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The One Page Proposal - 강력하고 간결한 한 장의 기획서
패트릭 G. 라일리 지음, 안진환 옮김 / 을유문화사 / 200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설마 이 책의 제목을 보거나 내용을 읽고 회사에서 당장 이렇게 써야지 하는 사람이 있다면 말려주고 싶다. 왜냐면 이 책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이 책의 저자는 자신이 전혀 모르던 사람에게 - 물론 상대방도 이 사람을 모른다. - 1장짜리의 기획서를 통하여 그 사람의 흥미를 끌어들여 새로운 비지니스를 시작하게 한다. 바로 여기에 1장짜리 기획서의 필요성이 있다. 일반적으로 회사를 다니는 사람들이 뻔히 다 아는 상관에게 그리고 뻔히 앞으로 회사가 추진할 비지니스가 뭔지도 아는 상황에서 1장짜리 기획서를 제출한다는건 기름을 안고 불길로 뛰어드는 격이라고 생각한다. 그렇지 않아도 구조조정이다, 경제불황이다 말들이 많은데, 한방에 가고 싶으면 뭔 짓인들 못하랴......

동서양의 문화차이를 뛰어 넘어 1장짜리 기획서가 먹히는 상황이 있는 법이다. 피차간에 알지도 못하고 전혀 관심도 없던 상황에서 갑자기 어떤 모르는 이가 찾아와서 100장 짜리 기획서를 던져준다면 과연 그 사람이 그걸 읽을까? 당연히 안읽을 것이다. 하지만 자신의 부하직원이 회사의 비지니스에 관계되는 일에 대하여 100장짜리 기획서를 꼼꼼히 써왔다면 상관은 당연히 읽을 것이다. 왜냐면 그게 그 사람의 중차대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마디만 더 하겠다. 1장짜리건 30장짜리건 그냥 각자 상황에 맞게 쓰면 그만이다. 과거 한국의 회사들이 화려한 모양새와 두꺼운 기획서, 그리고 멋진 파워포인트를 갖춘 환상적인 슬라이드쇼를 선보여 왔다고 비난할게 못된다. 왜냐면 그런 기획의 방식 자체가 서양에서 들어왔기 때문이다. 언제부터 대한민국에서 파워포인트를 사용했나?  또한, 미국에서 MBA등에서 미국물 먹은 인간들이 앞장서서 내용도 하나도 없는 기획서를 파워포인트로 멋지게 만들어서 설래발치기 시작했다. 그걸 우리도 멋지니까 받아들인 것이다. 그러니 이제 다시 1장짜리 기획서가 유행한다고 해서 그걸 또 그대로 받아들였다가는 나중에 또 그것을 비판하는 내용이 나오게 마련일 것이다. 그냥 자기 주관대로, 그리고 회사의 분위기에 맞춰 살아가길 바란다. 쓸데없는 모험은 화를 재초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yonara 2004-04-30 14: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렇게 부정적인듯 하면서도 날카로운 리뷰가 좋더라구요.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너무 뻔하고 상투적인, 그래서 기분나쁘지만 맞는 말인 '이론과 실제는 다르다'는 것이지요.
 
100억을 만드는 기획서의 조건
기획거래소 플랜업 엮음 / 경향미디어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왠만해서는 별을 한개 주는 경우는 없다. 하지만 난 이 책에 과감히 별 하나를 주고자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100억을 만드는 기획서의 조건이라는 제목에서부터 책 내용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책의 디자인 등이 개인적으로 형편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저자는 자신이 쓴 기획서로 말미암아 해외에서 100억의 자금을 펀딩했다고 한다.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대로 쓰면 100억을 펀딩 받는가? 웃기는 얘기다. 별 내용도 없다. 다 맞는 얘기만 써놨다. 이런거 모르고 회사생활 하는 사람도 없을 뿐더러 안다고 해서 더 나아질 것도 없다.

내용중에 색깔에 대하여 나름대로 정의 내린게 있다. 이름하야 기획서에서 쉽게 활용되는 컬러의 숨은 전략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보자. 빨강은 적극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색으로 기획서에서 강조하는 내용에 원 포인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나 지나친 사용은 집중력 저하등을 일으킨다.  파랑은 정보와 지성을 상징하는 색으로 기획서가 정확한 정보라는 이미지를 심어준다. IT계열에서 많이 활용......기타 등등

이런 식으로 7개 색깔에 대하여 나열하고 있다. 그런데 대단히 웃기게도 이 책에 사용된 색은 온통 파란색뿐이다. 한번 서점가서 쓱 훑어보면 온통 파란색이다. 왜 그랬을까? 이러고도 색깔에 대해 말할 자격이 있는지 의심스럽다. 자신들이 쓴 책도 일종의 고객에 대한 기획서인데, 이것의 구성 및 디자인을 이런 식으로 하면서 100억을 만드는 기획서의 조건을 알려주겠다니 이것이야말로 아이러니다. 밑에 어느 분 말씀처럼 맨 뒤에 있는 파워포인트에 관한 내용에 이르러서는 어이가 없어 웃음조차 안나온다.  암튼 대단한 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ai7410 2004-11-06 10: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게 혹평할 정도의 수준은 아니던데....전 나름대로 읽고 도움을 많이 받았거든요...--;;
 
기획서 제안서 작성법
사이토 마코토 지음, 양영철 옮김 / 삼양미디어 / 2004년 1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었다고 기획서를 잘 쓸거라는 편견을 버리자. 이 책은 그야말로 기획서 예문들이 대부분이다. 사내 행사 관련, 상품기획, 점포개발, 광고, PR, 판촉, 이벤트 기획 등 각각의 해당하는 기획서의 예문을 제시해 준다. 각 범주마다 예문은 5~6개 씩 들어가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관련 기획서의 경우에는 광고캠패인이나 신문/잡지 디자인, 혹은 텔레비전 CM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너무나 예문중심으로 되어 있기에 실질적으로 이에 해당하지 않는 기획서를 쓰고자 할 때는 직접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없다. 또한, 설사 이 책에서 다루는 부분에 관하여 기획서를 쓰고자 할 경우에도 여기에 나온 예문대로 쓴다는 것은 상상하기도 어렵다.

결국, 개인적으로 이 책은 당장 기획서를 써야하는데 머리속이 텅텅 빈듯한 느낌을 주어 아무것도 할 수가 없는 사람에게는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나름대로 사전조사를 하고 기본 지식을 가진 사람이 이 책을 보았다고 해서 기획서를 더 잘 쓴다거나 혹은 기획서 작성에 유리하다고 말하기는 힘들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가분석 매매술 - 재테크 시리즈 4
구마자와 다께사부로 & 히끼다 아끼라 지음, 황태홍 옮김 / 중앙경제평론사 / 1999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에서 사용된 자료는 과거 일본 자료들이다. 주로 80년대 중반자료가 전부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이 것이 전혀 쓸모 없다고 말하는 자가 있다면 그는 아마도 깡통 근처에서 현재 헤비고 있거나 앞으로 그럴 가능성이 농후한 자이다.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는 직접적인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라기 보다는 다른 이의 시각을 배우기 위해서 이다. 자신이 전혀 생각지 못한 방식으로 사고하는 이들의 경험을 보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공부가 되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시장에서의 전략마련에 직접적인 도움이 된다.

책에 있어서는 불신을 거두고 무슨 책이라도 보아야만 한다. 세상에 나쁜 책은 없다. 다른 이의 독창적인 관점에서 나도 똑같이 바라본다는 것만으로도 행복한 일이다. 그러다 보면 언젠가 자신만의 독보적인 무기가 탄생할 날이 올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0-01-07 18:2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내일의 주가 그것이 알고 싶다
민구은 지음 / 진리탐구 / 2001년 6월
평점 :
품절


나는 주식, 선물옵션 등에 5년이상 투자해 오고 있는 사람이다. 나름대로 이 정도의 투자기간을 거쳐 생존한 사람들은 저마다 독창적인 자신만의 기법이 있다. 이 책의 저자도 마찬가지로 자신만의 기법을 말해준다. 물론 모든걸 다 까발렸다고 볼 수는 없다. 어느 미친 인간이 자신의 결정적 무기를 다 보여주겠는가? 다만 그렇더라도 다른 이가 시장을 보는 눈의 각도를 관찰할 수 있다는 면에서 이런 책은 상당한 도움이 된다.

모든 이가 자기 입에 떠서 먹여줄 무기를 찾고 있다. 하지만 그런 무기는 결코 자기 입속에 떨어지지 않는다. 결국 자신이 스스로 자신의 머리로 생각하고 연구하여 만들 수 밖에 없다. 다만, 어떤 책도 않읽고 다른 이의 경험을 공유하지 않고 독방에 틀어박혀 혼자서 매일 차트만 쳐다보고 연구해봤자 자신만의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기가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 이런 책은 신선하다. 그러니 세상 모든 일에 있어서 반드시 책을 보고 다른 이의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단순히 직접적인 도움이 아니더라도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이 점을 모르거나 혹은 무시하는 사람들은 365일 깡통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