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말해줘
존 그린 지음, 박산호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4년 10월
평점 :
절판


존 그린의 작품 '이름을 말해줘'를 읽었다.

얼마전에 읽었던 '윌 그레이슨, 윌 그레이슨'에 이은 두 번째 작품인데, 뭐가 더 재밌었는지는 잘 모르겠다..

(표지는 '이름을 말해줘'가 승!)

내용의 줄거리는 캐서린이라는 여자에게 19번째로 차이고 난 콜린이 친구 하산과 여행길을 나서면서 린지를 만나면서 벌어지는 일이다.

인물의 구성이 '윌 그레이슨, 윌 그레이슨'만큼이나 독특하다.

우선 콜린이 가장 독특한데, 첫 번째로 만난 캐서린에 대한 기억이 워낙 강력해서 어쩌다 보니 계속 캐서린이라는 이름의 사람과 사랑에 빠진다.

그리고 차인다... 또한 콜린은 평범한 사람들보다 머리가 비상한 편인데, 그렇다고 천재는 아니다.

사실 이런 설정을 보면서 어디선가 본 말이 생각났다.

천재는 영재가 되고 영재는 수재가 되고 수재는 결국 평범한 인간이 된다는 느낌의 말이었는데 IQ가 높은 사람이 꼭 사회적으로 더 성공하는 것도 아니라는 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것 같다.

하산은 콜린의 절친으로 푸짐한 몸을 가지고 있는 콜린의 상담소 역할을 해준다.

그런 콜린과 하산이 자동차 여행을 떠났다가 어쩌다보니 린지의 집에서 일을 하면서 머무르게 되는데,

콜린과 린지가 시간을 함께 보내면서 콜린의 사랑에 대한 생각이 점점 바뀌어 간다.

 

사실 '윌 그레이슨, 윌 그레이슨'보다는 조금 약한 설정이기는 하지만 이 작품 '이름을 말해줘'는 잔잔한 매력을 가지고 있다.

콜린의 말을 보는 것만으로도 재미가 있었는데 애너그램을 하는 부분이나 여러 놀라운 지식들을 얘기할 때, 맞춤법을 수정할 때 등이 재미있었다.

특히 콜린이 혼자 생각하고 상대방에게 말하지 않는 생각들이 웃음을 주었다. 실제로 있을 법한 묘사가 생생하게 다가왔던 것 같다.

이 책의 번역에서도 센스를 느낄 수 있었는데, 또다콜과 담씹땅, 청꽉애라는 말이 계속 등장할 지 모르고 빠르게 읽어서 나중에 그 단어들이

다시 나왔을 때 앞으로 가서 무슨 뜻인지 확인해보기도 하였다 ^^;

존 그린의 소설을 두 번 읽은 결과 나와 잘 맞는 작가인지 아직 잘 모르겠다.

집에 있는 '잘못은 우리 별에 있어'까지 읽어야 확실히 알 수 있을 것 같다.

 

P.S. 아쉽게도 수학을 잘 하지 못해 이 책에 나온 그래프들과 수학적 설명들은 넘어갈 수밖에 없었다 ..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