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이 나온 줄은 알고 있었지만 한동안 관심 밖에 두다가 이슈가 된 이후 찾아 읽기 시작한 책. 분량도 많지 않았고 김지영씨와 동시대를 살아서 그런지 책장도 술술 넘어갔다. 그래서 이틀만에 다 읽어버렸다.

남녀가 서로를 온전히 이해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남자로서 여자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특수성을 고려했을 때 더 말할 것도 없고. 그래서 이 책을 더 읽고 싶었는지도 모르겠다.

남자는 알 수 없는 동년배의 여자들이 지금까지 어떻게 대우받아 왔고 어떤 구조적인 이유로 고통받아 왔는지를 알 수 있어 좋았다. 막연하게나마 느껴왔던 여성에 대한 차별, 그리고 남자들의 말 한마디와 행동 한가지가 어떤 관점에서 나온 것인지를 다시 돌이켜 볼 수도 있었다. 김지영씨의 생애를 어렸을때부터 지금까지 시간 순으로 서술하면서 여자로서 겪을 수 있는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녹여낸 느낌이었다.

하지만, 누군가의 글에서 읽었듯 이런 식의 이야기라면 정반대의 관점에서 서술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제를 명확하게 부각시키기 위한 것이었겠지만 전반적인 남성상은 부정적 일색이다. 특히 가부장적인 시대를 살아온 꼰대들은 그렇다치고, 동시대를 사는 비슷한 연령대의 남자들조차 무능하고 개념없는 모습으로 그려졌다는 데에는 반감이 든다. 무엇보다도 며칠밤을 새어가면서 자신의 일과 삶에 헌신하는 여자를 대표적인 여성상인 김지영씨로 설정한 것이 실제의 현실에 맞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생긴다.

구조적인 문제가 있고 차별적인 상황이 있다는 점, 그리고 이를 위해서 같이 노력해야 한다는 점에 대해서는 동감한다. 하지만 소설 자체와는 별개로 ˝여성혐오˝를 주장하는 마지막 부분의 서평에선 답답함이 밀려왔다. 여성에 대한 구조적/차별적인 문제가 있다는 것과, 여성혐오가 만연해 있다는 건 전혀 별개의 문제다. 그런 관점으로는 문제해결의 동반자가 되어야 할 남성들을 배척하고 적으로 돌리는 것 밖에 할 수 없다.

이 책이 이슈가 되는 이유가 서로를 이해하기 위한 기반이 되기 때문이지, 남성들은 이렇게 여성혐오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길 바란다. 소설 중간중간 통계치와 근거자료로 가져온 내용들은 일부 고개를 끄덕이게 했지만, 일부는 안해서 못하게 된 건지/ 못해서 안하게 된건지에 대한 의문을 가져오게 했다. 어쨌든 남자들이 읽어야 할 책은 맞고 지금 이 시점에서라면 필요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