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리 봐도 도무지 쓸데없는 이 길, 아무리 봐도 공칠 게 뻔한 하루, 아무리 봐도 헛된 희망. 이 모든 게 다 무슨 짓일까요?”
처음 읽은 카프카 소설. 읽기 전엔 가드를 잔뜩 올리고 있었다. 까뮈식의 문체나 내용이 아닐까? 나는 <페스트> 때처럼 읽다가 자게 되겠지?
그런데 웬걸. 굉장히 재미있었다. 처음에는 인물들의 성격을 잘 못 따라잡았다. 다들 좀 들떴고, 연극적인 제스처나 언행을 취했기 때문. 그래서 공감하며 읽는 게 아니라 뭔가의 상징성을 가진 개체로 대하며 거리를 두고 읽어야 하나 싶었다. 그런데 읽을 수록 인물들이 코믹하기까지 했다. 무겁고 지루할 수 있는 철학소설(그도 그럴 것이 카프카 하면 실존의 탐구란 말이 늘 따라오니)이겠거니 했던 것이 재미있는 풍자소설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제법 미스테리하다. K란 이니셜로만 표시된 주인공의 이름, 본인의 주장 외엔 이 사람이 토지측량사인지도 알 수 없는 정체성의 모호함, 마을을 장악하고 있지만 정작 모습은 한 번도 드러내지 않는 공포스러운 성, 그 성의 음울함에 짓눌려 히스테리컬한 모습을 드러내는 마을 사람들.
아무튼 색다른 소설이었다. 희곡적 인물들의 행동과 말투, 관료제에 대한 내용은 풍자에서 오는 통쾌함과 재미, 못믿을 인물인 주인공을 통해 보여주는 실존에 관한 고민, 작품의 얼개는 고딕 낭만주의.
다음 읽을 카프카 소설도 기대한다. 어쩐지 최애작가가 될 거 같은 느낌적인 느낌.
*덧붙임
1. Kafka Steven Soderbergh youtu.be/JjI2a7g1ZXs - @YouTube 제레미 아이언스가 카프카로 나옴. 처음 볼 때 내 맘대로 독일 영화 아닐까 했는데 미제였음. 흥행은 말아먹었다고 하지만 꽤 재미있었다.
2. 검색하다 건진 평. “지극히 실질적인 기법으로 관념 세계의 상징적인 인간 존재의 정체와 그 실상을 파헤치고 있”다는 건데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정체와 실상은 어떻게 다른 거지? 인간의 정체가 아니라 왜 상징적인 인간의 정체지? 그냥 인간 존재의 정체를 드러내기 위해 상징적인 기법을 사용했다는 말 아닌가..?
3. 미완. 게어슈테커의 어머니는 K에게 무슨 말을 하려고 한 걸까. 프릳다, 페피와는 사이가 어떻게 될까. 이 마을에서 토지측량은 불가능한 것일까. 이 모든 걸 영원히 모르게되..는 건 아니다. 역자해설에 보면, 작가가 죽기 전에 정해놓은 줄거리를 언급한다. 언뜻 새드엔딩인데 한편 K의 정체불명성을 생각하면 K입장에 몰입하여 줄거리를 따라갈 필요가 없는 것 같기도 하고..
4. 카프카 다음 거 읽고 싶다 카프카! 전집도 지르고 싶다 ㅠㅠ 하지만 나는 한동안 책을 사지 않기로 굳게 결심한 것을.. 그리고 읽고 싶어도 망할 <비극의 탄생>을 다 읽고 난 후가 될 것이다.
5. 아직 ‘실존’이란 말을 잘 모르겠다. 실존을 다룬다는 것은 인간 존재의 근원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삶의 양태를 보여준다는 뜻인지? 그럼 세상에 실존소설 아닌 게 어디 있지? ㅠ 방법은 실존소설로 분류된 작품들을 읽으며 감을 잡거나 실존철학 서적을 읽는 것 등이 있겠는데 나는 철학에 약간 알러지가 있는 거 같아서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