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심장을 쏴라 - 2009년 제5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뮤지컬 루나틱은 '루나틱'이라는 정신병동에 온 세 명의 환자들의 이야기를 유쾌하면서도 우리 사회에 실랄한 비판의 목소리를 던진다. 루나틱에 입원한 세명의 환자(나중에 한 명이 더 등장해서 총 4명이 되지만..)는 모두 사연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다. 젊은 청년은 사랑에 상처를 받아서, 할머니는 젊은 시절 남편과 지독히도 어려운 생활을 이어오다가, 그리고 한 아저씨는 자신의 지나친 아들 사랑에 아들을 잃고 미쳐서 병원에 들어온다. 이들의 공통점은 세상에 상처를 입었다는 것. 그리고 남들과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 그래서 정신병원에 오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들을 정신 병원에 가둔 건, 아니 그들을 미치게 만들었던 건 그들 자신이 아닌 우리들이었다. 단지 우리는 (혹은 사회는) 그 책임을 피하고 싶어, 그들의 이야기에 귀를 열지 열지 않고 정신병원이라는 공간을 가두어 그들을 가두어 버린 것이다.  

   
 

"정신병동에는 두 부류의 인간이 있어요. 미쳐서 갇힌 자와 갇혀서 미치는 자."
최기훈의 눈을 똑바로 바라보았다. 내 눈을 피하지 못하도록 꽉 붙들었다.
"승민이가 어느 쪽인지 최 선생님은 잘 알아요. 그게 내가 아는 진실이에요."
_ <내 심장을 쏴라> 213쪽

 
   


 <내 심장을 쏴라>역시 <루나틱>과 같이 정신병동을 배경으로 한다.  이 책은 수리 희망병원에 갇힌(?) 주인공 수명과 승민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그들의 마음 속 깊은 상처와 치유의 과정, 그리고 병동에서 만난 여러 친구들과의 갖가지 재미난 에피소드, 우정, 감동 스토리까지 다양한 이야기들이 잘 버무러져 있는 소설이다. 세상으로부터 버림 받고, 자기 자신한테서마저 도망친 사람들. 어느 한 사람 자신의 말을 믿어주지 않는 공간에서 이들은 하루하루를 힘겹게 살아간다. 병원장은 2주에 한번 병원에 들러 서류에 도장만을 찍을 뿐이고 점박이를 비롯한 간호사들은 이들을 짐승만도 못하게 대한다. 그나마 사람 이름으로 불리는 최기훈만이(최기훈만 사람 다운 이름을 붙여 부르는 건 작가의 의도 때문이 아닐까? 수명의 눈에 그를 뺀 다른 사람들은 그냥 점박이, 전봇대 일 뿐이다) 그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할 뿐이다.  

주인공 수명과 승민의 우정은 수리 희망병원에 들어간 첫날 승민과 함께 병원에서 한바탕 소란을 일으키고 부터 시작한다. 처음에는 여러가지 어긋나는 점도 많지만 이 둘은 서로를 알아본다. 이들은 미친 것이 아니라, 세상에 상처를 입고 세상에 마음을 닫아 버린거라고. 이들의 눈에 정신병원은 치료 기관이 아니라 교육기관이다. 규율에 순응 하는 것을 익히는 학습장이고, 반항은 지독한 궁지와 같은 말이라고. 도와달라고 아무리 소리쳐봐야 누구 하나 나서지 않는다는 걸...  수명은 승민의 사연을 알게 되고 승민이 실명의 위기에 놓이자, 승민의 꿈을 이루어주려 탈옥 계획을 세우기 시작한다. 그리고 마침내 이들은 성공한다. 둘이 헤어지는 마지막 순간, 승민은 수명에게 시계를 쥐어주며 이야기한다. "이제 빼앗기지마. 네 시간은 네거야."
 
행복한 결말은 아니었지만 오히려 승민에게는 헤피엔딩이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는 어쩌면 벌써 알고 있었던 걸 거다. 세상으로 돌아가도 다시 병원으로 보내질 것이 분명하고, 그 누구도 자신의 말을 믿어주지 않을 거라는 거. 자신의 편은 이 세상에 이미 단 한명도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을 말이다. 그래서 그는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던 일을 하며 생을 마감한거다. 자신의 꿈이었던 세계 페러글라이딩 선수의 꿈을 꾸면서 말이다. 수명 역시 병원에서 아버지의 죽음 소식을 듣고, 이전의 엄마의 죽음을 떠올리며 그것과 당당하게 마주하는 순간 저 밑 속까지 참았던 울분을 토해낸다. 승민이 수명에게 그것을 선물해 준 거다.  "와, 다 와. 날 죽여보라고, 자식들아!"라고 포효하던 승민은 정신병자가 아닌 그렇게 남들과는 다른 멋진 사람이었던거다.

<내 심장을 쏴라>는 1억원 고료라는 국내에서는 엄청난 고료를 주는 세계문학상(제 5회)을 수상한 작품이다. 심사위원들의 평처럼 '거듭 탈출을 꿈꾸고 또 시도하지만 늘 그 자리에 머무는일상에 대한 은유처럼 소설은 진지한 의문을 가슴에 품게 만든다'. 하지만 초반부에 떨어지는 흡입력과(심사평에서는 초반 60쪽 가량이라고 했지만 내가 느끼기엔 책의 1/2을 넘어서야 그게 가능했다), 그닥 새롭지 않은 소재, 그리고 가끔 갖가지 수사들로 늘어지는 문장들은 실망감으로 다가왔다. 세게문학상의 심사 기준은 가끔 나를 갸우뚱 하게 하지만(작년 <스타일>을 읽었을 때는 더 했다.) 그건 아직 내가 문학을 보는 눈이 없기 때문이라 자책하며 더 공부를 하는 수 밖에. 세상과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 세상이 원하는 것과 다르게 행동한다는 것만으로 정신병 환자 취급을 받는 이 세상이 한없이 두려워지는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