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에는 국경도 없다 출판기획 시리즈 2
강주헌 지음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세상의 책들을 좋은 책과 나쁜 책으로 구분할 수 있을까? 읽어 득이 되는 책과 읽어 독이 되는 책이 있을까? 이 책의 저자는 이런 질문으로 책 머리를 시작한다. 나 역시 매번 묻지만 답을 찾을 수 없는 질문. 양서와 악서.저자는 분명하게 대답한다.

"어떤 책이라도 내게는 도움이 됩니다. 한 권의 책을 출간하려는 저자가 아무런 의도도 없이 쓰지는 않았을 것이 아니겠습니까."

이 책은 출판 에이전시 대표로,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는 저자가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출판 기획에 관해 이야기 한 책이다. 한 권의 외서가 어떻게 국내로 소개되어 어떤 출판사를 통해 출간되는지 잘 모르던 독자의 입장에서는 참 새로운 책이었다. 외국 저작권사와, 국내 출판사와, 번역자, 디자이너 등등이 엮어 한 권의 책을 출간하는 출판 프로세스는 흥미로워 보였다.

 

   
  그렇다면 무엇이 달라야 할까?
그가 찾아낸 성공 비결, 즉 책을 팔 수 있는 비결은 네 가지였다.
주제, 내용, 디자인, 가격이었다. 
- 71쪽 중에서
 
   


하늘 아래 새로운 주제는 없다. 베스트 셀러에 올라와 있는 책들의 목록만 봐도 알 수 있다. 창작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소설역시 최근 베스트 셀러 순위에 올라와있는 책들의 소재는 뻔하다. 하지만 다른 게 있다. 내용의 구성 방식, 전달 방식, 책의 디자인, 가격. 이건 분명 다르다. 우리가 책을 고를 때 어떤 것에 많이 좌우되는지 생각해보면 사실 쉬운 답이다. 똑같은 엄마를 소재로 한 책 여러권이 있는데, 결국 내가 집는 것이 어떤 것이냐를 생각해보면 된다.

해외출판기획을 다룬 2부 역시 흥미롭다. 어디서도 들을 수 없었던 해외 출판의 생생한 사례를 읽고 있으면 그들의 열정이 있었기에 수십 년, 수백 년을 이어가는 책을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무너져 가는 파이돈 북스를 인수해 예술 전문출판사로 자리매김한 리처드 슐레그먼, 세계에서 주목받는 독립출판사 뉴프레스를 키워낸 앙드레 쉬플린의 이야기는 그 중에서 단연 감동적이다. 

가끔은 한국의 문화적 성향과 시대의 흐름은 배제한 주장이 눈에 띄기는 하지만 살아있는 저자의 경험담과 풍부한 사례가 그러한 단점까지 매력적으로 보이게 한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 책을 만들고 싶은 사람들, 그리고 현재 출판계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이 읽으면 좋을 책인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