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역문화재단과 리더십
박상언 지음 / 이음스토리 / 2018년 2월
평점 :
황무지를 보는 사람들의 마음은 천차만별일 것이다. 어떤 사람은 광활하다, 어떤 사람은 어떻게 풀 한포기도 없나, 신기하다 등. 광활한 황무지는 인간에게 수많은 생각이 스치도록 한다. 하지만 황무지를 보는 사람 중 황무지 개간을 자신의 일로 생각하는 사람만큼 큰 압박을 받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인간이 할 수 있는 범위의 일을 아는이상, 척박한 황무지의 면적은 자신이 얼마나 오래 그리고 열심히 일해야 하는지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에서 문화일을 하는 게 이와같은 황무지 개간하는 일과 같지 않을까. 나는 생각한다. 서울과 달리 지방의 문화는 황무지다. 서울은 적어도 척박하지는 않다. 서울이라는 땅을 한번 돌아보면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 이것을 어떻게 활용할지를 생각할 수 있다. 적어도 서울이라는 땅은 문화라는 것을 관이 개입해서 더 흥할 수 있을 정도로 정리만 하면 된다. 하지만 지방은 다르다. 내가 황무지라는 비유를 쓴 것을 보면 알겠지만 지방에는 과거에 만들어진 문화를 제외하면 문화라고 할만한 것이 없다. 할머니들이 부르는 조선시대 노래, 할아버지들이 치는 장구. 그 정도 이상을 생각하기란 힘들 것이다. 지방의 문활를 보고 무언가를 상상하는 것 자체가 힘들 수 있다는 것이다.
길 없는 곳에 길 내기
사람이 길을 잃은 이유는 2가지가 있다. 하나는 정말 한치 앞을 볼 수 없을만큼 복잡한 미로속에 들어와 있을 때 그렇고, 다른 하나는 아무리 걸어도 주변에 뭔가 바뀐게 없이 텅텅비어 있을 때 그렇다. 무언가 척도로 표시할게 없고, 그것들이 쌓이지 않으니 일 자체도 안되는 것이다. 저자의 <지역문화재단과 리더십>을 통해 이야기하는 것은 후자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이 든다. 정확히 말하면, 아무것도 없는 황무지를 개간하기 위해 어떻게 사람을 설득하고, 어떻게 이끌고, 어떻게 이 지역문화라는 황무지를 개간할지의 플랜을 저자는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리더십이란 그 상황에 맞게 주어져야 하는 것이다. 지역 또한 다르지 않다. 전쟁에서 사용되는 장군의 리더십과, 전쟁 후 대통령의 리더십, 산업화할 때 대통령의 리더십, 민주화 때 대통령의 리더십은 모두 다를 수밖에 없다. 그리고 문화의 옥토라고 할 수 있는 서울과 같은곳에서의 문화재단 리더십과, 문화가 척박한 지방에서의 리더십 또한 다를 수밖에 없다.
<지역문화재단과 리더십>이라는 책은 마치 학술서 같지만, 한 개인의 고민이 잘 녹아든 개념서 같다. 저자가 지역문화재단의 장으로서 부임한 후, 했던 고민들이 사실적으로 잘 드러나고 정리되어 있다. 어쩌면 저자는 일기를 쓰고, 거기에 대한 해결발안을 과거 자신이 공부한 것을 통해 찾은 후, 현장에서 이러한 책을 썼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이 책은 지역문화를 이끌어 가야 하는 사람들이 꼭 읽어야 하는 책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우리가 지역 문화라고 하면 생각하는게 지역 축제다. 하지만, 지역 축제는 1년에 단 일주일도 하지 않고, 이것이 잘 치러지지도 않는다. 지역의 장들도 마지못해 나는 경우다. 이들은 지역의 문화를 어떻게 가꾸어 나가는지도 모르고, 그냥 대충 구색만 맞춰서 하는 것이다. 전국에서 흑자를 보는 축제가 화천 산천어 축제인데, 사실 화천에는 산천어가 없다. 그냥 주변에서 양식한 산천어를 공수해와 축제를 하는 것이다. 전국에서 가장 유명한 축제가 이러 정도인데 다른 지역들은 안 봐도 비디오다. 부디 많은 지역에서 이 책을 통해 자기 지역의 문화를 어떻게 수립해 나가야 하는지 그 기반이라도 닦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