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켄슈타인 (양장)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4
메리 셸리 지음, 김선형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6월
평점 :
품절
메리 셸리 작가의 장편소설 ‘프랑켄슈타인’을 읽었다.
문학동네의
세계문학전집을 예전에 여러 권 사놓고
한
권도 읽지 않아 틈틈이 읽어나갈 계획이다.
그동안
프랑켄슈타인이라는 이름은 많이 들어보았지만 책은 읽어보지 않았고,
무섭게
생긴 괴물의 형상만 알고 있었다.
이번에
책을 읽으면서 알게된 놀라운 사실 중 하나는
괴물의
이름이 프랑켄슈타인이 아니라는 것이다.
나만
그렇게 착각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프랑켄슈타인은 그 괴물을 만든 사람의 이름이었다.
책은
다양한 인물들의 입을 빌려 이야기를 전개해 나간다.
가장
흥미롭고 가슴 아팠던 부분은 괴물이
자신의
입으로 자신의 고통과 수난을 생생하게 이야기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런지 나는 어쩌다 보니 괴물에게 가장 감정이입을 하게 되었고,
프랑켄슈타인에게는
오히려 화가 났다.
프랑켄슈타인이
그 괴물을 만드는 데 있어 물론 열정과 많은 연구의 과정을 거쳤겠지만
결국
그가 만든 것은 2미터 10센티의 거대한 몸집에 흉측한 얼굴을 지닌 괴물이었다.
하지만
프랑켄슈타인에게서 자신의 작품에 대한 책임 의식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그
괴물이 보통 사람처럼 살아갈 수 있게 도와주기는커녕 그 자리를 피해버렸고,
결국
괴물은 치욕스러운 일들을 여러 번 겪게 된다.
자신이
매일같이 지켜주고 싶고,
친구이자
보호자가 되고 싶었던 오두막의 사람들에게 공격당하고
강물에
떠내려가는 사람을 구해주었더니 돌아오는 것은 폭력뿐이었다.
물론
괴물이 프랑켄슈타인의 사랑하는 가족들을 죽인 것은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하는 범죄이다.
하지만
그러한 결과조차 프랑켄슈타인이 자초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쨌든
고전 소설임에도 불구하고 박진감 넘치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만날 수 있어서 좋았다.
예전에
재미있게 본 팀 버튼 감독의 ‘프랑켄위니’가
이
프랑켄슈타인과 연관되어 있는지 몰랐었는데,
‘프랑켄위니’는
사랑을 듬뿍 받는 주인공이 나오기 때문에
괴물에
대한 안타까움이 더 커진 것 같다.
문학동네의
다른 세계문학전집도 꾸준히 읽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