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꼭 알아야 할 자본주의 키워드 50 지금의 교양 1
조너선 포티스 지음, 최이현 옮김 / 아날로그(글담) / 2021년 9월
평점 :
절판


 

<불평등의 재등장>

 

이제 사회는 다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 계층과 계층이 섞이는 그런 사회는 경제가 침체되면서 많이 드문 일이 되었다. 기득권층들은 자신의 기득권을 대물림하기 위해 자녀들의 교육에 보통집안에선 생각지도 못한 돈을 투자한다. 조기유학도 당연히 보내고,(기러기 아빠는 쉽게 볼수 있다. 내 옆에 없어서 그렇지, 그 흔한 기러기아빠가 나와 가장 가깝이 살고 있는 아빠는 아니라는 것이 아이러니다.)

 

그런데 이것을 넘어서 기술과 자본의 합작으로 노동은 자동화가 대체하고 인간의 노동력은 또 다른 정의를 논해야 하는 시점이다. 기술과 자본의 합작은 사회적 기술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본을 가진 개인을 위한 기술이 될 가능성이 크다. 못사는 사람은 시간이 지날수록 못살 것이고, 잘사는 사람은 돈이 돈을 벌어주듯이 가만히 숨만 쉬어도 더 잘살게 될수 밖에 없다. 이제 초양극화는 우리 코앞에 있다.

 

.285

현재 우리 사회는 자본이 소수에게 집중되고 그들이 전체 파이의 많은 부분을 가져갔떤 과거로 되돌아가고 있다는 것이 그의 논지다.

 

아주 가까운 과거 조선을 생각하면 극히 소수의 양반이 지배계급으로 그들의 권력을 지키기 위해 어떤 일을 했는지 말하지 않아도 안다. 그런 날이 멀지 않았다는 것이다. 조금더 많이 가까운 과거를 보면 권력을 잡기 위해 제일 먼저하는 일이 언론 통제였다. 국가가 만약 모든 통신사를 통제하게 된다면? 우리는 어디서 정보를 얻을까? 모든 것은 인간을 소비수단으로 이용할 뿐 그 속에 인간을 두지 않고 있다.

 

이렇게 된다면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329

새로운 세상에서는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것이 아니라, 빠른 물고기가 느린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

<클라우스 슈밥>

 

세상의 흐름에 대해 말하는 책 중 대세는 디지털 사회, 디지털 경제, 디지털 문화 등등 디지털에 대해 말한다. 이 책은 그 디지털의 변화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왜 우리가 이렇게 살게 되었는지를 말한다.

 

아쉬운 점은 뒤에 뭐가 더 있을 것 같은데 자꾸 읽다보면 끊긴다는 것이다. 그것이 좀 아쉽다. 모르는 단어 경우에는 딱 수준에 맞지만 아는 용어같은 경우에는 좀 많이 아쉽다.

 

경제를 처음 배우거나 경제의 역사에 대해 짤막하게 보고 싶은 사람은 좋을 것 같기도 하다. 그러나 여전히 너무 짧다. 용어 50개봐 30개정도로 하고 깊이를 좀 더 깊이 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욕심이 과 했다.  



#자본주의키워드50 #당신이꼭알아야할_자본주의키워드50 #교양 #조너선포티스 #최이련 #아날로그 #글담 #50_Capitalism_Ideas_You_Really_Need_to_Know #자본주의 #개념사전 #재산권 #경제교양 #지식교양 #용어설명서 

.17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얼마 되지 않은 1991년, 세계 경제의 중심지인 뉴욕 다운타운의 작은 ‘지역신문‘<월스트리트 저널>은 "현재 우리는 모두 자본주의자이다."라고 선언했다.

.155
투기자는 기업이라는 수증기에 맺힌 물방울처럼 전혀 해롭지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기업이 투기라는 소용돌이 속 물방울이 되면 상황은 심각해 진다. 한 국가의 자본 반전이 카지노 활동의 부산물이 되면 잘못될 가능성이 크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

.192
경기 후퇴를 막거나 누그러트리려면 정부가 거시적으로 경제를 관리해야한다.

.238
우리에게 사회주의란 중국의 상황에 맞게 재단되고 특별히 중국적 특색을 지난 사회주의를 의미한다. 생산력을 고도로 향상 시키고 압도적으로 풍부한 물질적 부를 이루려면 이런 사회주의가 필요하다.
<덩샤오핑>

.329
새로운 세상에서는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것이 아니라, 빠른 물고기가 느린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 <클라우스 슈밥>

.284

여기에는 좀더 다루기 힘든 요인들도 작용했따. 생산과정이 달라지고 기술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교육수준이 높거나 특히 기술을 보유한 노동자의 임금 프리미엄이 더욱 커진 것을 의미한다. 불평등의 증가는 시장경제가 작동한 결과이다.

.284

여기에는 좀더 다루기 힘든 요인들도 작용했따. 생산과정이 달라지고 기술의 중요성이 커졌다는 것은 교육수준이 높거나 특히 기술을 보유한 노동자의 임금 프리미엄이 더욱 커진 것을 의미한다. 불평등의 증가는 시장경제가 작동한 결과이다.

.329
새로운 세상에서는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 것이 아니라, 빠른 물고기가 느린 물고기를 잡아 먹는다.
<클라우스 슈밥>

.29
재산권을 정의하고 제한하는 까다로운 규칙은 복잡한 현대 경제와 사회의 특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