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armdown > 한없이 늘어지는 지루함
노마디즘 1
이진경 지음 / 휴머니스트 / 200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천 개의 고원> 역자로서 한 마디 붙입니다. 최근에 이 책에 대한 서평을 준비하면서 책의 질에 문제가 많다는 판단이 들었습니다. 지엽적인 오류야 뭐 서로 있을 수 있는 일이고, 함께 수정해 가면 학계에도 독자에게도 도움이 되는 일이므로 굳이 이런 자리에서 거론할 필요는 없겠지요. 그러나 본질적인 오류와 오해가 있다면 그것은 분명 바로잡아야 할 일입니다. 그것도 전공자(전공자가 뭐 특별하다는 건 아니고, 해당 분야에 오래 삶의 시간을 바쳤다는 뜻이지요, 특히 이런 사유 분야에서)들만이 할 수 있는 일로서 말입니다.

더구나 제가 이렇게 문제를 제기할 수밖에 없는 것은, <노마디즘>이 제가 번역한 <천 개의 고원>을 직접 인용하지 않으면서도 책 도처에서 저의 번역을 직접적으로 문제삼고 있기 때문입니다. 전혀 응답하지 않으면, 인정하는 꼴이 되버리지 않겠습니까? (사실 이런 사정도 최근에 책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본격 서평을 발표하기에 앞서 이곳을 통해 조금만 지적하도록 하겠습니다. 나중에 발표될 글은 다른 경로로 찾아보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편의상 (짧고 쉽게 해명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사례만 들겠습니다. 저자는 <노마디즘> 2권 258쪽 주4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plan은 '판'이 아니며, 무언가가 그 위에 서서 존립하는 것이란 의미의 '평면'도 아닙니다. 물론 plan이 '평면' 내지 '평면화'라는 의미를 포함하기도 하고, 그렇게 번역되는 게 더 적당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plan은 하나의 기관이 탈기관화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배치가 탈영토화되는 양상을 함축할 뿐이지, 기하학적 형태의 '평면'이나 '판'과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는 명백한 오류입니다. 들뢰즈의 다른 책 <스피노자, 실천 철학>을 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이 나옵니다.

<더 이상 그것은 유일 실체에 대한 긍정이 아니다. 그것은 모든 물체들, 모든 영혼(정신)들, 모든 개체들이 있는 내재성의 공통 판의 펼침이다. 이 내재성의 판 또는 고른판은 정신적 구상, 계획, 프로그램이라는 의미의 판(=구도)이 아니라 기하학적인 의미에서의 판(=평면), 즉 절단면, 교차, 도해(=다이어그램)이다.>

참고로 아래에 불어 원문과 영어 번역을 덧붙입니다.

<Ce n'est plus l'affirmation d'une substance unique, c'est l'e'talement d'un plan commun d'immanence ou' sont tous les corps, toutes les a^mes, tous les individus. Ce plan d'immanence ou de consistance n'est pas un plan au sens de dessein dans l'esprit, projet, programme, c'est un plan au sens ge'ometrique, section, intersection, diagramme. >

Deleuze, Spinoza. philosophie pratique, Minuit, 1981, p.164. (plan commun d'immanence는 강조 표시가 되어 있음)

<What is involved is no longer the affirmation of a single substance, but rather the laying out of a common plane of immanence on which all bodies, all minds, and all individuals are situated. This plane of immanence or consistency is a plan, but not in the sense of a mental design, a project, a program; it is a plan in the geometric sense: a section, an intersection, a diagram.> (윗글의 영어번역: 영역판 122쪽)

이진경 씨는 아무 근거도 없이 위와 같은 발언을 통해 들뢰즈의 사상을 뒤틀고 있습니다. 이진경 씨의 주장과 들뢰즈 자신의 발언은 명백히, 뿌리부터 어긋납니다. 문제는 이런 오류가 <노마디즘>에서 주요 개념 거의 전부에 걸쳐 발견된다는 점입니다. 개념 번역의 단순한 문제가 아니라(부분적인 잘못이야 누구나 범하는 일이니까요), 개념 이해와 설명에서 생기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렇게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지면 관계상, 단지 지면 관계상, 다른 오류를 지적하지는 않겠습니다. 이런 오류가 너무나도 많기 때문입니다. 그럼 일반 독자들은 어쩌란 말이냐?고 물으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냥 이게 한국 학계의 현주소라고 말씀드리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아무런 상호 검증도 없고, 상호 검증할 만한 사람들도 없고... 시간이 나는 대로, 또 시간을 내서, 해설 자리를 많이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끝으로 <노마디즘>에 대한,  <천 개의 고원> 번역자로서의 소감을 구호로 정리하겠습니다. 긴장도가 한없이 떨어지는 책,. 끊임없는 오해로 중첩된 책, 그래서 의도와는 상관없이 독자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게 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