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 박정부 회장. 글로벌 기업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 같은 사람들도 40대에 회사에서 해고당하며 각성했다. 자수성가한 사람들은 어떤 한 사건이 인생을 완전히 바꾸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 P112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 각성의 계기가 되는 사건을 경험하지못한다. 어떻게 보면 운이 좋아야 만날 수 있는 사건이다. 그렇다면 자수성가한 사람들이 겪는 엄청난 사건, 정체성을 바꾸는 사건을 인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면 어떨까? - P113
내 머리를 포맷할수 있다면
여기까지 읽은 당신은 지금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가? - P113
예전의 나처럼 인생의 밑바닥에서 힘든 친구들은 비슷한 심정일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지금 내 정체성은 완전히 달라졌다. 나는 정체성을 인위적으로 바꿔왔기 때문이다. 20대에 책을 읽게 된게 그 시작이었다. - P114
자의식 해체를 이루었다면, 새로운 자의식을 세워야 할 차례다. 정체성은 삶의 동기다. (중략). 이걸 자유자재로 이용하면, 정말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나는 최근에 새로 이런 목표를 세웠다. ‘나는 베스트셀러 작가가 될 거야‘, ‘한국에서 가장위대하고 오래 읽히는 책 중 하나를 쓸 거야.‘ - P115
. 이건 자기계발서에 흔히 나오는 것처럼, ‘당신이 믿는 만큼 우주가 당신을 도와준다‘라거나 ‘서울대를 목표로 해야 연고대라도 간다‘ 따위의 이야기를 하려는게 아니다. 그런 말은 백날 들어봐야 당신을 변화시킬 수 없다. - P116
. 선천적으로돈 버는 걸 좋아하고 잘하는 사람도 간혹 있긴 하지만 대부분은 돈버는 것에 별 관심이 없다. 의외라고? 아니, 그렇지 않다. 다들 돈, 돈 하니까 돈에 관심 많은 것 같지만(또는 관심 많은데도 아닌 척하지만)실제로 우리는 ‘정말로 돈을 벌고 싶어 하지 않는다. - P116
『부의 추월차선』의 저자 엠제이 드마코는 어느 날 람보르기니를 탄 젊은 발명가를 마주하게 된다. (중략). 이 친구는 어린 시절 찢어지게 가난해서 사람들에게 늘 무시를 받았다고 한다. 특히 여자 친구의 친구들이 ‘어린 백수 애인 만나지 말라‘며 계속 연애를 뜯어말렸다고 한다. 화가 난 그는 큰돈을 벌기로, 복수하기로 다짐하면서 정체성이 바뀌었다고 한다. - P117
정체성 변화는 좌절, 열등감, 생존 위기, 동기부여, 책 등 다양한 계기로 일어난다. 아마 지금 이 책을 읽고 있는 당신도 ‘난 어떻게 정체성을 변화시킬까?‘ 고민할 거라 생각한다. 딱히 고민할 필요없다. 이 책을 읽고 있는 것만으로도 이미 정체성은 변하고 있다. - P118
그렇다면 정체성을 바꾼다는 것은 정확히 무슨 뜻인가? 최고의 가성비를 추구하는 기관인 우리 뇌는 모든 것에 집중하지 않는다. 그래서 일정한 정체성에 맞춰서 입력과 출력의 모드를 바꿔나간다 - P119
정체성 소프트웨어 설치하기
(전략). 터키에서 수현은 하루에 2권의 책을 해치웠다. 그 모습을 보면서 나는 독서에관한 소프트웨어 일부를 변화시키기로 결심했다. 원래 내 생각은이랬다.
ㅇ 사람들에게서 "전자책에서 느낄 수 없는 종이 물성이 좋다"라는 말을 자주 듣다 보니, 나 또한 영향을 받아 종이책을고집했다. ㅇ 완벽히 집중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서 책을 읽는 것만이유의미하다. ㅇ 휴대전화로 전자책을 읽는 건 별로 도움이 안 된다. ㅇ틈날 때마다 읽는 전자책은 오히려 나의 집중력을 방해한다(그러면서 쓸데없이 틱톡과 인스타그램을 둘러보았다). - P120
(전략). 그러나 나는 온갖 핑계로 ‘책은 완벽한 환경에서 읽어야 해‘라는 생각으로 나를제한했다. 나는 수현을 보면서 전자책을 읽는 사람으로 나의 소프트웨어, 정체성을 변화시켜야겠다‘라고 다짐했다. - P121
이 책을 읽다가 갑자기 ‘나는 내일부터 부자로 살아야지‘라고 결심한다고 해도 아무 일도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정체성을 바꿀 ‘환경‘을 만드는 게 중요하다. - P121
여기서 인간의 자유의지나 노력을 믿는 사람이라면 ‘나는 지금부터 더 큰 사업가가 될 것이다!‘라고 결심만 하고, 사실상 변하는 것은 없었을 것이다. 데일리 플랜을 만들었다 찢기를 반복하거나, 맞지도 않는 미라클 모닝을 한다고 늘 피곤에 절었을지도 모른다. - P122
. 유튜브에서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창업가", "연봉 10억 사업가", "자수성가 청년"이라고 어그로를 끌면서 성공하는 법에 대해 이야기한다면 어떨까? 그러면 내 정체성은 사업에 성공한 인플루언서로 변할 거라 생각했다. - P122
이렇게까지 판을 크게 깔고 나서도 내가 빈둥거리거나 구독자의 기대를 어기면? 나는 사기꾼이 되고 세상 창피한 거짓말쟁이가 될것이다. 나라는 사람은 이런 식으로 창피당하는 걸 죽기보다 싫어하기 때문에, 사업가로서 열심히 살 수밖에 없을 거라 판단했다. - P123
이게 정체성 변화의 핵심 비결이다. 즉 뭔가를 더 잘하고 싶으면 결심을 할 게 아니라 환경부터 만드는 것이다. 자동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도록 세팅을 하면 나는 저절로 열심히 살게 된다. - P123
이제 당신은 묻고 싶을 것이다. "자청아, 정체성에 대해 귀가 아프게 들었으니 이젠 구체적인 방법을 알려줘!" 지금부터 의도적으로 정체성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보려 한다. - P124
1. 책을 통한 간접최면
정체성을 바꾸는 가장 쉬운 방법은 관련 책을 읽는 것이다. 만약 ‘건강 고수가 되기‘로 결심했다면, 건강의학에 대한 쉬운 책 10여권을 독파하면 된다. 뇌는 1주일간 ‘건강‘에 집중하게 되고, 화장실을 가거나 멍을 때릴 때면 반복적으로 ‘건강해지는 법‘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 P125
. 도서관이나 서점에 가서 30권 정도 뽑아 대강 훑어보면, 읽고 싶어지는 책이 3~4권 남을텐데, 그렇게 시작하면 된다. 뇌는 실제 현실이나 상상을 잘 구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수성가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읽는 것만으로도 ‘나도 할 수 있다‘는 느낌이 차오르게 된다. - P126
2. 환경 설계 환경 설계는 앞서 말했던 유튜브 개설 같은 게 대표적 사례다. (중략). 주변 사람들에게 "난 ㅇㅇ가 될 거야!"라고 떠드는 것이다. 사람은 그 무엇보다 평판에 민감한 사회적 동물이다. - P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