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의 휴식
구가야 아키라 지음, 홍성민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반적으로 서로 관계가 없다고 생각되는 것들이 있다. 그 중 하나로 들 수 있는 것이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 피로이다. 특히나 어렸을 때에는 이 둘이 완전히 분리된 것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때는 육체적 피로만이 나를 지치게 하는 것이던 시절이었기에 피로를 푸는 방법도 푹 잔다거나 하는 등의 방식 뿐이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니 이제는 좀더 많은 것들을 새롭게 보기 시작하고 또 겪어 나가고 있다. 우선 정신적 피로가 육체적 피로를 이끌거나, 혹은 육체적 피로가 정신적 피로를 가져오는 경우들이 늘어갔다. 일상의 고민이 많아지는 경우이거나 돌파구를 찾기 힘든 과업들을 마주하게 되는 경우, 나의 정신적 피로는 딱히 무리하지 않아도 왠지 모를 무기력함을 통해 내 육체를 피로하게 만들었다. 그 반대로, 쉬지 못하는 끝없는 야근들은 내 정신의 여유를 앗아가고 머릿속을 멍하게 하곤 했던 것이다.

나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육체적 피로에 대해서는 나름대로의 치유방법이나 극복방법을 모색한다. 그것은 육체적 피로가 좀더 직접적으로 잘 느낄 수 있는 부분이고 원인을 비교적 명쾌하게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신적 피로는 어떨까? 딱히 육체적으로 어디가 아픈 것도 아니니 머리가 조금 복잡해지는 문제를 가지고 이렇게 예민하게 받아들이 필요 없다며 넘겨버리는 경우가 부지기수인 것 같다.

이 책은 정신적 피로가 육체적 피로를 불러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전제로 하여 "마인드풀니스"라는 새로운 영역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각종 정신적 피로감들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소개되어 있으며, 지금, 여기에 집중하여 뇌를 쉬게하는 방법들을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매번 밀려드는 잡념으로 잠을 깊게 자지 못하기 일쑤였고, 한번 깨면 다시 잠에 못들어 고통스러워하던 이유를 알 수 있었고, 그런 경험들이 나만의 특수한 것이 아닌 뇌가 쉼없이 돌아가는 것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어 좋았다.

뇌과학이라는 어려운 분야의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내용을 쉽게 전달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의 형식을 빌려 책이 술술 읽힌다. 가끔씩은 너무 뻔한 비유들이 등장하지만 그래도 공감되는 구석이 많도록 서술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노력과 인내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말이 마음에 깊이 와닿는다. 본질적인 휴식을 취하고 싶은 분들께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