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스트 ㅣ 퓨처클래식 4
세라 워터스 지음, 김지현 옮김 / 자음과모음 / 2016년 6월
평점 :
세라 워터스의 장편소설 ‘게스트’를 읽었다.
얼마
전에 영화 ‘아가씨’를 보고 영화의 원작 ‘핑거 스미스’에 대한 관심이 있었는데
그
와중에 세라 워터스의 신작이 나오게 되어 읽게 되었다.
소설의
줄거리는 프랜시스의 집에 바버씨 부부가
세입자로
들어오면서 벌어지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핑거
스미스’와 마찬가지로 이 소설 또한 동성애를 다루고 있다.
사실
이 소설의 띠지에 매혹적 미스터리라고 적혀 있어서 미스터리에 대한 기대가 있었는데
이
소설에서는 미스터리의 분위기는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미스터리보다는
치정극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프랜시스가
릴리안과 사랑에 빠지게 되면서 일어나는
다양한
사건들을 그려내고 있기 때문이다.
두꺼운
분량을 가지고 있고, 또 소설의 시점이 프랜시스의 입장에서 진행되다 보니까
프랜시스의
정서를 섬세하게 그려내고 있다.
‘핑거
스미스’를 읽지 않고 영화 ‘아가씨’만 본 입장에서
‘핑거
스미스’에 그런 장면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
소설 ‘게스트’에는 영화 ‘아가씨’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였던
골무가
나오는 장면과 비슷한 부분이 있었다.
바로
머리를 자르는 장면이었는데 소설을 읽으면서 시각적으로 생생하게 느껴지는 기분이었다.
프랜시스의
눈으로 소설은 전개되지만 사실 프랜시스에게 감정이입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
그녀는
무척이나 충동적이고 어떤 면에서는 이기적이라고 느껴지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후반부에
큰 사건이 벌어졌을 때 특히 그런 생각이 들었다.
따지고
보면 모든 일의 원인의 제공자는 프랜시스였기 때문이다.
소설을
읽으면서 작가가 배경을 전쟁이 끝난 후로 설정한 이유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았다.
전쟁이라는
끔찍하고도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의 마음을 지배할 일을 겪고,
그
일이 다 끝난 다음에 사람들은
전쟁의 후유증을 앓는 동시에
모든
것이 끝나버렸기 때문에 동시에 공허함을 느꼈을 것 같다.
그러한
시점에서 프랜시스와 릴리안도 뭔가 흥미로운 일이 필요하던 찰나에 서로에게 끌리고
결국에는
파국으로 치닫는 일까지 이어지게 된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핑거
스미스’도 궁금해지게 만든 소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