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작 부분은 지금 다른 가설이 제기되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화려하긴 하지만 막상 서식지에 사는 포식자는 구분할 수 없는 보호색 역할을 한다고.

"맞아, 카탈레이스는 원래 세포 안에 생긴 활성 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효소인데,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데도 아주 효과적이지. 카탈레이스는 동물의 간에도 많이 존재하니 실험할 기회가 생기면 한번 비교해 보렴." "네, 감사합니다. 안녕히 계세요." 인자는 양호 선생에게 과산화수소 병을 돌려주고 양호실을나섰다. - P94
"분생포자 부분의 모양을 보면 이건 아스퍼질러스플라버스라는 곰팡이의 일종으로 보인다. 이 곰팡이는 밀이나 콩 같은곡물에서 자라고 아플라톡신이라는 독소를 만들어 내지 아플라톡신에 오염된 음식은 치명적인 중독 증상을 일으키는데, 소랑이라도 오래 섭취하면 간암의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 아플라톡신의 위험성이 알려지기 전인 1960년대까지는 곰팡이에 오염된 사료를 먹은 짐승들이 집단 폐사하는 사건이 종종 있었다. 이 사진의 제목이 ‘죽음의 꽃인 건 그런 이유가 아닐까?" "아... 곰팡이가 그렇게 위험한 존재였군요?" - P96
곰팡이의 가장 큰 역할은 유기물을 분해해서 다른 생물들이활용할 수 있는 양분 형태로 되돌리는 일이다. 곰팡이가 없다면 세상은 금세 짐승 사체와 쓰레기들로 가득 차겠지. 죽은 생물에서 피어나는 생명이라는 의미에서도 ‘죽음의 꽃은 어울리는 제목이라고 생각한다." - P98
"진화란, 여러 세대를 거쳐 이루어지는 생물의 변화 현상이다. 공작의 꼬리가 점점 커진 것이나, 기린의 목이 점점 길어진 것 등이 진화의 예시다. 진화가 반드시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한다는 뜻은 아니다. 퇴화 또한 진화의 한 부분이며, 어떤 진화는 생물의 생존에 불리한 방향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공작을예로 들어 보자. 화려한 꼬리, 정확히는 화려한 허리 깃털을 가진 수컷과 교미하는 것은 암컷이 우수한 유전자를 손에 넣는 - P100
좋은 전략이었을 것이다. 화려한 색깔과 풍성한 깃털은 수컷이 유전적 결함이 적고 영양 상태도 양호함을 뜻하기 때문이다. 이런 번식 경쟁의 결과, 화려한 허리 깃털을 가진 수컷들만 자손을 남기게 되면서 진화의 방향성이 나타났다. 종의 분화 초기엔 닭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었지만, 약 3000만 년의 시간동안 1m가 넘는 허리 깃털을 가진 형태로 변화한 것이다. 하지만 공작의 꼬리가 앞으로도 계속 커질 것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어느 수준 이상으로 커진 꼬리는 눈에 잘 띄는 데다가 몸을 무겁게 만들어 먹이를 사냥하는 것도, 포식자로부터 도망치는 것도 어렵게 만들기 때문이다. 결국 너무 화려한 꼬리를 가진 개체는 번식기를 맞이하기 전에 도태되고, 변화는 정체기를 맞이한다." - P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