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홀한 글감옥 - 조정래 작가생활 40년 자전에세이
조정래 지음 / 시사IN북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황홀한 글감옥(조정래)

[밑줄 긋기]

소설은 인간에 대한 총체적 탐구다.

역사는 인간이 살아온 이야기이되, 기록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만 간추려 엮어놓은 기록이다.

작가는 인류의 스승이며, 그 시대의 산소다.

글 잘 쓰는 기술은 애초에 가르칠 수 없다. 돌은 단 두 개. 뒷돌을 앞으로 옮겨놓아가며 스스로, 혼자의 힘으로 강을 건너가야 한다. 그게 문학의 징검다리다.

글쓰기의 기술적인 순서와 방법:다독40▷다상량40(책읽은 시간만큼 생각)▷다작20

5백 권의 책을 읽지 않고는 소설을 쓰려고 펜을 들지 말라.(세계문학전집 1백권, 한국문학전집 1백권, 중단편소설집 1백권, 시집 1백권, 기타 역사 및 사회학 서적 1백권_5년 주기로 되풀이 독서)

등단보다 힘든 것은 지속적으로 글을 쓰는 것이며 그러기 위해서는 기초 체력이 필수다. 저는 저의 재능보다는 노력을 더 믿었습니다.

나는 빅토르 위고 같은 작가가 되고 싶다. 왜냐하면 사회 및 역사의식을 문학성과 가장 조화롭게 형상화한 모범이기 때문이다.

한 작가의 능력을 평가하는 데는 그 작가가 얼마나 많은 작품을 썼느냐가 아니라 얼마나 많은 개성적인 인물을 창조했느냐로 결정된다. 소설은 인물 창조와의 싸움이다. 모든 인물은 제각기 개성적이어야 하는 동시에 전형성(그 역할, 그 사건, 그 상황, 그 시대에 없어서는 안 되도록 꼭 어울리는 생생히 살아있는 것 같은 요소를 갖춘)을 획득해야 한다.

소설쓰기위한 최초이자 최후의 경고:‘1인칭이 아니라 3인칭 소설을 써라.‘

인물 창조 비결:이 세상에 있는 모든 사물을 ‘유심히‘ 보기

집필량 합산표:일평균 30장(12~14시간 노동의 결과) 집필

이 세상의 모든 노동은 치열한 것을 요구할 뿐 감상적 기분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노동에서 재미와 즐거움을 느끼느냐, 못 느끼느냐에 따라 행•불행이 갈립니다.(글감옥)


[마음 쓰기]

자기 스스로 들어가 행복에 빠지는 감옥, 그 감옥 찾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11-14 17: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탈출하기 힘들어하는 감옥이 ‘북플‘입니다.. ^^;;

머리쓰기&글쓰기 2016-11-14 17:58   좋아요 0 | URL
맞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