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지리학의 이해
레이철 페인 외 지음, 이원호.안영진 옮김 / 푸른길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영국 더럼 대학 문화 및 사회지리학자인 레이철 페인과 다섯 명의 관련 지리학자들이 영미식 사회지리학 전통에 입각한 최근까지의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소개한 사회지리학  개론서이다. 모두 3부 12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회관계, 사회적 정체성, 사회적 불평등이 창출되는 방식과 그 공간적 다양성, 그 속에서의 공간의 역할 등 사회지리학 전반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p8) 제1부에서는 사회의 물질적 삶과 지리의 관계를 노동과 계급 그리고 사회적 삶의 개념과 공동체의 다양한 의미 등에 대하여  2부에서는 권력, 정체성과 지리의 관계를 인종과 민족성,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통해본 지리의 개념 그리고 연령,세대등의 인생경로 등을 다루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사회와 자연 주택공간,범죄공간,빈곤 등의 부문을 언급하고 있다. 


이와같이 사회지리학은 사회적 관계,  사회적 정체성,  사회적  불평등이 창출되는 방식 그리고 그것들의 공간적 변이와 그 구축에 작용하는 공간의 역할을 다루는 학문이다. 지리학의  많은 분야중에서 사회지리학의 스펙트럼은 매우 넓다.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복지문제에 특별히 깊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사회적,공간적 불평등과 억압에 반대하는 도덕적이고 정치적인 입장도 포함하여 다루고 있는 학문이다. 


학문의 특성상 사회지리학, 경제지리학, 정치지리학, 문화지리학의 영역 내에서 인문지리학을 연구하는것이 학문적으로 전통적이긴 하지만 이 네가지 영역간의 구분이 명확한 것은 아니다. 각 분야의 연구 주제들은 기존의 학문이 자의적으로 그어 놓은 경계선을 점점더 자유롭게 넘나들고 있다(p12) 


지리학이란 세계 여러 지역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그중 인문지리학은 인문현상의 연구대상에 따라 정치지리학·경제지리학·도시지리학·문화지리학·역사지리학 등으로 나누어지고 더욱 세분된다. 그리스어(語)에서 기원한 ‘지오그라피’는 각지의 자연 ·인문 ·사회에 관한 기술을 뜻하며, 지리학은 그 기초적 학문 연구이다. F.리히트호펜이 지리학을 콜로로기(地誌的 科學)라고 그 성격을 규정지은 것은 의미심장하다.


공간과학으로서 사회지리학의 핵심적 이론과 개념들을 재정리하는 한편, 최근의 연구 동향과 현실의 변화까지를 반영한 새로운 내용들로써  지리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알아야 할 사회지리학의 핵심을 제공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에게도 성차별, 인종차별, 연령차별, 노동과 계급, 범죄, 빈곤 등 세계적으로 공유되는 사회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주제들을 사회지리학적 분석을 통해 해석하는 사회지리학에 대한 시야를 대폭으로 넓힐 수 있는 책으로 권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