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못 된 세자들 표정있는 역사 9
함규진 지음 / 김영사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드라마 <이산>이 시작했을 때 1,2회를 다운 받아가며 열심히 보았던 기억이 난다. 어린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와 영조와의 관계를 풀어가기위해 눈물을 머금고 할아버지에게 아버지의 무고함을 고하는 장면이 인상적이었다. 넓디넓은 궁궐 앞마당에 덩그라니 놓여있는 뒤주. 근처에는 그 누구도 얼씬 거리지 말라는 영조의 어명을 어기고 어린 정조는 아버지에게 음식을 전하기 위해 몰래 다가가고, 아버지의 이름을 부르며 목놓아 울었다. 그리고 사도세자는 뒤주 속에 갇혀 반역을 도모했다는 역모 속에서 억울하게 죽어갔다.

역사 속에는 어찌보면 억울하게, 세자이기 때문에 갖은 수련과 힘든 시기를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왕이 되지 못한 사도세자와 같은 인물이 있다. 제목만으로도 그 안타까움과 억울함이 전해지는 <왕이 못 된 세자들>은  일찍이 왕의 자리를 약속 받았지만 끝내 옥좌에 오르지 못한 조선시대 12명의 세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표정있는 역사>시리즈의 9번째 책이기도 한 이 책은 이 전의 책들이 주류의 입장이 아닌 비주류의 관점에서, 새로운 관점과 독특한 해석으로 많은 역사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왔던 것처럼 조선 역사 속에서 '세자', 그것도 '왕이 되지 못한 세자'에 초점을 맞춘것이 특징이다.

조선왕조는 통틀어 27명의 세자가 있었고, 그들 중 절반 가까운 12명이 왕이 되지 못한채 쓸쓸한 최후를 맞았다. 살해되거나 폐위된 경우가 다섯, 병사한 경우가 여섯, 왕조가 멸망해버린 경우가 하나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세종대왕의 형이었던 양녕대군, 뒤주 안에서 죽음을 맞은 사도세자 외에도 최초의 세자였던 이방석, 소현세자 이왕,  아버지와 함께 폐위된 폐세자 이질, 이황 등 12명의 불운했던 세자들의 쓸쓸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권력의 제 2인자라는 화려한 이름 안에 갇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세자들의 일상은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어린 나이에 세자라는 이름을 받아 각종 오락이나 취미생활은 원천봉쇄되었다. 마치 지금의 고시생 수준이랄까? 하루 세번 유교 경전 공부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으며, 부왕을 보좌하는 역할로 각종 연회와 예식에 참석해야했으며, 대소신료들과 부왕 사이에서 눈치도 봐야했으며 때로는 각종 음모와 비방에 휩쌓여 맘고생도 해야했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본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세자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 세자들. 이 책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세자들의 삶은 정말로 비슷한데 하나같이 답답하고 힘들어 하고 있었다.

조금 독특했던 부분이라면 양녕대군에 관한 이야기였다. 양녕대군은 동생에게 옥좌를 양보하기 위해 일부러 미친짓을 했다고 알려져있다. 나 역시 그런 이야기를 어디선가 읽은 기억이 있었고, 워낙 뛰어났던 동생이었으니 정말로 그러했을 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그에대해 부정적으로 이야기한다. 실록에는 충녕대군을 험담하는 양녕의 모습이 보이고 있으며, 양녕의 비행을 소문내는 충녕의 장인 심온의 모습도 보인다는 것이다. 당시 부왕이던 태종은 호탕하고 진취적인 스타일의 군주보다는 문(文)에 뛰어난 군주를 원하고 있었다. 태조부터 무(武)의 기운이 강한 군주들이 내려와 이제는 안정된 나라를 꾸릴 왕이 필요했던 것이다. 즉 그는 시대의 흐름에 밀린 것이지 본인이 스스로 거부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역사는 때로는 소설보다 더 드라마틱하다. 화려한 궁 속에 쓸쓸하게 삶을 마감했던 왕이 못 된 세자들의 삶은 하나하나가 소설같다. 모든 것을 가진듯하지만, 정작 어느 것 하나 제대로 가진 것이 없는 세자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삶은 더 비참한듯 보인다. 실록과 함께 독특한 관점으로 써내려간  <왕이 못 된 세자들>. 마지막 책장을 넘기는 순간 더욱 가슴이 아파오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