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5 허구적 일치성 효과 False Consereaus Ellect
아까 박팀장 돈 안 내려고 구두끈 고쳐매는 거 봤어?
정의: 다른 사람도 자기 자신처럼 생각할 것이라고 믿는 현상. 다른 사람과 자기 생각이 같을 것이라는 근거나 객관적인 검증 없이 그저 자기 생각을 다른 사람에게 투사하는 현상이다. 잘못된 자성 효과 거짓일치성 효과라고도 한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심리학과 교수인 리 로스는 1977년에 진행한 실험에서 허구식 일치성 효과를 밝혀냈다. - P307
허구적 일치성 효과는 자기 생각이 다른 사람의 생각과 같을 것이라고 혼자 과대평가하는 것이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의 숫자와는 상관이없다. 자기 생각을 투사할 사람이 많다고 해서 심리적 부담을 느껴 허구적 일치성 효과가 작게 나고, 소수라고 해서 더 크게 나는 것이 아니다. - P308
연구자들의 추후 연구에 따르면, 허구적 일치성 효과는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나지만 나이가 들수록 그 경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을 떠올리며 다른 사람들도 자신과 생각이 같은 경우가 많았다며 판단을 내리는 것이지만 사실은 그 경험도 허구적 일치성 효과에 의해서왜곡된 사실일 뿐이다. - P309
참고항목
■ 다수 의견에 관한 무지: 다수 의견에 반대하는 생각을 하고 있다고 본인은 믿고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을 때, 즉 다수의 생각과 같은 방향으로 생각하는 현상. - P309
085. (False Consensus Effect).
Gilovich, T. (1990). Differential construal and the false consensus effect. Journal of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4), 623-634. •Marks, G., & Miller, N. (1987). Ten years of research on the false-consensus effect: Anempirical and theoret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02(1), 72-90. Ross, L (1977). The false consensus effect: An egocentric bias in social perceptionand attribution process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13(3), 279-301. - P386
050 땜질식 가설 Ad Hoc Hypothesis
점쟁이랑 싸우러 갔다가 왜 복채까지 주고 왔지?
정의: 자신의 믿음이나 이론에 반하는 사실을 회피하려고 임시방편으로 그럴듯한 가설을 만들어 설명하는 현상. 자신의 기존 이론을 합리화하려고 끊임없이 땜질하듯 가설을 만들어 대응하려는 것을 말한다. Ad Hoc는 특별한 목적을 위해서‘라는 뜻의 라틴어이다. 여기서 파생하여, 어떤 일이발생하면 그때의 상황 변화에 맞춰 반응하는 임기응변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원래뜻에 의미를 두어 임시가설 편향 임시변통 가설 임시 방편적 가설, ‘미 가설 등으로도 번역할 수 있다.
땜질식 가실 편향은 사이비 과학자의 이론이나 초과학 연구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이오리듬 이론Blortythm Theory이다. - P198
생활 속에서 땜질식 가설 편향을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곳은 점집이다. 점쟁이는 모든 것을 다 아는 듯이 말하지만, 그들의 예측이 틀리면 정성이 부족했다거나 부정이 탔다거나 조상 중 얼어 죽은 사람에게 제사를 지내지 않아서 그렇다 등등 갖은 구실을 대가며 예측이 빗나간 이유를 설명한다. 절대로 자신의 예측이 틀렸다고 하지 않고 그럴듯하게설명하려고 새로운 가설을 만들어낸다. 그렇게 설명할 수 있었다면 일을 그르치기 전에 왜 먼저 말하지 않았을까. - P199
참고 ■항목확증 편향: 자신의 선입관에 따라 자기가 믿고 싶어 하는 대로 정보를 처리하는현상 - P200
050. 땜질식 가설 (Ad Hoc Hypothesis)
Gardner, M. (1983). The whys of a philosophical scrivener. Quill. Gould, S. J. (1979). Ever since Darwin. W.W. Norton & Company. - P378
1035 통제감 착각Ilusion of Control
정의: 운도 우연도 내가 다 통제할 수 있어사실상 통제할 수 없는 일인데도 자신에게 동제할 능력이 있다고 과대평가하는것, 심지어 운이나 우면도 자신이 통제할 수 있다고 믿는다. 흔히 ‘사람들은 모두 제잘난 맛에 산다‘라고 말한다. 즉 불행한 사건이 일어날 가능성은 낮게 보고 남들보다행복한 미래가 기다리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처럼 우연에 의해 결정되는 일도 자신이 통제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 바로 통제감 착각이다.
1975년 미국 심리학자 엘린 랑거elen Langer는 다음과 같은 실험으로 통제감 착각을 증명했다. (중략). 사실 전등이 켜지고 꺼지는 것은 버튼을 누르는 행동이아니라 버튼이 전등과 연결된 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한 조건은 참가자가 누르는 버튼과 전등이 연결되어 있었지만, 다른 조건은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 P143
통제감 착각으로 유명한 인물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제국 해군 연합함대를 지휘한 야마모토 이소로쿠 山本五十六제독이다. - P144
야마모토는 자신감에 넘쳐 있었다. 심지어 모의훈련에서 자신의 전략을 따른 일본군이 패하는 것을 확인했음에도 미군 역할을 한 팀이 반칙해서 그런 결과가 나온 것일 뿐, 그런 예외 상황마저도 자신이 통제할수 있을 것이라며 강하게 밀어붙였다. (중략). 중태평양 진출은커녕 태평양 전체에서 일본이 패주하는 손실을 본 것이다. - P144
통제감 착각에 빠지면 긍정적인 결과가 생길 가능성을 과대 지각하게되면서, 부정적인 결과는 잘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왜곡하는 경향을 보인다. 끼리끼리 모이듯이 착각은 다른 착각과 함께 찾아오는 법이다. - P145
참고항목
■ 희망적 사고 편향: 어떤 근거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단지 긍정적인 결론을 선호하기때문에 자신이 믿고 싶어 하는 긍정적 결론에 맞춰 생각하는 현상. ■ 우월성 편향: 자신이 평균 이상의 능력이나 성품 등 긍정적 특성을 지녔다고 생각하고 동시에 부정적 특성은 평균 이하뿐이라고 생각하는 현상. - P145
035.통제감 착각 (Illusion of Control)
Allan, L. G. & Jenkins, H. M. (1980). The judgment of contingency and the nature of theresponse alternatives. Canadian Journal of Psychology, 34(1), 1-11. Langer, Ellen J. (1975). The illusion of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32(2), 311-328. McKenna, F. P. (1993). It won‘t happen to me: Unrealistic optimism or illusion ofcontrol?.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4(1), 39-50. Thompson, S. C., Armstrong. W., & Thomas, C. (1998), Illusions of control, underestimations, and accuracy: A control heuristic explanation. PsychologicalBulletin, 123(2), 143-161. Taylor, S. E., & Brown, J. D. (1988). Illusion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perspective on mental-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103(2), 193-210. Gollwitzer, P. M., & Kinney, R. F. (1989). Effects of deliberative and implementalmind-sets on illusion of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4), 531-542. Pronin, E., Wegner, D. M., McCarthy, K., & Rodriguez, S. (2006). Everyday magicalpowers: The role of apparent mental causation in the overestimation of personalinflu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2), 218-231, - P374
013 대표성 휴리스틱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걔는 인사 참 잘하더라. 분명히 ‘좋은 사람‘일 거야!
어떤 사건의 발생 확률이나 어떤 대상이 득점 범주에 속할 확률을 추정할 때 실제 확률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사건이나 대상이 얼마나 모집단을 잘 대표하는가혹은 모집단의 특성과 얼마나 유사한가에 따라 추정하는 것을 말한다. - P69
대표성 휴리스틱은 우리를 잘못된 판단으로 인도하지만 우리는 수시로 녀석의 뒤를 따른다. 문제 상황에서 가장 빠르고 (내 입장에서) 만족스러운 결정을 내리게 도와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더러는 역으로 이용하기에 좋다. 만약 좋은 인성을 지닌 사람들이 보이는 대표적인 행동 패턴으로 자신을 포장한다면 상대방은 여러분이 좋은 사람이라고 판단할것이다. - P71
참고항목 ■도박사의 오류: 사건 전후의 확률에 따라 독립적인 사건의 승률이 달라질 것이라 믿는 현상, 즉 확률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는 오류. ■결합 오류: 단일 사건이 일어날 확률보다 2개 이상의 단일 사건이 결합되어 일어날 확률이 더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현상. - P72
013 대표성 휴리스틱 (Representativeness Heuristic)
Tversky, A., & Kahneman, D. (1982) "Judgments of and by representativeness" In D. kahnema:P.Slovc; A.Tversky(Eds.),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as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369
017 뜨거운 손 현상 The Hot Hand Phenomenon
마이클 조던이라면 이번 슛도 성공할 거야!
정의: 성공은 또 다른 성공을 연속해서 낳는다는 믿음에 빠져 연속 사건의 승률을 자신 있게 예측하는 것. 드거운 손(Hot Hand)은 행운의 연속이라는 관용표현으로 미국 농구에서 쓰는 말이다. - P08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