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은 번역한 경전의 질이나 양에서 걸출한 업적을 남기었다. 그의 번역은, 구마라집 이전의 고역과 구마라집의 구역과 대비되는데, 이 차이는 번역어에서 나타난다. 현장은 빨리어 혹은 중앙아시아어로 작성된 불전을 통일성 있게 번역하고자 음역어 이론을 구상했다. 구체적으로 말해, 그는 같은 단어가 다르게 번역되는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범어 원전에 기반하면서도 의역을 해야하는 용어와 음역해야 하는 용어를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 다섯 가지 분류에 포함될 경우, 의역하지 말고 음역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어떤 기준에 의해 오종불번이 행해졌을까? 그것은 다음과 같다.


​(1) 부처님의 비밀한 뜻을 담고 있는 경우. 이런 경우는 의역할 경우 신비한 의미가 사라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의역하지 않고 음역만 한다. 예를 들어, '아제 아제 바라아제(Gate Gate Paragate)'와 같은 주문은 범어 그대로 낭송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번역하지 않는다.


(2)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가지는 경우. 딘어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 중 하나만 선택하여 번역하면, 다른 의미가 드러나지 못하므로 음역한다.


(3) 인도나 서역에는 존재하지만, 중국에는 존재하지 않는 사물.


(4) 옛부터 관습으로 사용되어 온 관용어.


(5) 善을 낳기 때문에 번역하지 않는 경우. 다른 말로 의역으로는 원어가 갖는 깊은 의미를 드러낼 수 없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산스크리트어 Prajna(프라쥬나)는 중국어 지혜(智慧)로 옮길 수 있지만, 지혜는 인간의 힘으로 도달 가능한 영역인 반면에 프라쥬나는 초지혜적인 영역이 있다. 그래서 프라쥬나를 번역하지 않고 반야(般若)로 음역한 것이다. ​


현장의 오종불번은 수당대 불경 번역의 원칙이 되었다. 이는 원어와 아주 가깝게 표기를 해서 원어의 뜻을 표현하려고 했던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이 다섯 가지 원칙 중에서 나에게 가장 심각하게 다가왔던 것은 두 번째와 다섯 번째이다. 이 두 기준은 시대를 막론하고 번역을 할 때 가장 큰 어려움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society-社会가 다의어 번역의 문제점을 집약해서 보여준다. society는 동료나 친구끼리의 사교모임의 의미와 더불어 "같은 종류의 사람들끼리의 결합...조화를 이룬 공존을 목적으로 하거나 상호 이익, 방어 등을 위해 개인의 집합체가 이용하는 생활 조직이나 생활방식"(<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을 의미하기도 한다.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들의 모임이자 생활방식이라는 의미의 society에 대응하는 관념이 일본에는 없었기에 이 단어를 어떻게 번역할지를 두고 여러 대안들이 제시되었자. 후쿠자와 유키치는 '인간교제'라는 새로운 조어를 시도하였다. 그는 일상적으로 쓰는 단어에 새 맥락을 부여하여 society가 가진 수평적 관계의 요소를 드러내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 정착된 용어는 사회( 社会)였는데, 이는 모임을 뜻하는 두 단어를 결합하여 만든 단어였다. 그러나 아무 맥락 없이 두 단어를 합친 결과, 단어의 원의와 크게 틀리지는 않지만 너무도 추상적이어서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단어가 만들어져버렸다.(이와 유사한 다른 예가 헤겔의 Aufhebung지양 개념이다) society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 다의어를 의역하여 원의를 제대로 표현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래서 현장은 이런 문제를 염두에 두고 다의어의 음역을 주장했다.


5번 사례 중 프라쥬나를 더 얘기해보자. 프라쥬나라는 관념은 지혜와 다르다. 만약 지혜로 프라쥬나를 번역한다면, 원어가 가지는 의미가 축소될 수 있다. 현장은 이런 번역이 "원어가 갖는 육중하고 깊은 뜻을 살리기 어렵고 뜻이 가벼워질" 우려가 있다고 보았고, 아예 이런 단어는 번역하지 않고 음역만 한 것이다.​ 프라쥬나를 중국의 언어로 옮길 때 가장 큰 문제는 프라쥬나라는 관념은 중국사상 세계에 없었다는 점이다. 비단 프라쥬나뿐만 아니라 불교적 세계관, 인간 이해는 모두 기존의 중국 사상 세계에서는 낯선 것이었고, 그렇기에 섣불리 중국 사상의 관념으로 불교의 개념을 담으려 할 경우 필연적인 오역이 발생하고 만다. 현장이 오종불번을 제시했을 때는, 원어의 의미와 불교 사상의 의미를 중국인이 최대한 왜곡 없이 이해하도록 할 방법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었던 것이다. 번역이란 언어뿐만 아니라 사유체계를 옮기는 작업이다. 이렇게 본다면, 중국의 불경 번역의 역사는 단순히 산스크리트어를 중국어로 옮기는 과정이 아니라 중국에 없는 불교의 관념을 중국인에게 이해시키기 위한 노력의 과정이었다.​​​


아래는 오종불번을 구글링하다가 우연히 발견한 후나야마 도루 <번역으로서의 동아시아> 인용문.



구마라집은 번역이면서도 한편으로 중국어로서 알기 쉬운 문장을 지향했기 때문에 때로는 글자 하나하나의 뜻을 충실히 새기는 축어역에서 벗어나 일부를 생략하거나 말을 덧붙여 알기 쉽게 하는 조작도 했다. … 스탠포드대학 폴 해리슨 교수는 구마라집 번역이 갖는 특징의 하나를 “마치 현대 연구자가 번역할 때 괄호를 사용하여 그 가운데 말을 덧붙여 자신의 해석을 드러내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작업을 했는데, 다만 구마라집은 그것을 본문 가운데 괄호를 사용하지 않고 했다”고 표현한다. … 바로 이 점이 구마라집 번역의 <법화경>, <유마경>, <금강반야경>이 중국 불교사를 통해 후대에 이르기까지 오랫동안 계속 읽혀온 이유다. … 번역이란 타인이 씹다가 내뱉은 음식물 같은 것으로 보는 구마라집의 생각을 파고들면, 결국 타인의 한역을 읽기보다 범어를 배워 원전을 읽으라는 이야기가 될 것이다. – 145


… 중국 불교사에 … 아이러니한 결과가 발생했다. 완성판이라고 할 수 있는 현장 번역은 학술적인 가치는 인정받았다고 할지언정 그 후에도 사람들이 즐겨 읽은 것은 다름 아닌 구마라집 번역이었던 것이다. … 현장 번역은 중국인의 금강경 이해와 관련하여 결국 아무 영향도 미치지 못했던 것이다. … 비판과는 별도로, 현장에게는 ‘오종불번’으로 불리는 번역이론이 있었다… 의역하지 않고 음역에 그치는 편이 좋은 다섯 가지 장르를 열거한 것이다. … 첫째, (음역 그대로 놓아두는 쪽이) 선업을 낳게 하므로 옮기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불타’(buddha)는 깨달음이라는 의미인데 … 범어 그대로 남겨둔다. 사람들의 선업을 낳게 하는 데 의도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비밀로 하기 때문에 옮기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다라니 등과 같은 주문의 가르침은 범어 그대로 암송하여 부처의 가호를 빌면 즉각 효과가 나타나지만, 중국어로 번역하면 조금도 영험스럽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복수의 의미를 내포하므로 옮기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박가범’(薄伽梵, bhagavān)은 한 단어에 … 여섯 가지 의미가 들어 있다. … 하나의 의미로 옮기면 나머지 다섯 가지 의미가 모두 사라지고 말기 때문에 … 넷째, 예로부터 써내려온 관습에 따르므로 옮기지 않는 경우가 있다. … 다섯째, 중국에 없는 사물이므로 옮기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염부수(閻浮樹)는 그림자가 달에까지 드리워져 달의 모양을 만들고 … 항아리만 한 크기의 열매가 열리는데, 이 나무는 중국에 없으므로 번역할 수 없다. – 153~155​


음역은 의역을 함에 따라 발생하는 의미의 왜곡을 피하는 데는 유용하지만, 외국어이기 때문에 원어 지식이 없는 독자에게는 의미를 전혀 알 수 없는 데다 짐작조차 할 수 없는 것이 커다란 결점이다. 새로운 음역이 사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실제 용례가 축적됨으로써 많은 용례나 문맥적인 뉘앙스로부터 의미가 귀납법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되기를 기다려야 한다. – 286

*예나 지금이나 학술적 번역보다 글의 맛이 살아있는 번역이 더 인기있나 보다

참조.

문을식, <현장의 오종불번의 음역 이론의 연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