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를 모욕하는 걸작들
한승혜 외 지음 / 문예출판사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줄평) 고전따위!!

고전주는 장점과 단점에 대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

이 책은 '말괄량이 길들이기', <달과 6펜스>, <안녕 내 사랑>, <위대한 개츠비>, <나자>, <그리스인 조르바>, '날개', '메데이아'를 다른 시선으로 해석한 책이다.
책에 나온 문학들을 모두 다 읽은 것은 아니다. 그러나 내가 접한 고전들은 읽은 이로 하여금 분명 눈살을 찌푸리는 부분들이 있다.

책은 작품들별 다른 작가를 통해 그 부분을 날카롭게 학문적 형식으로 비판한다. 진정한 비평은 이런 것이 아닐까 싶을 정도로 고개를 무한대로 끄덕이게 한다.

늘 생각했다. 고전을 선별하는 작업과 고전을 왜 고전이라고 하는지.

<여자를 모욕하는 걸작들>을 보고 고전을 읽은 방법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되었다.
이 책을 보기전에는 페미니즘시각으로 보는 것이 책을 읽은 방법의 하나라고 생각했다. 그 부분을 부각해서 볼 것인가 아닌가 하는 것 말이다. 그리고 결론은 늘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완독 후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는 없어져야 한다는 것이 지금의 생각이다.

“윤리가 배제된 예술은 없어야 한다”는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마치 공부를 잘하면 ‘인성이 개쓰레기라도 괜찮아’와 같은 원리처럼 이제야 보였다. 현 정부가 하는 짓꺼리를 보면 위의 ‘윤리가 배제된 정치 역시 없어야 한다’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 이야기는 안하겠다. 지면이 아깝다.

페미니즘 성향으로 책을 읽는다면 안걸리는 고전이 어디있으랴!!
그렇다면 페미성향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먼저 이 부분을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것이다. 페미가 아님에도 그 부분을 불편해 하는 사람이 많고, 그 부분이 틀렸다고 아는 사람이 많다면 이 부분은 비평이 반드시 절대적으로 이뤄져야함에도 결국 ‘그럼에도 불구하고’다.

얼마 전에 읽은 <그리스인 조르바> 경우.

‘멋찐 인간임에 틀림없다.’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조르바는 성감수성이 매우 떨어진 인간임으로 이가 하는 말을 잘 걸러서 듣길 바란다.’라던가. ‘성감수성이 떨어진 사람은 이와 같이 여성을 대상화, 물상화, 하며, 이를 설명하는 화자 역시 그의 발언을 방관함으로써 암묵적으로 동의하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고 비판할수 있어야 한다’로 시작해야 하는 것이다.
그리스인 조르바는 진짜 그 부분을 싹 도려내면, 이야기가 반으로 준다.

고전의 비평에 분명 불편한 부분이 있다고, 당연하다고 100년전 200년적 작품이니 감안하고 봐야한다고가 아니라, 계속해서 읽혀지는 작품이니 그것에 대해 최우선으로 지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에 대한 문제는 수능에 한번 나와주면 끝인데. 정말 쉬운 방법을 두고 애써 둘러갈려니 숨이 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 끝나는 고전 읽기가 아니라
‘불구하고’라고 생각되는 부분에 대한 현대적 비판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냥.
이 책을 읽으니 고전이 옛날 쓰레기를 고이고이 간직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이 든다.

다시 생각해보자.
진짜 우리가 읽는 고전을 우리가 판단한다면 고전이라 일컫는 책을 진짜 고전으로 픽할것인지.

현대소설에서 고전보다 훨씬 다양한 인간군상ㆍ훨씬 멋들어진 표현 ㆍ더 훌륭한 내용과 그에 따른 교훈을 준다고 해도 현대소설을 읽지 않고 고전을 읽을것인지 말이다.

성감수성 떨어지는 인간들이 픽한 것을 언제까지 그들의 잣대에 맞게 읽어내야하는 것인지. 그게 진짜 후대에까지 기리기리 전해져야할 작품인지 재고의 여지가 충분하다.

고전을 만든 것이 남성들(그때는 지도층)이라 이따위 뭐같은 책들이 고전이라고 후세 기리기리 읽혀야한다고 한 건 아닐까생각한다

고전古典
네이버 어학사전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명사_ 오랫동안 많은 사람에게 널리 읽히고 모범이 될 만한 문학이나 예술작품.

여성을 대상화, 사물화하는 작품을 우리는 고전이라고 여전히 떠받들면서, 우리 자녀들에게 읽혀야 하는지,
성감수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이 사회를 살아갈 사람들에게 모범이 될 만한 작품인지,
작품을 선택하는 기준 역시 달라졌음에도 우리는 여전히 고전에 목을 메야하는 지 다시금 생각해볼 문제다.

고전에 대한 재평가와 재해석, 그리고 재편성이 이뤄져야할 것이다.

버릴게 너무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