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은 날의 초상 ㅣ 민음사 오늘의 작가 총서 12
이문열 지음 / 민음사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내 허망한 방황이 서글퍼지면서 바다가 비로소 실감나는 존재로 다가왔다. 녀석이 한 눈에 알아본 것은 바로 내 진정한 모습이었다. 나는 선배들의 신화와 모험을 동경했지만, 그들의 이념에는 투철하지 못했다. 내가 처음 그들에게 매혹됐던 것은 그들의 강인한 의지와 신념이 아니라 화려했던 지난 승리의 기억이었다. 그리하여 그것들이 저항할 수 없는 힘에 의해 분쇄되고 부인되자 나는 미련 없이 떠났다. 몇 개의 추상적인 이념의 껍질과 과장된 울분만을 품은 채. 다음에 내가 몸담았던 문예서클과 탐미의 세계에서도 그랬다. 그때 진실로 내가 추구한 것은 아름다움의 실체였던가. 아니었다. 사이비의 것, 촛불 문학의 밤에 낭독한 시 한 줄, 초라한 동인지에 실린 몇 십매의 잡문이 가져다 준 갈채에 취하고, 그 너머에 있는 보다 큰 허명에 갈급했었다. 그래, 그 때 나는 천 권의 책을 읽었다. 그렇지만 그 또한 탐구였다고 말할 수 있는가. 내 마음에 불타고 있던 것이 진정한 이데아의 광휘였을까. 아니었다. 세 번 아니었다. 소년의 허영심으로, 목로주점의 탁자를 위하여, 어쭙잖은 숙녀와 마주 앉은 다방의 찻잔을 위하여 읽었을 뿐이었다. 그런데도 나는 감히 말하였다. 이념은 나를 배반했고, 아름다움은 내 접근을 거부했으며, 학문은 아무것도 주지 않았다, 라고. 판단을 얻기도 전에 가치를 부인했고, 근거없는 절망과 허무를 과장했다. 그리고 끝내는 말초적인 도취와 탐락에 빠져 모든 것을 망쳐버렸을 뿐이었다. (187-188쪽)
무언가를 찾아 떠난 여행길이었다. 그것은 어떤 완벽함, 어떤 완전함, 모든 것을 채우고도 남을 충분한 의미, 그야말로 절대적인 것을 향한 여행이었다. 여러 가지 일들을 겪었다. 강진에서는 삶의 자잘한 군상들을 발견했고, 대학교에서는 끊임없는 지적 유희에 열을 올렸으며, 애잔한 사랑도 경험했다. 그래도 해결되지 않았다. 여전히 그 무언가를 향한 질문이 몸을 마음을 계속해서 움직였다. 그리고 함께 대학시절을 보낸 김형의 죽음이 기어이 자신마저도 그 낯설고 두려운 경험을 마주하도록 이끌었다. 그 마지막 고개를 넘기 전에 주인공 '나, 영훈'은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다. 한 창백한 폐병쟁이로부터였다. 그 모습은 '방황의 허영성'이었다. 위의 인용문은 그 모습을 정확하게 보여준다. 이념이 자신을 배반했고, 아름다움은 자신의 접근을 거부했으며, 학문은 아무것도 주지 않았다는 근거없는 절망과 허무의 과장, 그에 따른 말초적 도취와 탐락에 몸과 마음을 내 던진 그 자신이었다. 이제 여기서 주인공은 한 발자국 더 나간다. 그리고 떨어질 나락이 더 이상 없는 그 곳에서 비로소 무언가를 발견한다. 창수령, 그 자연의 무한한 "아름다움"이었다.
고개를 다 내려왔을 때 나는 하마터면 울 뻔하였다. 환희, 이 환희는 아무도 이해할 수 없으리라. 나는 아름다움의 실체를 보았다. 학자들이 무어라고 말하든 나는 그것을 감지한 것이 아니라 인식하였다. 아름다움은 모든 가치의 출발이며, 끝이었고, 모든 개념의 집체인 동시에 절대적 공허였다. 아름다워서 진실할 수 있고 진실하여 아름다울 수 있다. 아름다워서 선할 수 있고, 선해서 아름다울 수 있다. 아름다워서 성스러울 수 잇고, 성스러워서 아름다울 수 있다. 그러나 아름다움은 스스로는 아무것도 갖고 있지 않다. 그러면서도 모든 가치를 향해 열려 있고, 모든 개념을 부여하고 수용할 수 있는 것, 거기에 아름다움의 위대성이 있다. .... 그 감격에 뒤이어 돌연히 나를 사로잡은 아름다움의 또 다른 측면은 그것이 어떤 신적인것, 인간은 본질적으로 도달이 불가능한 하나의 완전성이란 것이었다. 인간은 한 왜소한 피사체 또는 지극히 순간적인 인식주체에 불과하며, 그가 하는 창조란 것도 기것해야 불완전하기 짝이없는 모사일 뿐이었다. 그렇다면 내가 예감하는 삶의 형태는 처음부터 불가능을 향해 출발하는 셈이었다. 그런 삶을 채워가야 한다는 것은 그때의 나에게는 참을 수 없을 만큼 어리석고 무모해 보였다. (198-199쪽)
그러나 그 아름다움은 '공허'했다. 너무 아름다워서 완전했으나 도달할 수 없는 것, 도저히 잡을 수 없는 것이었다. 다시 한 번 나락으로 떨어졌다. 그렇게 찾고자 했던 그 무엇을 만났는데, 그것도 떨어질 곳이 없는 처절한 자기 인식의 끝자락에서 그렇게 바라던 것을 마주했는데, 안타깝게도 그것은 '공허'함, 불가능을 향해 달려가는 어리석음과 무모함이었던 것이다. 그를 엄습한 것은 또 한 번의 좌절이었다. 그는 길을 계속 걸어갔다. 산을 넘어 결국 바다에 닿았다. 그 곳은 '공허'와 맞닥뜨리기 위한 장소였다. '공허'의 가장 본질적인 모습은 죽음이었다. 그러나 여기서도, 아름다움과 신적인 것이 지나가고 공허와 무의미, 죽음만이 남겨진 자리에서도 그는 자신을 끌어올리는 것을 발견하지 못했다. 더욱 큰 허탈함만 가져다 주었을 뿐이었다. 이 때 주인공 '나, 영훈'은 무언가를 발견한다. 그런데 아이러니컬하게도 그것은 여태 몰랐던 것, 애써 무시했던 것, 그래서 어떤 이데아적인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철저히 본능적인 것이었다. 살고자 하는 본능, 몸의 무의식적인 반응이었다. 여기서 비로소 모든 것이 끝이 난다. 삶을 살아야 하는 이유가 생겼다. 이유는 다른 곳에 있지 않았다. 나, 자신이었다.
돌아가자. 이제 이 심각한 유희는 긑나도 좋을 때다. 바다 역시도 지금껏 우리를 현혹해 온 다른 모든 것들처럼 한 사기사에 지나지 않는다. 신도 구원하기를 단념하고 떠나버린 우리를 그 어떤 것이 구원할 수 있단 말인가. 그러나 갈매기는 날아야 하고 삶은 유지되어야 한다. 갈매기가 날기를 포기했을 때 그것은 이미 갈매기가 아니고, 존재가 그 지속을 포기했을 때 그것은 이미 존재가 아니다. 받은 잔은 마땅히 참고 비워야 한다. 절망은 존재의 끝이 아니라 그 진정한 출발이다. ... 사실 나는 아직도 절망을 내 존재의 출발로 삼을 만큼 그것에 철저하지는 못하다. 그러나 적어도 한 가지 그 바닷가에서 확인한 절망은 내게 귀중한 자유를 주었다. 객관적이고 절대적인 가치가 우리를 인도할 수 없다면, 우리의 구원은 우리 자신의 손으로 넘어온 것이며, 우리의 삶도 외재적인 대상에 바쳐진 것이 아니라, 스스로에 의해서 시인되고 충만되어야 할 것이었다. ... 나는 생각한다. 진실로 예술적인 영혼은 아름다움에 대한 철저한 절망 위에 기초한다고. 그가 위대한 것은 그가 아름다움을 창조하였기 때문이 아니라, 그것이 불가능한 줄 알면서도 도전하고 피흘린 정신 때문이라고 (212-213쪽)
이 여행길은 이렇게 끝났다. 절망 속에서 발견한 자아, 그 속에서 비로소 시작된 진정한 삶과 자유, 구원. 이 때문에 절망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고, 또한 그만큼 처절한 절망을 해 볼 필요도 있다. '젊은날의 초상'을 아름답게 그려낸 이유다. 진정한 삶, 아름다움을 향한 불가능한 도전이 이 속에 담겨졌기 때문이다. 일견으로는 충분히 수긍할 수 있는 내용이다. 그러나 뭔지 모르게 아쉽다. 이상하게 2% 부족한 듯한 느낌이다. 이 커다란 자각을 향해 달려온 숨가빴던 이야기들이 어느 순간 낯설게도 허공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이다. '자아'의 재발견, 조금은 오만한 듯한 깨달음이 그렇게 만드는 것일까. 아니면 무엇일까. 가만히 보니, 이거 같다. 아름다움과 공허함의 끝자락에서 발견한 진정한 삶, 그러나 이 마저도 왠지 '허영'같이 들린다는 것이다. 어쩌면 주인공은 도리어 자아의 또 다른 '허영'을 만들어 낸 것은 아닐까. 소설의 허구성을 인정하나 그 현실적 토대를 무시하지 못하는 것을 감안한다면, 또한 삶은 관념이나 이념을 뛰어넘어 마음을 향해 다가오는 진실한 삶에 더욱 쉽게 반응할 수 있음을 감안한다면, 이 '허영'같은 느낌은 삶의 현실적 토대, 삶 그 자체로 이야기하지 못한 것 같은 느낌의 다른 말이 아닐지..
(인용 페이지 수는 1995년 판본을 사용하여 기록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