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앗을 뿌리는 사람의 우화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옥타비아 버틀러 지음, 장성주 옮김 / 비채 / 2022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옥타비아 버틀러의 장편소설 《씨앗을 뿌리는 사람의 우화》를 읽었다. 1993년에 출간된 이 소설은 2024년을 배경으로 한다. 기후 변화로 비가 거의 내리지 않으면서 많은 것들이 바뀌었다. 인간은 몇백 년 전의 삶으로 돌아간다. 살기 위해 서슴지 않고 다른 사람을 해치는 세계가 된 것이다.


주인공 ‘로런’의 가족은 다행히 장벽 안쪽 마을에 살고 있다. 먹을 것이 부족하고 돈이 없지만 바깥 생활에 비하면 여기는 풍족한 편이다. 로런에게는 비밀이 하나 있는데, ‘초공감증후군’을 앓고 있다는 것이다. 그녀는 타인의 고통을 똑같이 느끼고 아파한다. 누군가 칼에 찔리면 자신도 똑같은 통증을 느낀다.


이 두꺼운 책을 읽는데 시간이 좀 걸린 이유는 지루해서가 아니다. 이 책의 강력한 몰입감이 독자들도 초공감증후군의 세계로 초대하기 때문이다. 수없이 위기에 놓인 로런을 따라가다 숨을 참고 눈을 질끈 감게 된다. 누군가 다치거나 죽을 때마다 독서를 잠시 멈춰야 했다. 단지 살기 위해 이들은 너무나 많은 것을 희생한다.


생존 이외의 생각이나 감정은 쓰레기통에 버린 듯한 로런은 정말 매력적인 인물이다. 생각이 깊고 철학적인 그녀는 ‘지구종’이라는 개념을 만든다. 누구도 서로를 해치지 않고 서로 힘을 합쳐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를 꿈꾸는 로런, 처음에는 그녀를 비웃던 사람들도 점차 그 생각에 동의하기 시작한다.


왜 제목이 씨앗을 뿌리는 사람의 우화일지 궁금했는데 그 이유는 마지막에 가서야 나온다. 아마 이 소설을 읽으면서 깊은 탄식이 나오지 않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것이 걱정의 한숨이든 안도의 한숨이든 이 소설은 독자를 소설 안쪽 장벽으로 깊숙이 끌어들인다. 뒤이어 나올 속편이 벌써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