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진 평론가가 말하듯, 독서나 예술 영화를 보는 것은 자기 만족이기도 하지만 스느브즘이 어느 정도 있어야 한다는 것에 격하게 동의하게 만들 정도로 재미가 없다.

낭만주의에 대한 학술 연구는 최근 몇십 년 동안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통일된 견해에 이르지는 못했다. 예를 들어 클라게스와 그의 학파에게 낭만주의는 일면적인 지성(Geistigkeit)에 맞서 영혼과 생명의 힘을 일깨워 주었다. 낭만주의는 나들러에게는 엘베강과 살레강 동쪽 편에서 일어난 새로운 독일 종족의 문화 운동이자 독일 르네상스인반면, 다른 사람들에게는 독일 고전주의의 대척이다. - P4
이 책의 목표는 독일 낭만주의의 역사적 진행과 주요 인물들의 특징적 사상을 살펴봄으로써 독일 낭만주의 전체를기술하는 데 있지는 않다. 이에 관해서는 1924년에 나온 저술을 보다 확장하고 심화한 다른 책에서 다룰 생각이다. 그렇기 때문에 낭만주의의 세 단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정도로만 언급하고 그칠 것이다. - P5
대개 초기 낭만주의 혹은전기 낭만주의라고 불리는 1기 낭만주의는 1797년 베를린에서 <예술을 사랑하는 한 수도사의 심정 토로>로 시작해 예나에서 ≪아테네움>으로 절정에 이르렀으며, 다시 베를린에서 1802~1804 년의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의강연으로 종말을 고했다. - P5
대개 신낭만주의라고 불리는 2기 낭만주의는 대략 1815년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근래 들어 일부에서는 신당만주의 대신에 전성기 낭만주의라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데, 이는 1기 낭만주의에 대한 평가 절하의 의미를 가질 수 있기때문에 오히려 중기 낭만주의라고 부르는 것이 더 나을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시대 구분은 개략적인 것에 불과하다 - P6
3기 낭만주의 또는 후기 낭만주의는 앞의 두 낭만주의보다 공간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더 분화되고 시간적으로는1830 년대까지 이어지며, 몇몇 간행물들을 놓고 보면 19세기 중반까지도 이어진다. - P7
세 단계의 낭만주의 사이에는 분명한 견해 차이가 있고개인별로 발전 과정이 매우 다르지만, 본 저술에서는 개별적 특수성들과 인물들을 중심으로 구분하기보다는 낭만주의자들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공통된 견해들을 알아보고, 낭만주의 운동의 공통된 특징들과 결정적인 동인들을 살펴볼 것이다. 아울러 낭만주의의 정신사적 맥락, 특히 독일 관념론과의 관계들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볼 것이다. - P8
낭만주의자들의 업적은 철학에 그치지 않는다. 그들은 역사, 자연 과학과 자연 관찰 등의 영역에서도 업적을 남겼으며, 생활 방식(Lebensführung)과 국가 공동체에 대한 사상을 펼쳤고 그러한 사상을 통해 당대의 정치적 과제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문학, 회화, 음악 등의 예술적 창작물들을 남겼다. 이러한 모든 창작, 연구, 행위들은 이념을 기초로 하거나 아니면 이념에 부합하도록 수행되었다. - P9
이 책에서는 바로 이 이념이 다루어진다. 이 책은 문학사보다는 정신사를 다루지만, 낭만주의의 예술적 창조에서이념이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낭만주의 문학을 이해하는 데도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낭만주의의 이념은 놀라울 정도로 풍부하고 광범위하기 때문에 이 작은책에서 모든 이념을 똑같은 비중으로 다룰 수는 없다. 낭만주의자 개개인의 특징, 중요한 체험, 세계관의 발전도 마찬가지 이유로, 이에 관해서는 다른 책에서 다룰 것이다. - P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