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드라큘라 - 하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66
브램 스토커 지음, 이세욱 엮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를 읽었다. '드라큘라'라고 하는 이름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하다.
나도 어디서 처음 들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미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브램 스토커라는 이름은 잘
들어보지 못한 이름인데,
최근에 읽은 스티븐 킹의 '닥터
슬립'의 겉표지에 브램 스토커 상 수상이라고 적혀있는 것을 보았다.
아마도 인기 있는 공포, 호러,
미스터리, 스릴러 소설 들이 수상하는 상같다.
드라큘라는 그토록 유명한
흡혈귀(뱀파이어)에 관한 이야기이다.
아마도 드라큘라가 제목인 것으로
보아 처음 이런 내용을 발명했다고도 생각이 되었다.
책은 기본적으로 네 명의 남자와
두명의 여자의 일기가 등장한다.
아서 홈우드, 반 헬싱, 조너선
하커, 존 수어드, 미나 머레이, 루시 웨스텐라의 일기가 번갈아 나오는 독특한 구조로 소설이 진행되어서
사실은 이 점은 장단점이 있는 것
같다고 느꼈다. 어떤 일을 바라보는 인물이 달라지면서 그 내면을 잘 알 수 있었지만
거의 모든 페이지가 일기로
진행되다보니 조금은 지루한 느낌도 들었다.
특히 초반 부분에서 그런 지루함을
느꼈는데 드라큘라 백작이 본격적으로 활동할 때는 매우 흥미진진하게 읽었다.
드라큘라가 마늘이나
햇빛, 십자가, 성체를 두려워하는 것을 보면서 종교적 느낌이 많이 들어가 있다는 생각을 했는데
이 책을 집필할 때의 시대적
배경과 맞물리는 것 같다.
단지 십자가나 성체는 천주교를
대표하는 것이라서 악한 존재인 드라큘라가 무서워하는 것은 이해가 되었지만
마늘에도 무엇인가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것인지 궁금했다.
거의 100년 전에 쓰여진
책임에도 불구하고 드라큘라는 공포스러운 존재로 느끼기에 충분했다.
날카롭고 긴 송곳니와 뾰족한 코
등 묘사된 것을 보면서 혼자 상상해나가는데 무서웠다.
그리고 후반부에 미나의 이마에
흉터가 생기고 드라큘라가 미나를 통해서 정보를 얻어내는 부분에서 해리 포터를 떠올렸다.
해리 포터 또한 이마에 흉터가
있으며 5권인 불사조 기사단에서 볼드모트가 해리를 이용하는 부분이 있는데
혹시 조앤 K 롤링이 거기에서
아이디어를 떠올린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P.S. 루시는 총 4명의 피를
수혈받게 되는데 문득 이 5명의 혈액형은 모두 같은 것일까 궁금했다.
100년 전에 쓰인 소설이라 그
부분을 문제삼지 못한 것일거라는 생각이 들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