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알아주는 마음
김지호 지음 / 은행나무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발달장애를 치료하는 언어치료사의 이야기다.

부모의 중요성을 설명하는가 싶다가 선생의 중요성을 설명하는가 싶었는데, 결국은 우리가 모두가 이해를 바탕으로 익숙함을 쌓아 함께 살아가자는 내용이다.

여기 나오는 사례 중에 <겸이>가 나온다. 겸이는 초등생으로 말더듬는 증세를 가진 친구다.

 

.52

이 친구의 말더듬증세는 학기초에 심해지고, 방학때는 상대적으로 유창해졌다. 학년이 바뀔 즈음에는 말막힘이 초고조에 달했다.

 

주변에 말을 더듬는 사람은 거의 본적이 없다. 몸이 불편한 사람도 거의 본적이 없다. 그에 대한 해답이 책에 또 등장한다.

책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발달장애인들과 함께 사는 세상을 말한다.

.74

서로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익숙해지는 것이다. 그러려면 사람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 자주 장애인을 만나야 한다 영화와 드라마에 평범한 장애인이 더 많이 등장하고 더 많은 장애인이 집 밖으로 나와 공원에서 마트에서 카페에서 우리와 만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우선 이동권이 확보되야 한다). 서로 가까워 질수록 서로의 모습은 더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차이는 더 이상 서로를 떨어뜨려 놓는 간극이 아니라, 우리를 연결하고 관계를 확장하는 소중한 전제가 된다. 그렇게 장애인은 내 형제와 이웃이 된다.

이동권!!

그 사회의 수준을 알기 위해서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를 보면 된다고 했다.

우리사회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다.

 

표현이 서툰 아이와 더 서툰 부모의 입장을 제 3자의 입장에서 차분히 이야기한 부모라면 한번은 읽어봐야 할 책이다.  

.52

이 친구의 말더듬증세는 학기초에 심해지고, 방학때는 상대적으로 유창해졌다. 학년이 바뀔 즈음에는 말막힘이 초고조에 달했다.


.74

서로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익숙해지는 것이다. 그러려면 사람들이 지금보다 훨씬 더 자주 장애인을 만나야 한다 영화와 드라마에 평범한 장애인이 더 많이 등장하고 더 많은 장애인이 집 밖으로 나와 공원에서 마트에서 카페에서 우리와 만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우선 이동권이 확보되야 한다). 서로 가까워 질수록 서로의 모습은 더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차이는 더 이상 서로를 떨어뜨려 놓는 간극이 아니라, 우리를 연결하고 관계를 확장하는 소중한 전제가 된다. 그렇게 장애인은 내 형제와 이웃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