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네버랜드
최난영 지음 / 고즈넉이엔티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난영 작가의 장편소설 《카페 네버랜드》를 읽었다. 주인공 ‘연주’는 7급 공무원으로 찔피노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바로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올 사람이라는 뜻이다. 주어진 일만 묵묵히 하는 그녀는 직장 내에서 어떠한 관계도 맺지 않은 채 승급만을 바라고 있다. 그러던 그녀가 낸 공공형 노인 일자리 사업계획서가 채택되어 ‘카페 네버랜드’가 생겼다.


힐링 소설을 무척 좋아한다. 지친 현실을 위로할 곳이 필요하니까. 이번 작품은 카페를 운영하면서 내게 어떤 힐링을 줄까 기대했다. 그런데 소설 속에서 처음 기다리고 있던 것은 현실의 쓴맛이었다. 노인들을 데리고 카페를 운영해야 하는 연주는 수많은 난관에 부딪힌다. 성인만 되어도 고집을 꺾기 어려운데 나이 지긋하게 먹은 노인을 상대하며 그녀는 인내심을 기르고 또 기른다.


공무원 사회의 수직적인 모습 역시 소설의 고구마를 담당한다. 맡은 일을 하는 것뿐인데도 같잖은 견제를 받거나 상사의 어이없는 지시와 태도에 불쾌지수가 상승했다. 먹고 살기가 참 힘들다. 분명 힐링 소설이라 했는데 왜 이렇게 답답한 걸까 의문이 들 때쯤 힐링이 서서히 스며들어 온다.


카페 네버랜드의 노인 네 명은 개성이 뚜렷하다. 사고뭉치 ‘만영’, 난청인 ‘기복’, 말이 없는 ‘석재’와 ‘준섭’이 서서히 카페에서 자리를 잡아가는 모습이 따뜻하게 그려져서 참 좋았다. 면대면 주문 대신 키오스크가 늘어가고 마트에서 계산할 때도 스스로 하는 곳이 대부분인 사회에서 카페 네버랜드의 독특한 운영이 특별하게 느껴졌다.


소설을 읽으며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결국 경청과 이해라는 생각이 들었다. 말이 안 통한다고 무시하지 말고 어떤 말을 하는지 들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노인 혐오가 심각한 사회에서 단비 같은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