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에 관한 과학적 증거들을 검토하여 계속 일반적 안전성 지위를 부여할지를 공식적으로 결정한 것도 일반적 안전성물질 특별위원회였다. 이 과정이 산업계에 민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은 명백했다. 위원들은 이렇게 썼다. "조금이라도 이해 상충으로 비칠 수 있는 행동조차 피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¹⁰⁰ - P213
100. Siu et al, 1977: 2530. - P355
식품의약국 지침에 따라 위원회는 "어떤 정보를 통해서든 (・・・) 유해한 생물학적 효과를 의심할 만한 신뢰성 있는 증거나 합리적인 이유" 가 있을 때는 해당 물질이 위험하다고, 즉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되지 않는다고 선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설탕처럼 민감한 주제에 대해서도 그럴 수 있었을까? 위원들은 증거가 모호하다면, 건강에 위험할가능성이 없다고 결론 내릴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판단한 것 같다. 그들은 이렇게 썼다. "자당을 건강 위험 물질로 선언한다면 포도당, 과당, 꿀은 어떻게 한단 말인가?"¹⁰³ - P214
103. Siu et al. 1977: 2534, 2535. - P355
지금 우리가 옳다고 생각하든 그르다고 생각하든, 윤리적이라고생각하든 비윤리적이라고 생각하든, 위원회는 설탕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설탕연합주식회사가 발간한 <인간의 식단에서 설탕>과 그 저자들에게 크게 의존했다. 1976년 1월 설탕연합주식회사는 일반적 안전성물질특별위원회의 "잠정적 결론" 사본을 빼내, 식품영양권고위원회 구성원들에게 "긴급 검토 요청"과 함께 배포했다. 스테어와 그의 동료들이 "데이터의 누락과 오류는 물론 혹시 있을지 모를 배경 정보의 해석 오류까지 잡아내주기를" 기대했음은 물론이다.¹⁰⁴ - P214
104. Bollenbeck 1976. - P355
한 문단에서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자당을 장기적으로 섭취하는 경우 기능적인 측면에서 탄수화물 대사 능력이 변해 당뇨병이 생길 수 있다는 점이 암시된다"고 인정했지만, 곧바로 "최근 발표된 보고들은 이를 부인하는 경향이 있다"고 덧붙였다.¹⁰⁷ - P215
107. 참고문헌 10과 관계가 있다. - P355
업계 내부 문서를 인용하자면1975~1980년 사이에는 "과학 연구를 업계를 보호하는 주춧돌로 유지하기 위해" 10여 건의 연구에 65만 5000달러를 지출했다. ‘21 연구제안서는 먼저 식품영양권고위원회 구성원의 심사를 받은 후, 설탕업계 인사와 소위 "기여 연구 회원인 코카콜라나 허쉬 같은 기업 측 인사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다시 한번 걸러졌다. - P218
사실은 1973년에 설탕에 관한 청문회를 주관했던 조지 맥거번의 위원회가 1977년에 "자멸할 것"이라고 확신했기 때문에 식품의약국 쪽에 주의를 집중한 것이었다.¹²³ 그러나 위원회는 계속 존속하며 그해 1월 <미국인의 식단 목표>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 P219
123. SAI 1977a: 4. - P356
<미국인의 식단 지침>에는 이렇게 씌어 있다. "널리 알려진 통념과달리 설탕을 지나치게 많이 먹는다고 해서 당뇨병이 생기는 것 같지는않다." 그러고는 어느 정도가 지나치게 많은지 규정하지 않은 채, "지나치게 많은 설탕을 피하라고 권고한다.28 1985년 발간된 지침 제2판에서도 농무부(이때는 프레드 스테어가 지침 권고 위원회에 참여했다)는 여전히 너무 많은 설탕을 피하라고 권고했지만, 당뇨병과 설탕의 연관성에관한 경고문이 삭제되었다. 대신 "지나치게 많은 설탕을 섭취한다고 해서 당뇨병이 생기지는 않는다"고 명시했다.¹²⁹ - P220
1986년 식품의약국은 설탕을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식할 수있는가라는 문제로 다시 돌아갔다. 월터 글린스먼(나중에 옥수수가공협회의 자문역을 맡는다)이 이끄는 세 명의 식품의약국 행정관은 1976년 일반적안전성물질 특별위원회가 조사를 마친 지점에서 출발했다. 모든 증거를 다시 검토한 후 이들은 이렇게 결론 내렸다. "설탕을 현재 수준으로 섭취했을 때 일반 대중에게 해가 된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¹³¹ - P220
131, Glinsmann et al, 1986: $15. - P356
. 공중위생국장 보고서에 따르면 "지방 함량이 높은 식품을 과도하게 섭취하는것은 열 가지 주요 사망 원인 중 다섯 가지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하며, 따라서 그해 미국의 사망 건수 210만건 중 3분의 2에서 주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¹³⁵ 설탕과 만성 질환의 관계가 확실하지 않다는 식품의약국의 결론이 끊임없이 반복 인용되면서, 설탕연합주식회사에서 그랬듯 "확실하지 않다"는 말이 "존재하지 않는다"와 동의어가 되어갔다. - P221
또한 이 보고서들은 하나같이 식품의약국의 두 번째 경고를 무시해버렸다. 식품의약국 보고서는 설탕이 무해할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을 내리면서 분명 "설탕을 현재 수준으로 섭취했을 때"라는 단서를 달았다.¹³⁷ 월터 글린스먼이 나중에 설명했듯이, 어떤 물질이든 너무 많이섭취하면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약물과 식단으로 섭취하는 물질을 논의할 때는 섭취 수준이 핵심적인 요소다.¹³⁸ - P221
137. Glinsmann et al, 1986: S15. 138. E, Walter Glinsmann, Feb. 7, 2011. - P356
1989년 ‘영국 식품 정책의 의학적 측면에 대한 위원회‘에서는 영국 정부 역사상 최초로 설탕의 보건 측면에 대한 공식 평가서를 발표했다. <식이성 설탕과 인간 질병>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는 영국에서 가장 유명한 영양학자, 생화학자, 생리학자 열두 명으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작성했다. 위원장은 당뇨병 전문의인 해리 킨으로 1970년대 내내 설탕업계로부터 연구비를 제공받은 사람이다. - P222
킨과 동료들은 당시 영국인들의 추정섭취량(미국 농무부가 자국민에 대해 추정한 1인당 33 킬로그램과 거의 같았다)에 해당하는 설탕을 장기적으로 섭취할 경우, 여드킨의 주장대로 중성지방 수치 상승과 관련된 다양한 대사 이상을 통해 결국 심장질환, 당뇨병, 고혈압, 비만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전체 인구 중 상당히 많은 사람이 설탕과 기타 탄수화물에 민감하다는 사실 또한 받아들였다. 하지만 역시 설탕이 이 질병들에 "인과적 역할을 하지는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¹⁴⁰ - P222
140. COMA 1989:43. - P356
10 만약 혹은 그렇다면? 1
우리(인디언보건국과 국립보건원)가 당뇨병을 발견하고 조기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도, 토호노 오덤과 기타 미국 인디언 부족을 덮친재난을 예방하지 못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때때로 의기소침해진다.¹ 제임스 저스티스, "사막 부족에서 당뇨병의 역사", 1994년 - P253
10만약 혹은 그렇다면? 1
1. Justice 1994. - P357
그는 당뇨병 사망률이 낮은 지역 중에서 애리조나주를 가장 적합한 연구 대상으로 생각했다. "안락의자에 앉아 통계 숫자를 들여다보는 방식보다 항상 현장 연구를 지지한 조슬린은 답을 찾기 위해 직접 애리조나로 날아갔다. 주 보건위원회와 의학회, 재향군인국, 인디언보건국 등의 기관에서 지원을 아끼지 않고 편의를 봐준 덕에조슬린은 어디든 제한없이 접근할 수 있었다. - P253
조슬린은 6월에 열린 미국의학협회 연례 학회에서 연구 결과를 보고했다. 그는 자신이 "당뇨병 그림"이라고 부른 자료에서 애리조나주내에 755건의 증례를 파악했다. 그중 73명은 보호 구역에 사는 미국 원주민이었다. 우선 이 인구집단이 비교적 젊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증례중 몇 퍼센트가 실제로 애리조나주 의사들에게 진료를 받아왔는지 추정한 후, 조슬린은 애리조나주에 사는 미국 원주민들에서 당뇨병은 다른 민족 집단에 비해 덜 흔하지 않으며, 발병률 또한 아마도 1000명 중서너 명꼴로 다른 주의 원주민과 비슷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P254
세상은 변했다. 현재 미국의 당뇨병 유병률은 조슬린이 애리조나를 찾은 때처럼 1000명당 서너 명이 아니라 열한 명당 한 명이다. 1960년대에 이미 연구자들은 다름 아닌 애리조나주 미국 원주민들의 제2형당뇨병 유병률이 성인의 경우 50퍼센트를 넘는다고 보고했다. - P254
이 미국 원주민 집단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현재 전 세계 수많은 인구 집단에 일어나는 일을 이해하는 데 결정적이다. 예를 들어 1960년대와 현재의 미국을 비교할 때 당뇨병 유병률이 900퍼센트 증가했다는 사실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 P255
당뇨병 유행을 경험한 미국 원주민 부족 중 이 현상을 이해하는 데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하는 것은 애리조나에 사는 세 개의 부족이다. 애리조나 중남부를 흐르는 힐라강과 솔트강 유역에 사는 피마족(아키멜 오덤 즉 강변 주민이라는 뜻), 더 남쪽에 살지만 이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파파고족(토호노 오덤 즉사막 주민이라는 뜻), 북서부의 나바호족이 그들이다. - P255
1870년대 들어 피마족은 소위 "기근의 세월을 겪기 시작했으며, 이런 상태가 19세기 말을 지나 20세기까지도 이어졌다. 1901년 11월 이들을 연구하기 위해 애리조나로 들어가 4년 뒤 피마족과 그 문화에 대해 기념비적인 사후事後 보고서를 발표한 하버드 대학교의 인류학자 프랭크 러셀은 이렇게 썼다. "이로 인한 굶주림과 절망과 상실 속에서도 이 부족의 기가 꺾이지 않았다는 사실이 놀라울 뿐이다."⁴ - P256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피마족과 기타 미국 원주민 집단에서 비만과 당뇨병의 유병률에 관한 통계는 드물다. 주로 병원 의무기록이며, 때때로 인류학자나 인디언보건국 의사들의 조사 기록이 남아 있을 뿐이다. 프랭크 러셀과 의사 출신 인류학자인 알레시 허들리치카는 20세기초반 피마족에서 극도의 가난에도 불구하고 비만이 급증한 현상을 언급했다.⁸ - P256
4. Russell 1975:33;Smith et al, 1994: 409; Taubes 2007:235-239. - P357
8. Hrdlička 1908: 156-157. - P357
20세기 초에도 피마족에 당뇨병 환자가 있었을지 모르지만, 러셀과 허들리치카 모두 언급할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했다. 1930년대에 보호구역 내 인디언보건국 병원들은 조슬린의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고했다!.¹⁴ - P257
1950년대 초에 접어들자 유행의 조짐이 나타났다.¹⁶ 애리조나 대학교에서 지역 원주민의 건강을 조사한 결과 당뇨병 사망률이 1940년에 조슬린이 보고한 수치보다 두세 배 더 높았던 것이다. 조사를 수행한인류학자들은 피마족 어린이들이 아직도 "가난이 만연한 환경 속에살지만 이제 너무 쉽게 비만해진다고 지적했다. 이런 경향은 이미 6세이전에 어느 정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11세에 이르면 훨씬 자주 관찰되었다. "비만이 그저 어린 시절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몸이 성숙해지면서사라지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아주 짧게라도 피마족 보호 구역에서살거나 근무해보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 - P258
16. Kraus and Jones 1954: 25, 118. - P358
1980년대 중반에 이르자 피마족을 괴롭히던 당뇨병과 비만 유행이나 바호족을 비롯해 애리조나, 유타, 뉴멕시코 전역의 미국 원주민 부족에서 뚜렷하게 입증되었다.²⁴ 이제 당뇨병은 이들에게 가장 중요한 사망 원인이었다. 애리조나주 인디언보건국 병원의 당뇨병 외래 진료건수는 불과 10년 동안 거의 세 배 증가했다. 의사와 연구자들은 어린이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이 계속 증가하면서, 발병 연령도 계속 낮아진다고 보고했다.²⁵ - P259
24. Gohdes 1986. 25. Sugarman, White, et al, 1990;Sugarman, Hickey, et al, 1990. - P358
미국 원주민이 다른 인종집단에 비해 높은 혈당에 잘 견디며 따라서 이들에게 당뇨병은 비교적가벼운 병일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이런 믿음은 신장질환, 심장질환, 고혈압, 신경 손상, 괴저로 인한 사지 절단, 실명 등 친숙한 당뇨병 합병증이 속출하면서 깨지고 말았다. 1983년 피마족을 연구하기 위해 애리조나를 찾은 한국립보건원 연구자는 "이들이 겪는 엄청난 고통에 충격을받았다"고 말했다.²⁶ - P260
26. E, Eric Ravussin, Feb. 22, 2005. - P358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데는 세 가지 요인이 작용하는 것 같다. 첫째는 서구화 과정을 거치면서 나타나는 식단과 생활 습관의 변화다. 사실 이런 변화는 전 세계 모든 토착민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났다. 1980년대에 국립보건원 연구자들은 식품의약국과 국립보건원의주장을 그대로 반복하여 미국 원주민 집단의 당뇨병이 비만에 의해 생긴다고 생각했다. - P261
하지만 이 현상에서 설탕은 가장 유력한 용의자로 보이며, 지난 100년간 관찰하고 논의한 기록 속에 끊임없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주제다. 1906년 피마족이 이미 서구화된 식단을 섭취한다고 지적했을 때허들리치카가 의미한 것은 주로 지역 교역소에서 구입하거나 정부 배급식품 속에 포함된 설탕, 흰 밀가루, 라드(돼지기름)였다.²⁹ - P261
29. Hrdlička 1906. - P358
유일한 설명은 1961년 파크스와 와스코가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처음 주장한 것처럼 (그리고 10년 뒤 베넷과 버치가 다시 주장한 것처럼) 엄청난 당뇨병 유행이 이들을 휩쓸고 있다는 것이었다. 사실상 새로운 질병이 출현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애리조나의 병원들이 당뇨병 합병증을 앓는 미국 원주민으로 넘쳐나지 않는 이유는 아직 합병증이 생길정도로 오랫동안 당뇨병을 앓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 P2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