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들 - 우리의 시간에 동행하는 별빛이 있다 들시리즈 3
이주원 지음 / 꿈꾸는인생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글은 도서를 지원받았지만  소신있게 쓴 글입니다.


✍얼마 전에 읽은 책 #진지하게회사빼고다재미있습니다만 을 페러디 하면 진심을 다해 전공빼고 다 재미있다. '이 책은 천문학책.😱 좋은데 힘든 느낌이... 내가 아는 천문학책은 모르는 단어가 엄청나게 많은 읽고 나서도 뭔소리인지 싶은 책들이었다. 그건 전공 서적이었나? 😳😳😳선택의 오류


천문학에 대한 편견을 말끔히 날렸다.


가볍게 잡은 책은 몇 개의 챕터를 넘기며 '피식'거리게 하고, '추억'으로 끌어당겼다. 👍대학원생 때의 이야기는 허리가 아팠다. 내 얘기인 줄... 🤣🤣🤣 이 책을 보고 나니 스트레스가 확 풀렸다.


<누가 우주론 소리를 내었는가>


이 제목이 참 아쉽다. 

👁⚫

궁예 버전으로 

<누가 우주론 소리를 내었어?> 


이렇게 했으면 정말... 🤣🤣🤣🤣🤣

내 허리를 끊을 수 있는 기회가 날아갔다. 아쉽다


비슷한 과학책들이 빅뱅이론에 대해 이야기하고, 티비에서도 빅뱅이론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정시' '정청'은 하지 않지만 이 책은 '정독'하게 했다. 

궁예가 살짝 아쉽지만... 🎯빙백이론의 바닥을 살짝 짚고 나온 느낌이다. 이런 💙수치들이 좋다.


핵융합이야기도, 수소폭팔이야기도... 이런 원소 이야기를 들을때가 내가 원자덩어리인게 새삼 느껴겨 마음이 편안해 진다.


'나 따위 ..'


 더 좋은 것은 💙그림을 간간히 그려놓은 것이다. 🎯이 그림은 #채사장 의 책 #지대넓얕 같은 느낌이었다. 


진짜 아는 사람은 쉽게 설명한다. 

아인슈타인이 이 말을 했다는데... 그럼 아인슈타인은 몰랐나?? 🤣


작가는 ⭐별에 관해서 만큼은 진짜 아는 사람인가보다. 내 스타일이다. 애정한다. 


🎯강추다.



.12 어렸을 적의 나는, 한 방송 프로그램에 나온 우주 마니아처럼 우주에 대한 걸 줄줄 꿰고 다니는 아이도 아니었고, 천문학과 관련 책들은 읽지 않았으며, 지금도 여전히 읽지 않는다.

.37
세페이드 변광성을 조사하던 천문학자 헨리에타스완 리비트는 세이퍼드 변광성의 밝기와 깜빡거리는 주기 사이에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85
언급 할 거면 제대로 알고 말하고, 잘 모르면 언급하지 말라고. 제 3자의 눈으로 자신을 살펴보라고.

108
이렇게 행성이 별을 통과(TRANSIT) 할 때 생기는 별의 밝기 차이를 통해 외계 행성을 찾아내는 방식을 ‘트랜싯’ 이라고 한다.

.143
나선팔이 꽉 감겨있냐 아니냐는 누가 보느냐에 따라 다른게 아닐까 하는 의문을 가졌다면... 당신은 예리한 감각을 지닌 사람입니다(?)

.182
나는 우주와 천문학자들에게서 배운 그 섬세한 감각을 통해 남들이 보지 못한 것들을 발견하고, 익숙한 것들에서 새로운 면을 찾을 줄 아는 사람이 되고 싶다.

.143
혹시 지금 구별법을 정리하며 읽는 사람이 있다면 큰 종이를 준비하거나 글씨를 작게 써야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나선 은하를 한 번 더 나눌거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