상에서 써먹을 수 있는 소스도 풍부하다. 적절한 스킨십으로 상대방에게 호감을 살 수 있는 방법, 연인과 혹은 부부와 오랫동안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 짧은 시간 안에 면접관의 호감을 사는 방법, 거짓말 하는 상대를 간파해내는 방법, 매번 실패하는 다이어트에서 성공할 수 있는 방법 등 심리실험을 통해 밝혀낸 목표 달성을 위한 그만의 재미난 방법들이 등장한다.

이전의 책과는 달리 <59초>에는 갖가지 팁들로 읽는 재미를 더했다. '59초 코치'라는 색션은 실생활에서 우리가 직접 훈련을 할 수 있는 테이블을 제시해주고 있고 갖가지 그림자료는 직접 체험해보면서 글을 읽을 수 있게 해준다. 책을 읽다보면 가끔 '59초'라는 책 제목을 잊게 될만큼 이 실험이 그것과 무슨 상관이지..라는 생각이 들 때도 있지만 갖가지 심리 실험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역시나 괴짜 심리학자임을 증명해준 리처드 와이즈먼, 그냥 재미있는 심리 교양서를 뛰어넘어 심리 자기계발의 세계로 그 세계를 넓힌데 박수를 보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