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저녁의 불편함
마리커 뤼카스 레이네펠트 지음, 김지현(아밀) 옮김 / 비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렇게까지 불편한 소설이 될 줄 몰랐다. 제목에서 예상했어야 했을까. 마리커 뤼카스 레이너펠트의 장편소설 《그날 저녁의 불편함》은 아마도 올해 읽은 소설 중 제일 ‘불편’했다. 소설은 열 살 야스의 시점에서 진행되며 큰오빠 맛히스가 죽은 후 그 상실을 다루고 있다.


가족의 죽음은 모두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피로 단단하게 묶여있던 가족에서 한 명이 이탈한 이후, 이들 가정은 무너지기 시작한다. 부모님은 자신들의 슬픔을 마주하는 것도 힘에 부쳐 아이들을 감싸주지 못한다. 제대로 된 돌봄이 없는 곳에서 야스는 크나큰 성장통을 겪는다.


한겨울에 죽은 큰오빠, 그날 입고 있던 빨간 코트는 그렇게 야스와 한 몸이 된다. 학교에서 친구들이 수군거려도, 부모님과 수의사가 코트에 대해 말해도 야스는 코트를 벗지 않는다. 동시에 야스는 대변을 보지 않는다. 너무나 뼈아픈 이별을 겪었기 때문일까. 어떤 것도 자신의 몸에서 내보내지 않고 싶었던 것일까. 코트와 대변 이야기가 소설 전체에 등장하여 독자를 불편하게 만든다.


《그날 저녁의 불편함》은 이별을 극복하고 아름답게 마무리하는 성장 소설이 아니다. 너무도 갑작스럽게 찾아온 상실에 대책 없이 무너지는 이야기다. 작가의 집요한 묘사로 독자는 상황 속으로 끌려들어 온다. 소설을 읽으며 나도 그 자리에 같이 있는 것 같았다. 야스의 집에 들어와 같이 보고 듣고, 냄새를 맡게 된다. 충격적인 결말까지 읽고 책을 내려놓고 나서야 숨을 들이쉴 수 있었던 《그날 저녁의 불편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