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킷 - 제1회 위즈덤하우스 판타지문학상 청소년 부문 대상 수상작 텍스트T 7
김선미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목받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내향형 인간이라 그런지 튀고 싶지 않다. 당장 내일 성당에서 급하게 반주를 하게 됐는데 몇백 명의 사람 앞에서 피아노 연주를 할 생각을 하니 속이 안 좋다. 그렇지만 모든 사람이 나에게 아무런 관심을 주지 않으면 서운할 것 같은 모순적인 마음도 있다.


김선미 작가의 청소년소설 《비스킷》의 주인공 ‘성제’는 존재감이 없는 사람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존재감이 흐려지는 사람들을 비스킷이라 부른다. 3단계까지 있는 비스킷은 단계가 높아질수록 존재감이 옅어지는 것이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엄연히 실재하는 ‘존재감’을 소재로 했다는 것이 무척이나 흥미로웠다. 특히나 학창시절에 투명인간 취급이라도 당하면 얼마나 커다란 지옥이 펼쳐질까. 성제는 존재감이 더 옅어지기 전에 이들을 구하려고 노력한다. 소외되는 사람들에게 따뜻한 시선을 건네는 작품이 마음에 들었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혼자 살아갈 수 없다. 반대로 말하면 단 한 사람이라도 힘을 주는 존재가 있으면 살아갈 수 있는 것이다.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내는 성제가 대견스러웠다.


후반부 아동 학대를 둘러싼 이야기는 현실에 있을 법해서 더욱 소름이 끼쳤다. 한편 이 소설에서 큰 도움이 된 이모가 인권 센터에서 일한다는 점에서 마냥 고운 시선을 보낼 수 없었다. 최근 뜨거운 감자인 교사의 잇따른 사망 사건에서 이들도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청소년이 직접 심사했다는 점에서도 흥미로운 소설이다. 판타지처럼 아예 비현실적인 소설도 아니고 완전하게 현실적인 소설도 아닌 이 작품이 판타지 문학상 청소년 부분에서 대상을 받았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확실히 제성이를 비롯해 소설에 나오는 청소년들이 하는 말과 행동에 위화감이 없어서 좋았다. 작가의 다음 작품도 기대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