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armdown > 한없이 늘어지는 지루함
노마디즘 1
이진경 지음 / 휴머니스트 / 200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 개의 고원> 역자로서 한 마디 붙입니다. 최근에 이 책에 대한 서평을 준비하면서 책의 질에 문제가 많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지엽적인 오류야 뭐 서로 있을 수 있는 일이고, 함께 수정해 가면 학계에도 독자에게도 도움이 되는 일이므로 굳이 이런 자리에서 거론할 필요는 없겠지요. 그러나 본질적인 오류와 오해가 있다면 그것은 분명 바로잡아야 할 일입니다. 그것도 전공자(전공자가 뭐 특별하다는 건 아니고, 해당 분야에 오래 삶의 시간을 바쳤다는 뜻이지요, 특히 이런 사유 분야에서)들만이 할 수 있는 일로서 말입니다.

더구나 제가 이렇게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는 것은, <노마디즘>이 제가 번역한 <천 개의 고원>을 직접 인용하지 않으면서도 책 도처에서 저의 번역을 직접적으로 문제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혀 응답하지 않으면, 인정하는 꼴이 되버리지 않겠습니까? (사실 이런 사정도 최근에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본격 서평을 발표하기에 앞서 이곳을 통해 조금만 지적하도록 하겠습니다. 나중에 발표될 글은 다른 경로로 찾아보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편의상 (짧고 쉽게 해명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사례만 들겠습니다. 저자는 <노마디즘> 2권 258쪽 주4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plan은 '판'이 아니며, 무언가가 그 위에 서서 존립하는 것이란 의미의 '평면'도 아닙니다. 물론 plan이 '평면' 내지 '평면화'라는 의미를 포함하기도 하고, 그렇게 번역되는 게 더 적당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plan은 하나의 기관이 탈기관화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배치가 탈영토화되는 양상을 함축할 뿐이지, 기하학적 형태의 '평면'이나 '판'과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는 명백한 오류입니다. 들뢰즈의 다른 책 <스피노자, 실천 철학>을 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더 이상 그것은 유일 실체에 대한 긍정이 아니다. 그것은 모든 물체들, 모든 영혼(정신)들, 모든 개체들이 있는 내재성의 공통 판의 펼침이다. 이 내재성의 판 또는 고른판은 정신적 구상, 계획, 프로그램이라는 의미의 판(=구도)이 아니라 기하학적인 의미에서의 판(=평면), 즉 절단면, 교차, 도해(=다이어그램)이다.>

참고로 아래에 불어 원문과 영어 번역을 덧붙입니다.

<Ce n'est plus l'affirmation d'une substance unique, c'est l'e'talement d'un plan commun d'immanence ou' sont tous les corps, toutes les a^mes, tous les individus. Ce plan d'immanence ou de consistance n'est pas un plan au sens de dessein dans l'esprit, projet, programme, c'est un plan au sens ge'ometrique, section, intersection, diagramme. >

Deleuze, Spinoza. philosophie pratique, Minuit, 1981, p.164. (plan commun d'immanence는 강조 표시가 되어 있음)

<What is involved is no longer the affirmation of a single substance, but rather the laying out of a common plane of immanence on which all bodies, all minds, and all individuals are situated. This plane of immanence or consistency is a plan, but not in the sense of a mental design, a project, a program; it is a plan in the geometric sense: a section, an intersection, a diagram.> (윗글의 영어번역: 영역판 122쪽)

이진경 씨는 아무 근거도 없이 위와 같은 발언을 통해 들뢰즈의 사상을 뒤틀고 있습니다. 이진경 씨의 주장과 들뢰즈 자신의 발언은 명백히, 뿌리부터 어긋납니다. 문제는 이런 오류가 <노마디즘>에서 주요 개념 거의 전부에 걸쳐 발견된다는 점입니다. 개념 번역의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부분적인 잘못이야 누구나 범하는 일이니까요), 개념 이해와 설명에서 생기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렇게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지면 관계상, 단지 지면 관계상, 다른 오류를 지적하지는 않겠습니다. 이런 오류가 너무나도 많기 때문입니다. 그럼 일반 독자들은 어쩌란 말이냐?고 물으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냥 이게 한국 학계의 현주소라고 말씀드리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아무런 상호 검증도 없고, 상호 검증할 만한 사람들도 없고... 시간이 나는 대로, 또 시간을 내서, 해설 자리를 많이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끝으로 <노마디즘>에 대한,  <천 개의 고원> 번역자로서의 소감을 구호로 정리하겠습니다. 긴장도가 한없이 떨어지는 책,. 끊임없는 오해로 중첩된 책, 그래서 의도와는 상관없이 독자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게 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년 동안의 고독 -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문학사상 세계문학 6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안정효 옮김, 김욱동 해설 / 문학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가 목욕하는 동안에는 아무도 죽지 않는다>를 읽었다. 제목이 암시하는 반어적인 의미를 알고 싶으면 <백년 동안의 고독>을 읽으면 된다. 그렇다. 이 소설은 마치 수호지에 등장하는 반금련의 이야기만을 따로 뽑아낸 본격 성애 문학 -_- <육포단>처럼 <백년 동안의 고독>에서의 절세 미녀인 레메디오스의 이야기다.

<백년 동안의 고독>에서는 레메디오스가 목욕하는 장면을 훔쳐보기 위해 낡은 지붕위로 올라갔다가 그녀와 이야기까지 하던 도중 지붕이 무너져 추락해 죽는 남자의 이야기가 나온다. 그 남자는 결국 레메디오스가 목욕이 끝나자마자 죽었다. 소설의 작가 마크 빌라는 이 레메디오스를 바라보는 수많은 남자들 중의 한 명이 되어 1인칭 주인공 시점에서 이야기를 시작하지만, 마르케스의 소설이 주는 정치적 메세지에는 전혀 관심이 없고 오직 바라보는 시점의 거리에 따라 한 여인이 얼마나 다양하게 조명될 수 있는지의 문제와 그 소설적 형상화에만 그의 시선을 집중했다.

그렇지만 이 소설은 성애문학은 아니다. 오히려 심리소설에 가깝다고 할 이 소설의 시대적 배경 또한 마르케스의 그것이 아니라 20세기 후반으로 설정되어서, 미국으로 대표되는 자본주의 세력의 침입이 마콘도에 미치는 파장을 묘사했던 <백년 동안의 고독>에서 출발한 소설이 마찬가지로 짊어져야 하는 문제에 대해 대답을 회피하고 있다. 마크 빌라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감정과 그 흐름에 대해서만 천착하는 작가인 것이다.

이러한 시점이 '문학은 사회를 반영한다'는 낡은 믿음을 철두철미하게 무시하고 있다는 점이 최근까지도 기존의 평론가들에게 이 소설이 그렇게 폄하되었고 악평을 받았던 이유가 아닐까 생각한다. 심리소설 <그녀가 목욕하는 동안에는 아무도 죽지 않았다>는 20세기 라틴아메리카 문학에서도 이처럼 독특한 지위를 점유하고 있는 작품으로서 이제야 한국에 소개되는 것은 오히려 늦은 감이 있다. 행간에서 묻어나오는 작가의 인간적인 것들에 대한 동경과 삶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성찰들은 단순히 한 여자를 바라보고 있는 젊은 남자의 애타는 심적상태를 서술하는 데 있어서 성별을 초월하여 독자의 깊은 공감을 이끌어낸다.

사건 전환의 국면마다 효과적인 복선을 도입해 작은 노력으로도 커다란 반전을 곳곳에 숨겨놓은 재주는 이 작가의 역량이 명백히 과소평가되어 왔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그녀가 목욕하는 동안에는 아무도 죽지 않았다>는 지금껏 남미 문학의 거장이라 불려왔던 마르케스에서 출발했지만 마크 빌라는 청출어람으로 그를 능가하고 있다. 꼭 한 번 읽어봐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감각의 박물학 > 복수보다 즐거운 유희
백년 동안의 고독 -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문학사상 세계문학 6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안정효 옮김, 김욱동 해설 / 문학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복수보다 즐거운 유희

-마르께스에 대한 단상.


마르께스에게 바쳐진 헌사 중 최고의 것은 쿤데라의 입을 빌어야 했다. <소설의 종말에 대해 말하는 것은 서구 작가들, 특히 프랑스인들의 지엽말단적인 걱정일 뿐이다. 동구나 중남미 작가들에게 이와 같이 말한다는 것은 말도 안 되는 일이다. 어떻게 서재에 가르시아 마르께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을 꽂아놓은 채 소설의 죽음에 대해 중얼거릴 수 있다는 말인가?>


마콘도에서 아이들은 양탄자를 타고 다니면서 날아다닌다. 나는 것이 필요하면 나는 것을 꿈꾸면 된다. 비행기를 살 수 없는 사람들은 비행기를 꿈꾸면 된다. 마콘도는 가난한 땅이다. 그래서 신화도 많고, 전설도 많고 방귀 소리도 크다. 거기에 돼지 한 마리를 먹어치우고 엄청난 방귀로 꽃들을 질식시켜 죽여 버리는 거대한 사나이가 있다 해도 따지지 말 일, 송아지 한 마리와 쉰 개의 오렌지, 8리터의 커피와 30개의 날계란, 두 마리의 돼지와 한 다발의 바나나, 네 상자의 샴페인을 먹어치우는 여자가 있다 해도 따지지 말 일, 하늘에서 꽃비가 내릴 수도 있고, 한 여인이 돼지 꼬리가 달린 아이를 낳을 수도 있는 것이다. 아름다움도 그곳에서는 극한을 향해 과장된다. 중요한 건 표현과 현실의 일치가 아니라 무슨 말을 해도 즐겁자는 것. 그것이 게임의 논리요 언어의 논리가 아닌가. 생각해보시라 아무리 사람이 많다 하더라도 바늘 하나 꽂을 자리가 없겠는가. 입추(立錐)의 여지(餘地)가 없을 정도로 붐비는 곳이 있다는 말인가. 해서 하는 말인데 즐겁자는 게 말이니 따지지들 마시길.


극한의 아름다움, 그 강철의 무지개 앞에서 죽음이나 삶도 무게를 잃어 버린다. 마콘도에서 운우지락(雲雨之樂)의 열락의 신음은 무덤 속의 유골마저 놀라움에 떨게 한다. 그런 강렬한 매혹 앞에서 현기증을 느끼는 몸, 탕진을 예감하며 떠는 몸, 죽음을 예감하며 한 사나이가 미녀 레메디오스의 아랫배에 손을 집어 넣는다. 이럴 때 에로티즘은 지독하게 외로워 보인다. 에로티즘은 지긋지긋한 개체성을 탈피해 어떤 합일과 섬광의 순간을 꿈꾸지만 그게 될 법한 일인가. 나는 너라구? 웃기지도 않는 소리다. 나는 지긋지긋하게 나다. 아닌가? 대체 어떤 탁월한 수단과 방법으로 네가 나이며, 내가 너란 말인가? 하기야 개체가 제 윤곽을 허무는 일도 있긴 하겠다. 가령 죽음 같은 거 말이다. 세상이 내 허물어진 몸에 확, 침투해서 비로소 내가 세상이 된다. 그런데 나는 없다. 그때 난 죽었으니까. 암만 생각해도 내가 네

가 되는 경우를 알지 못하겠다. 약의 힘을 빌기도 어렵고.


<진정한 기억은 기억의 환영 같았다. 반면에 거짓스러운 기억은 너무도 그럴 듯해서 현실을 그대로 옮겨다놓은 것 같았다.> 라는 마르께스의 구절은 곱씹을 만하다.


『백년 동안의 고독』이 말하는 것은 욕망이다. 욕망은 유전될 뿐 진화하지 않는다. 테크놀로지가 욕망의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개혁․조작할 수 있는 날이 올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날까지는 인간은 아랫도릴 싸쥐고 신음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럴 때 대체 역사는 발전하는가 묻지 않을 수 없다. 역사는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늙지 않는 욕망과 함께 끊임없이 순환하는 것은 아닌가. 『백년 동안의 고독』에서 역사가 끊임없이 욕망과 함께 순환하는 땅은 마콘도이다. 마콘도, 낙원의 땅, 저주의 땅, 대홍수의 땅, 전쟁과 살육의 땅, 위대한 어머니의 땅. 


욕망이란 렌즈를 통해서 본 미래는 뻔하다. 기껏 날아보았자 부처님의 손바닥 안이다. 욕망을 대체할 새로운 패러다임을 고안해냈다면 그는 대단한 히트상품을 발명한 셈. 어떤 고약한 신이 욕망을 근본적으로 개조할 능력을 우리에게 주지도 않으면서 영생만을 준다면 그보다 지독한 테러는 없을 것이다. 욕망을 좌지우지하고 그것을 제멋대로 주물러 가지고 놀 수 있는 막강한 힘과 함께 영생을 주지 않는다면 영생은 감옥이다. 담배는 수백 보루가 쌓여있는데 불이 없는 감옥처럼 끔찍한 감옥이 있을까. (인생이 짧은 건 그나마 다행이잖은가.)


프랑스의 한 출판사는 마르께스에게 물었다. 그는 유머스럽게 대답했다.

- 당신 최대의 미덕은?

- 죽을 때까지 비밀을 간직할 수 있는 능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