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일은 회색 말 산문이 있는 집 1
온다 리쿠 지음, 박재현 옮김 / 이야기가있는집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다 리쿠의 책을 매우 좋아한다. 그녀의 모든 책을 소장하고 있으며(절판된 클레오파트라의 꿈 제외) 
곧 출간 예정인 몽위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사실 에세이 보다는 소설을 좋아하는 편이지만 그래도 '온다 리쿠'기 때문에
티움 책방 까페에서 이벤트를 신청해서 이 책을 보게 되었다.​
이 책은 조금 독특하게도 독서 에세이다. 그동안 여행 에세이를 많이 내온 온다 리쿠의 독서 에세이라서 더욱 흥미가 있었다.
자신이 읽은 책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감상을 이야기하는데, 역시 소설가답게 날카롭고 재미있게, 그녀가 소개하는 책을
읽어보고 싶게 만든다. 대부분의 책들을 읽어보지 않아서 나중에 기회가 되는대로 차근차근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책에 대한 소개나 감상보다는 온다 리쿠 자신에 대한 내용 부분을 더 흥미롭게 읽었다.
책을 쓰기 전에 광고를 만들어보는 것은 정말 특이했다. 포스터도 만들고 소개글도 넣으면 정말 도움이 될 것 같긴하다. 
소재에 대한 힌트를 어디서 얻는가 등에 대한 내용은도지금까지 몰랐던 것이라 좋았다.
사실 본격적으로 책이 시작되기 전인 프롤로그 격의 '유리창 너머로 속삭이다' 부분이 가장 좋았다.
소설이 아님에도 소설 같은 글은 매혹적이고 삼월은 붉은 구렁을에서 마지막 파트인 회전 목마가 생각났다.
그 부분에서도 작가는 소설과 자신의 말을 동시에 진행하여 사실 그 당시에는 호불호가 꽤 갈린 소설이었다.
여기서도 중간중간 좋아하는 소설이라든지 원고를 쓸 때, 연재를 어떻게 하는지 등등이 깨알같이 잘 나와있다.​
연재를 할 때 자신이 던진 미끼와 후에 그를 수습할 때 앞뒤가 맞지 않아 지옥을 경험했다고 나와있는 부분은 매우 웃겼다.
​실제로 앞뒤가 잘 맞지 않는 소설이나 영화도 심심치 않게 나오는 것으로 보아
소설가 혹은 각본가들은 누구나 그런 고민과 경험을 할 것 같다.​
글을 마치며에는 왜 제목이 토요일은 회색말인지에 대한 온다 리쿠의 설명이 나오는데, 잘 납득은 가지 않지만
분명한 것은 온다 리쿠의 제목은 항상 매력적이라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