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츠제럴드, 글쓰기의 분투 - 스콧 피츠제럴드는 ‘이렇게 글을 씁니다!’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래리 W. 필립스 엮음, 차영지 옮김 / 스마트비즈니스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서평단으로써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고 주관적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글을 쓴다는 건, 스스로를 견디는 일이다

이 책은 말하자면, 글쓰기에 대한 고백이자 자백이다. 대단한 이론이나 화려한 기교는 없다. 대신 글을 쓰는 사람이 겪는 현실적인 고통, 자기혐오, 불안, 그리고 그럼에도 계속 쓰게 되는 어떤 집착 같은 것들이 담겨 있다. 글을 써본 사람이라면 단박에 알 수 있다. 이건 누가 꾸며낸 말이 아니라, 직접 망가져본 사람만이 할 수 있는 말들이라는 걸.

 

책에는 여러 시기의 메모와 편지, 단상들이 실려 있다. 모두 제각각인 것 같지만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글을 쓰는 사람이 절대 평안할 수 없다는 사실. 좋은 문장을 쓰겠다는 욕망, 인정받고 싶다는 욕망, 한 줄도 못 쓰는 날의 자괴감, 방금 쓴 문장을 다시 지우고 또 지우는 강박. 그런 반복 속에서 이 책은 태어났다.

 

읽다 보면 웃긴다.

의도적인 유머는 아니다. 자기가 쓴 문장에 괴로워하며 편집자에게 하소연하고, 멋진 글 뒤에 숨은 무력감을 고백하는 모습은 블랙코미디 그 자체다.

 

자기가 자기를 조롱하고, 그래도 또 쓰고, 또 절망한다. 어느 순간엔 글쓰기라는 행위가 감옥처럼 느껴진다.

그런데도 도망치지 않는다. 아니, 못하는 걸까.

 

이 책의 힘은 정직함에 있다. 스스로 잘 쓴다고 믿지 않는다. 천재도 아니라고 말한다. 그래서 더 신뢰가 간다. 화려한 성공담이 아니라, 끝없이 흔들리는 인간의 언어가 담겨 있다. 그 언어들이 짧고 단순해서 더 아프다. 마치 누구에게도 말 못 할 말을 혼잣말로 꺼내는 것처럼. 그 안에, 글을 쓰는 사람들이 공통으로 겪는 외로움이 있다.

 

물론 아쉬운 점도 있다. 책의 편집 방식이 다소 어수선하다. 흐름이 뚝뚝 끊기고, 비슷한 이야기들이 반복된다. 편집자가 조금 더 주제별로 정리했더라면 집중도가 높아졌을 것이다. 게다가 후반부로 갈수록 힘이 빠진다. 읽는 입장에서는 처음의 몰입감이 점점 줄어든다. 분량보다 밀도가 중요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오래 곁에 두고 싶은 책이다. 잘 쓰기 위해서가 아니라, 계속 쓰기 위해서. 쓰고 싶은데 못 쓸 때, 한 줄이라도 썼다가 절망할 때, 이 책은 묵묵히 말해준다. “나도 그랬다. 근데 그냥 계속 썼다.” 그것으로 충분하다. 글쓰기라는 일은 결국 잘 쓰는 기술이 아니라, 끝까지 남아 있는 끈기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